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충족
충만
만족
흡족
배가득
만복
넉넉함
d라이브러리
"
충분
"(으)로 총 2,439건 검색되었습니다.
고형 암, 항암제 거부현상 밝혀
과학동아
l
1994년 10호
따라 돌아 목적지에 도달한다. 암세포를 일소하기 위해서 약제는 모든 세포를 없애는데
충분
한 농도로 그 장소에 도달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런데 이 과정에서 암의 장벽에 부닥치는 것이다. 고형암의 장벽에 관한 연구가 진전되면 그 극복방법에 대해서도 몇가지 가능성이 나올 수 있을 것이라 ... ...
신생 통신 서비스 나우콤에 관심 몰려
과학동아
l
1994년 10호
바 있다.타 서비스에 비해 늦게 출발했음에도 나우콤에 관심이 몰리고 있는 이유는
충분
하다. 물론 새로운 것에 대한 사용자들의 호기심도 적지 않게 작용하겠지만 제공 서비스면에서도 타 통신 서비스와 차별화가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 특히 사용자들이 가장 많이 찾는 자료실은 비교적 정돈된 ... ...
멀티미디어 과학기술 백과사전
과학동아
l
1994년 10호
쓰고 장식용으로 전락하기 쉬운 종이 덩어리에 '생명을 불어넣었다'고 표현하기에
충분
하다.타이틀에 수록된 내용은 각 분야에서 권위를 인정받고 있는 전세계 3천명의 과학 기술자들이 집필한 것이다. 원자료의 뛰어남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훌륭하게 멀티미디어와 접목시킨 이 타이틀의 내용을 ... ...
창원대(메카트로닉스 분야)
과학동아
l
1994년 10호
있습니다. 이에 따라 창원대는 교육의 목표 하한선을 '우수한 엔지니어의 양성'에 두고
충분
한 실험실습 및 현장경험을 통해 산교육을 받은 엔지니어를 배출하고자 합니다."물론 일부 학생들은 본인의 능력 및 희망에 따라 학교에서 또는 기업에서 계속 공부해 그 분야의 학자나 연구자가 될 수도 ... ...
생물- 수질오염원인 과학적 탐구요령
과학동아
l
1994년 10호
되는 이온들의 변화가 크다고 할 수 있는가?2) 어떤 이온의 농도가 물고기를 죽일 만큼
충분
한가? 4. 자료의 해석 및 결과의 분석6개월 전과 비교해서 농도가 증가한 이온은 납과 황산이나, 이들 이온이 물고기를 죽일 만큼 증가했다고 판단하기는 어렵다. 그러므로 독극물질에 의해 물고기가 죽었을 ... ...
(3) 인공단백질 합성방법 5가지
과학동아
l
1994년 09호
태어날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만큼 단백질의 구조와 기능 사이의 상관관계가
충분
히 밝혀지지 않은 상태이므로 설계에서부터 잘못을 저지를 수 있다는 이야기다. 자연에 존재하는 어떤 단백질 일부만 뜯어고친다는 것은 단백질을 만들고 있는 아미노산 사슬중에서 어떤 특정 아미노산 하나 또는 ... ...
PART 1. 미·소 탐험 경쟁서 미국 주도로
과학동아
l
1994년 09호
사용되기 시작한 새턴 5형 로켓은 그 뒤 여러 차례의 성공적인 비행을 통해 달 탐험에
충분
히 이용될 수 있는 훌륭한 초대형 로켓임이 증명됐다.한편 러시아의 소유즈계획도 1967년 소유즈 1호가 발사됨으로써 시작된다. 그런데 소유즈 1호는 발사한 지 하루만에 비극을 낳는다. 우주비행사가 지구로 ... ...
PART 2. 무진장의 자원이용, 공업화 5단계
과학동아
l
1994년 09호
그러나 달에서도 남북아메리카 대륙에 필적하는 독자적인 문명을 유지할 수 있는
충분
한 조건을 갖추고 있다. 단 고도로 발달한 사이버네틱스(인공지능) 기술과 바이오테크놀로지, 또는 첨단 물질가공기술이 전제되어야 한다. 에리케박사는 "최종적으로 달은 지구에 의존하지 않고도 달궤도상의 ... ...
'씨앗은행' 돈벌이 이용 위기
과학동아
l
1994년 09호
아니다. 세계에서 생산되는 식량의 절대량은 이미 인류를 모두 먹이고도 남을 만큼
충분
하다는 말이다.오랜 세월동안 천형(天刑)으로 불리던 기아에서 인류를 구원한 것은 사람들이 별로 들어본 바 없는 극소수의 식량 관련 연구소들이다. 서방의 기부자들에 의해 지난 50년대에 설립된 전세계 18개의 ... ...
인간사회 축소판 개미의 세계
과학동아
l
1994년 09호
번식에 있다. 여왕개미는 수명이 길기 때문에 한번의 교미로도 수년간 많은 알을 낳기에
충분
하다. 그러나 수컷은 결혼비행만 끝나면 곧 죽고 만다. 새로운 군집을 이룬 여왕이 최초의 알과 새끼에게 기울이는 모성애는 대단하다. 애벌레가 성숙할 때까지 먹여 살리는데, 이 동안에 여왕의 날개 ... ...
이전
177
178
179
180
181
182
183
184
1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