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구도"(으)로 총 8,834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오스트랄로피테쿠스, 모유 수유 오래 했다과학동아 l2019년 08호
- 호주 서던크로스대 지구과학과와 미국 마운트 사이나이 아이칸 의대 공동 연구팀은 남아프리카공화국 스테르크폰테인 동굴에서 발견된 200만 년 전 고대 인류의 치아를 분석해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아프리카누스의 식습관을 확인했다고 국제학술지 ‘네이처’ 7월 15일자에 발표했다. 오스트랄로 ... ...
- [인포그래픽] 세계의 유인잠수정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우리가 심해에 도전하는 이유는 한 단어로 요약된다. 호기심. 바닷물이 짓누르는 초고압이 작용하는 극한 환경에서 생명체가 존재할 수 있을까. 생명체가 존재한다면 어떤 모습일까. 그간 인류는 심해 탐사를 통해 지구 최초의 생명체가 바다에서 탄생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심해가 유용한 광물 ... ...
- 질소, 질식 기체 오명 벗고 인류 책임진 슈퍼 히어로과학동아 l2019년 08호
- 대기 중 가장 많은 부피를 차지하고 있는 질소는 지구에서 가장 흔한 원소 중 하나다. 또한 단백질을 이루는 아미노산의 구성 원소 중 하나로, 생명체에 없어서는 안 될 필수 원소이기도 하다. 질소를 다루는 방식은 과학 연구뿐만 아니라 산업, 농업 등에 큰 영향을 끼쳤다. ‘세상을 바꾼 원소’ 중 ... ...
- 겨울왕국 ‘엘사 아빠’ 김상진 감독 “애니메이터에게 필요한 건 상상력과 지구력”과학동아 l2019년 08호
- ‘라푼젤(Tangled)’ ‘겨울왕국(Frozen)’ ‘모아나’ ‘빅 히어로’…. 디즈니의 대표적 흥행작인 이들 작품에는 한 가지 공통점이 있다. 영화 속 매력적인 캐릭터가 한국인의 손을 거쳐 탄생했다는 사실이다. 한국인 최초로 월트디즈니애니메이션스튜디오 수석 애니메이터로 일했던 김상진 감독(현 ... ...
- [비하인드 로켓] 한국 로켓 개발의 서막, 과학로켓 ‘KSR’과학동아 l2019년 08호
- ※편집자 주. 한국 최초의 우주발사체 나로호를 개발할 수 있게 된 데는 과학로켓 ‘KSR(Korea Sounding Rocket)’ 시리즈의 역할이 컸다. 미사일을 실어 나르는 로켓이 아니면 그 필요성을 인정받기 어렵던 30여 년 전, 과학로켓 연구가 어떻게 싹을 틔워 나로호 개발로 이어졌는지, 나로호 발사를 성공으로 ... ...
- [큐레이터] 빛으로 공간을 만드는 예술가수학동아 l2019년 08호
- 빛과 공간을 예술 작품으로 승화시킨 예술가가 있습니다. 미국의 설치미술가 제임스 터렐입니다. 터렐의 작품은 '관람'보다는 '탐험'이라는 말이 더 어울릴 것만 같습니다. 무슨 의미인지 궁금하다면, 지금 바로 저와 함께 터렐의 작품을 탐험배 보시죠. 터렐의 작품은 그저 판에 박힌 단어만으 ... ...
- 포항이 본래 불안정했다고요?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8호
- 그럼 포항 지열발전소에서 물을 주입한 것은 방아쇠 역할만 한 거고, 이미 그 전에도 포항의 지각이 불안정 했단 뜻 맞나요? 왜 그런 걸까요? 동일본대지진과 경주 지진이 영향을 미쳤다2011년 이웃나라인 일본에서 일어난 규모 9.0의 동일본대지진과 2016년 경주에서 일어난 규모 5.8의 지진이 포항 ... ...
- [JOB터뷰]유쾌한 지구 생각 십년후연구소 조윤석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조 소장의 호기심은 멈추지 않는다“기자님은 대학에서 뭘 전공하셨어요?”4월 2일, 서울 마포구의 한 카페에서 조윤석 십년후연구소 소장은 기자를 보자마자 대뜸 물었어요. 훅 들어온 질문에 당황한 기자가 답했지요.“어…. 물리랑 철학을 전공했어요.”조 소장은 눈을 반짝이며 ‘판데르발스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안테나(Antenna)안테나는 전자기기에서 전파를 보내거나 받기 위한 금속 장치를 말해요. 영어인 안테나는 한국말로 ‘더듬이’를 뜻해요. 곤충들이 머리에 있는 더듬이로 정보를 받아들이는 것처럼 ‘전파를 잡는다’는 의미에서 붙여진 이름이랍니다. 생긴 것도 더듬이와 비슷하지요.개인 주택이 ... ...
- 선조의 기록에서 찾은 별 이야기수학동아 l2019년 08호
- 대부분 서양의 천문학이 동양보다 월등히 앞서 발전했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우리 선조의 기록을 보면 서양보다 훨씬 앞선 것이 많습니다. 또 현대 천문학자가 풀지 못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도 도움을 주고 있습니다. ▲ PDF파일에서 고화질 이미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물병자리 변광성의 ... ...
이전17717817918018118218318418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