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공
천계
창공
공중
허공
공간
스카이
d라이브러리
"
하늘
"(으)로 총 3,744건 검색되었습니다.
기우(杞憂)와 우주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주비’에서 비(?)는 해를 관측한다는 뜻이 담겨 있다고 한다. 이 책은 땅과
하늘
의 거리가 8만 리라고 했는데 삼각형의 닮음을 이용해 태양까지의 거리를 측정했다. 즉 태양 바로 아래 지점에서 6만 리 떨어진 장소에 8자짜리 막대기를 세웠을 때, 그림자의 길이가 6자였다. 삼각형의 닮음비를 ... ...
터미네이터 로봇의 진화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피해 움직인다.5월 21일 개봉한 영화 ‘터미네이터: 미래 전쟁의 시작’에는 지상은 물론,
하늘
과 물속까지 넘나드는 로봇 군단이 등장한다. 2m가 넘는 걸어다니는 병기 ‘T-600’, 날렵한 몸체에 인간을 닳은 터미네이터 ‘T-800’, 공중을 순찰하다 미사일을 발사하는 전투기형 터미네이터 ‘헌터 ... ...
하늘
을 나는 자동차의 꿈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정해져 있다”며 “항공기는 절대로 새처럼 자유롭게
하늘
을 날 수 없다”고 지적했다.
하늘
을 나는 자동차가 늘어날 경우를 대비해 공중 충돌을 예방하기 위한 관제시스템을 정비하고 관련 법규도 준비해야 한다는 말이다. ... ...
色이 돈을 만든다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버무려져 있는 빨간색은 주의력을 기울여 무언가를 피해야 한다는 메시지를 주는 반면
하늘
, 바다 같은 ‘수용’ 이미지와 결합돼 있는 파란색은 창의력을 안정적으로 강화하는 효과를 낸다”고 설명했다. 이를 종합하면 같은 치약이라도 광고에 어떤 색을 많이 쓰느냐에 따라 충치를 예방하는 ... ...
인간의 역사와 함께한 한국의 귀화식물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넘치고 감동 가득한 이야기로 만날 수 있다.청소년을 위한 유쾌한 물리상식김기태 지음 |
하늘
아래 | 264쪽 | 1만 3000원위대한 발명과 발견은 대부분 일상생활과 동떨어진 곳에서 나온 게 아니라 가까이 접하고 있는 사물과 여러 가지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과정에서 나온다. 저자는 이처럼 주변의 ... ...
엑스맨탄생 울버린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어디까지인지 궁금해지는 대목이다. 만물의 영장이라고는 하지만 우리 인간은 스스로
하늘
을 날지 못하고 산소통 없이는 물속에서 5분 이상 버틸 수도 없다. 남극을 정복하고 우주를 여행하는 것도 과학이라는 울타리 안에서만 가능한 일이다. 그렇다면 영화적 상상력이 뒷받침되지 않는 상황에 ... ...
봄 식단의 진객 주꾸미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있다/ 그들은 자기들이 만든 소라고둥 껍질 속에 들어앉은 채 누군가에게/ 자기들을
하늘
나라로 극락으로 데려다 달라고 빈다”주꾸미를 주인공으로 한 한승원 작가의 시다. 오랜 세월 변함없이 사랑하고 보금자리를 마련하고 알을 돌보고 생을 마감하는 주꾸미들이 미련한 것일까. 주꾸미 동상을 ... ...
백성을 굽어 살피는 어진 소리 편경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진동수가 1260Hz에 이른다.편경은 왜 ‘ㄱ’자 모양일까. 악학궤범에는 편경의 모양이
하늘
을 굽어 땅을 덮는 형상이라고 적혀있다. 어진 임금이 되려면 항상백성을 굽어 살피라는 공자의 가르침이 담긴 셈이다.그래서 세종대왕은 편경과 더불어 대금, 피리 같은 악기로 연주하는 ‘여민락’(與民樂 ... ...
과학고 입시 예상문제 완전분석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보일 것이다. 남반구 그믐달 또는 북반구 초승달은 남북반구 모두 해가 진 후 서쪽
하늘
에서 볼 수 있다. 2) 남반구와 북반구의 지평선은 오른쪽 그림과 같이 달라지므로 남반구의 스마일 쇼가 북반구에서는 ②번처럼 보인다. 화 학 5. 효모에 의한 발효과정을 알아보기 위해 다음과 같은 실험을 했다. ... ...
자연 속의 역제곱법칙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정의했다. 이를 계산하면 1등급 간의 밝기 차이는 1001/5=2.512배다. (나) 아래 그림은 밤
하늘
의 일부분을 대형 망원경으로 관측한 것이다. 등급이 m인 별이 있을 때, 이 별보다 밝은 별의 개수 N(<m) 이 어떻게 변하는지 나타냈다. 별과 별 사이에 밝기를 감소시킬 물질이 없다고 하면, 별의 밝기는 거리의 ... ...
이전
177
178
179
180
181
182
183
184
1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