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열쇠
신장
key
방향타
자물쇠
몸집
풍채
d라이브러리
"
키
"(으)로 총 1,908건 검색되었습니다.
두루미·산양·노루가 두려움 없이 살다
과학동아
l
1988년 05호
부리끝에서 꼬리끝까지의 몸길이가 1백40㎝나 되는 큰 새로 긴다리를 버티고 설때는
키
가 1백50㎝를 넘는다. 산양은 염소형태의 야생양으로 숫자가 매우 적고 학술적으로 대단한 의미를 지닌 한국의 진수이다. 우리나라에서는 태백준령에 뿌리를 둔 인적없는 기암절벽의 산악지대에 국지적으로 ... ...
세무 자문을 해준다
과학동아
l
1988년 05호
지식분석도로 표현된 사실은 자동적으로 (그림14)와 같은 규칙으로 전환시
키
기 위해 LIFT를 개발하였다. LIFT를 사용함으로써 세무전문가들은 그들의 지식을 효과적으로 표현해줄 수 있게 되었다. SKI 2는 (주)쌍용컴퓨터의 요청으로 한국과학기술원 경영과학과 연구팀이 개발하였고, 현재 ... ...
표준 체중에서 15%이상 감소하면 임신 곤란
과학동아
l
1988년 04호
있다.‘사이언티픽 아메리칸’지가 보도한 내용을 간추리면···. 15년간 학자들은
키
에 기준해 산출한 정상 체중에서 15%이상 감소하면 배란이나 월경주기에 이상이 생긴다는것을 발견했다. 이것은 바로 임신에 관련된 얘기다.여성 호르몬인 ‘에스트로젠’은 지방축적을 조절하는데 억지로 ... ...
아인슈타인 이후의 위대한 과학자 스티픈 호킹
과학동아
l
1988년 04호
넣어 숨을 쉴 수 있게 되었다. 이 수술덕에 그는 목숨은 건졌으나 목소리는 침묵을 지
키
게 되었다. 그러나 그의 병세는 이제 더 이상의 진전을 멈춘 것 같다.호킹의 몸은 ALS라는 불치의 병의 포로가 되었으나 그의 용기와 유머는 옛날 그대로 살아 있다. 호킹은 손을 쓸 수 없기 때문에 긴 수식을 ... ...
내가 본 남극과 세종기지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있는데 이중 대표적인 것은 황제펭귄과 아델리펭귄. 황제펭귄은 몸 무게가 45kg나 되고
키
는 1m나 된다. 아델리섬을 중심으로 살고 있는 아델리펭귄은 강한 귀소성을 갖고 있는데 3천km 떨어진 곳에서도 집을 찾아온다. 아델리섬은 중공기지 바로 앞에 있는데 썰물이면 육지가 해면으로 드러나 ... ...
옛 괴물들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못하다. 1600년대까지도 '코끼리 새' 혹은 '애피오니스'가 마다가스카르에 살고 있었다.
키
는 10피트 밖에 안되지만 무게는 1천파운드에 달했다. 이 새의 알은 알 중에서 가장 커서 2 1/3 갤론의 용적을 갖고 있었다. 이것은 타조알의 7배에 해당된다. 또는 곤충을 생각해보라. 길이가 7인치 무게가 3 1/ ... ...
태평양의 열대꽃을 찾아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꽃 한가운데가 노랑색으로 물들여져 있어 더욱 아름답게 보인다. 나무 가운데는 비교적
키
가 작은 꽃나무들이 많다. 흰색 노랑색 오렌지색 주홍색 분홍색 또는 붉은 색의 꽃을 피우는 '부우겐빌리아' '무사엔다' 그리고 무궁화는 열대지역 어디에서나 눈에 잘 띄는 대표적인 꽃나무이다. 더러는 ... ...
AIDS바이러스에 유사한 신종 바이러스 발견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1과 HTLV-2는 림프종과 백혈병을 일을
키
고 HTLV-3는 바로 AIDS바이러스이다. HTLV-4는 AIDS를 일으
키
는 것으로 믿어졌으나 최근에는 틀린것으로 간주되고있다. 그런데 AIDS바이러스의 명칭은 아직 정립이 안돼 있다. 국제과학자회의체는 AIDS바이러스를 HIV-1, HIV-2라고 부르고 있으나 '로버트 갈로'등 ... ...
유도제어 우주비행의 핵심적 소프트웨어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주위환경에 의한 요소, 즉 풍속 풍향 중력장 등을 고려하여 발사대를 초기배열화 시
키
는 것이다. 만약 발사가 정밀하지 못하여 이상적인 선회궤도 근방으로 진입하지 못하면 그 로킷은 선회궤도를 이탈해 버리거나, 선회궤도에 진입하기 위하여 제어를 목적으로 싣고 간 여분의 연료를 소모해 ... ...
따비, 괭이에서 달구지, 트랙터까지 농업의 역사를 한눈에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농법(農法)을 보여주는 그림으로 매우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이밖에도 달구지 도리깨
키
등의 농기구도 볼만한 것들이다. 특히 아직도 많은 사람들의 기억에 생생한 달구지는 썪은 상태의 것을 발굴, 복원했는데 본래는 말이나 소 한필이 끄는 짐수레였으나 일제때 네바퀴짜리가 나왔다고 한다. ... ...
이전
177
178
179
180
181
182
183
184
1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