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양"(으)로 총 6,999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방귀를 연료로 쓴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석유에 들어 있는 탄소를 사슬처럼 연결시켜 만들어요. 하지만 지구에 남아 있는 석유의 양이 점차 줄어들고 있기 때문에 탄소를 얻을 다른 물질을 찾아야 하지요. 이때 주목받는 물질이 바로 메탄가스예요. 메탄은 탄소를 하나만 가지고 있기 때문에 메탄으로 탄소 사슬을 만들면 원하는 곳에 ... ...
- [한자 과학풀이]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과학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자주 사용하는 소금도 전해질에 포함되죠. 물에 넣으면 소금은 (+) 전하를 띠는 나트륨 양이온과 (-) 전하를 띠는 염소 음이온으로 나뉘거든요. 하지만 설탕은 이처럼 이온으로 분리되지 않기 때문에 전해질에 포함되지 않지요.‘전해질’을 이루는 한자를 풀어 보면 뜻을 쉽게 이해할 수 있어요. 첫 ... ...
- [News & Issue] 초록 은하는 변신 중?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주는지 검증하는 것도 중요한 연구 주제다. 으로 은하 진화의 관점에서 은하의 현재 모양과 크기, 밝기, 그리고 색깔의 상관관계를 밝히려는 연구가 계속될 것이다. 새로운 관측과 시뮬레이션 연구가 종합적으로 해석될 때, 비로소 은하의 색깔 뒤에 숨은 더 큰 신비를 이해하게 될 것이다. 멀지 않은 ... ...
- Part 2. 남극, 가장 뜨거운 바다에서 얼음 대륙이 꽃피다과학동아 l2016년 08호
- 확인된다. 시대별로 퇴적물 코어를 분석해 해류와 해수 온도의 변화, 빙하의 출현 시기와 양을 알아내는 연구는 지금도 진행 중이다.박숭현(shpark314@kopri.re.kr)연세대 지구시스템과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 지구환경과학부 대학원에서 중앙해령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미국 하버드대 ... ...
- [한자 과학풀이]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과학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요리’는 음식을 만드는 행동이나 음식 자체를 가리킬 때 사용하는 말이에요. ‘헤아릴 료(料)’와 ‘다스릴 리(理)’가 합쳐져 ‘잘 헤아려 다스림’이라는 뜻을 가 ... 뜻을 가진 글자예요. ‘나무 목(木)’은 나무의 모양을, ‘도끼 근(斤)’은 도끼의 모양을 본떠 만든 상형자랍니다 ... ...
- [과학뉴스] 암 RNA 이용한 만능 항암백신 나올까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최근 면역반응을 활성화시켜 암을 치료하는 항암백신이 주목받고 있다. 독일 요하네스구텐베르크의대 우르가 사힌 교수팀은 다양한 암 ... “대부분의 단백질 기반 항원은 RNA로 설계할 수 있기 때문에 나노입자 백신을 다양한 암에 대한 만능백신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 ...
- [News & Issue] ‘브레인푸드’, 있다, 없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질병이 발병하는 과정에서 한 부분만을 방어하도록 개발됐지만, 식품 성분들은 다양한 경로에서 그 효능을 보입니다.또 최근 연구결과에 따르면 특정 식품 성분은 우리 몸의 유전자발현을 조절해 건강한 유전자를 강화하고 질병을 유발하는 유전자를 잠재우는 데에도 도움을 준다고 합니다. 김지영 ... ...
- Part 2. 인공지능 키워드 1. 빅데이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5주 만에 기보를 모두 분석해 사람들이 바둑을 어떻게 두는지 알아갔답니다.이처럼 많은 양의 ‘빅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었던 이유는 알파고의 성능이 슈퍼컴퓨터 급이기 때문이에요. 알파고의 본체는 미국 구글 본사에 있는 복합 컴퓨터예요. 1202개의 CPU(중앙처리장치)와 176개의 GPU ... ...
- [출동! 섭섭박사] 주스가 쫄깃쫄깃 젤리로 변신! 분자요리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했어요. 김연주 친구는 귀여운 고양이 모양 분자요리를 만들었고, 섭섭박사님은 오리 모양 분자요리를 만들었답니다. 친구들도 요리사로 변신해 가족들과 친구들에게 직접 만든 분자요리를 자랑해 보세요 ... ...
- [지식] 통계 수업이 달라진다!수학동아 l2016년 07호
- 발표하는 프로젝트다.실제로 대구 영남중 학생들은 라면에 얽힌 속설을 알아내기 위해 다양한 실험을했다. 물의 양, 조리 시간 등 다른 조건을 모두 같게 하고 스프와 면을 넣는 순서만 다르게 해서 라면을 끓였다. 그 결과 스프를 먼저 넣은 라면이 맛있다는 의견이 더 많았다. 그런데 스프를 빨리 ... ...
이전17717817918018118218318418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