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상품
경품
상금
형상
이미지
상복
구체화
d라이브러리
"
상
"(으)로 총 2,304건 검색되었습니다.
3. 입체 TV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또는 6백25개)인데 비해 HDTV는 1천50개 이
상
으로 화소수가 4배나 된다. 따라서 고화질의 영
상
서비스를 제공한다. 화면의 가로세로비는 4:3에서(기존TV) 16:9로 넓어져 영화를 보는 것처럼 시야가 꽉 찬다 ... ...
뇌 필름 끊기는 이유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둘째 이 장벽을 쉽게 통과하는 물질이 있다. 우선 알코올은 지용성(脂溶性) 물질에 녹은
상
태로 장벽을 쉽게 뚫고 들어갈 수 있다. 지용성 물질은 장벽을 구성하는 세포막을 잘 통과하기 때문이다. 더욱이 본드나 부탄 가스는 다른 물질을 녹이는 유기용매이므로 아예 뇌를 망가뜨려 중추신경을 ... ...
웹브라우저 넷스케이프 VS 익스플로러
과학동아
l
1996년 05호
않으며, PC와 인터넷 환경을 동시에 지원하고 수행속도 역시 매우 빨라 업계의 비
상
한 관심을 모으고 있다. 액티브 엑스 기술을 사용하면 인터넷과 PC간의 경계는 사라질 것으로 보인다. TV같은 가전제품을 통해서도 인터넷정보를 검색할 수 있어 인터넷 대중화에 지대한 공헌을 할 것으로 전문가들은 ... ...
1. 대기과학 장기 일기예보가 불가능한 이유
과학동아
l
1996년 05호
민감해 장기적인 예측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그가 나타낸 끌개를 특별히 '이
상
한 끌개'라고 하는 것은 앞서 말한 점끌개, 주기끌개, 준주기끌개와는 전혀 다른 모습을 하고 있는데서 붙여진 이름이다 ... ...
우리집 홈페이지 만들기
과학동아
l
1996년 05호
작성하는 것도 잊어서는 안될 일이다.언제까지 어떠한 주제를 가지고 할 것인지 대충 구
상
해 놓는 것은 주제에 맞는 홈페이지를 작성하는데 많은 도움을 준다.그리고 절대 잊어서는 안되는 일은 어렵게 만든 홈페이지에 쓸모없는 이야기나 올리는 것은 진정한 네티즌이 가져야할 자세가 아니라는 점 ... ...
기능성 색소의 세계 온도따라 벽지 색깔 바뀐다
과학동아
l
1996년 05호
다르게 보일 것이다. 또이것을 벽지에 응용하면 실내온도에 따라 색
상
이 달라지는 현
상
을 나타낸다.이외에도 지시약이나 리트머스 종이는pH에 따라 변하는 할로크로미즘을 이용한 예이다. 또 실험실에서 고압의 장치를 사용할때 압력에 따라 변하는 피에조크로미즘을 응용하면 압력기를 보지 ... ...
빛을 기록하는 인류 최대 발명품 CAMERA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간편하고 1백장의 롤필름이 들어 있어서 다양하게 사진을 찍을 수 있었다. 그리고 현
상
은 코닥사에서 해주었다. 롤필름이 발명되고 카메라의 소형화가 진행되면서 사진은 많은 사람들의 사랑을 받게 됐다 ... ...
20년만의 대장관 햐쿠다케혜성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것이다. 자주 혜성을 볼 수 있는 여건에 있는 사람이라면 혜성의 하루하루 움직임을 필름
상
에 담아둔다면 매우 의미있는 기록이 될 것이다.망원경이 있다면, 그것도 적도의 망원경이 있다면 사진촬영은 좀더 심도있게 이뤄질 수 있다. 촬영방법은 다른 성운성단을 찍는 방법과 비슷하다. 밝고 큰 ... ...
2. 서울 15년 내 규모 6.5 지진 가능성 57%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주로 단층을 따라 발생했다.지진 정지기는 어떻게 나타날까. 규모 4.5 이
상
의 지진을 대
상
으로 정지기를 설정할 때 서울에서는 모두 세차례의 정지기가 있었다. 지진 정지기 사이의 시간(재동시간, recurrence time)은 보통 수십년에서 수백년에 이른다. 서울의 경우 그 시기는 각각 1385-1517년, 1518-1594년, 1 ...
인간 버금가는 낙농의 대가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받을 수 있게끔 수차에 걸친 계약 갱신을 했다고 추측할 수 있다. 결국 서로에게 이로운
상
호 협력관계를 맺기에 이르렀으리라.자식까지 떠맡기는 뿔매미 그렇다면 왜 모든 진딧물들이 개미와 공생관계를 갖지 않는 것일까. 개미와 공생하는 진딧물과 그렇지 않은 진딧물과는 몸의 구조부터 ... ...
이전
177
178
179
180
181
182
183
184
1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