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정보
뉴스
비평
보도
논설
내용
기술
뉴스
"
기사
"(으)로 총 6,548건 검색되었습니다.
읽다 보면 저절로 수학지식이 쌓인다! 인기웹툰 '수학 잘하는 법'
수학동아
l
2018.12.09
네이버 일요 웹툰 ‘수학 잘하는 법’은 미국 클레이 수학연구소가 제시한 7대 난제인 ‘밀레니엄 문제’에 도전하는 두 주인공의 이야기를 그린 ... 수학은 여러 학문 중에서도 순수함이 가장 어울리는 학문이라고 생각한다. 관련
기사
: 수학동아 2018년 12월호 [매스미디어] 수학 잘하는 ... ...
[프리미엄 리포트]한없이 가볍고 따뜻한 패딩 깃털 얼마나 알고 입나
과학동아
l
2018.12.09
덕 다운, 구스 다운.. 올 겨울 패딩 충전재 어떻게 고를까. 사진 이한철 깃털은 태생부터 보온력을 타고났다. 그 중에서도 으뜸은 솜털이다. 이은옥 ... 기름 성분에서 냄새가 발생할 수 있어 통풍이 잘 되는 곳에서 보관하는 게 좋다. 관련
기사
: 과학동아 12월호 '패딩은 왜 깃털을 사랑하나 ... ...
감마선으로 보이지 않던 별자리 새 지도 만든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8.12.08
부른다. 겨울에는 대삼각형과 대육각형, 별자리를 볼 수 있다. 관련
기사
: 어린이과학동아 12월 (2018.12.1 발행) 헐크와 고질라가 밤하늘에? 새로운 별자리가 떴다 ... ...
[노벨상 시상식] 암 치료 패러다임 바꾼 면역 항암 치료
2018.12.08
많은 과학자들과 그들의 연구를 더욱 발전시켜 줄 미래의 과학자들을 응원한다. 관련
기사
: 과학동아 2018년 11월호 2018 노벨상 ※ 필자소개 임승외 (kangsukki@gmail.com) 미국 퍼듀대 약대교수로 재직중이다. 주요 연구주제는 암세포의 면역 회피기작과 면역 항암치료법이다. 미국 텍사스주 ... ...
[노벨상 시상식]효소와 항체 생산의 진화를 이끌다
2018.12.08
날이었다. 그 카드에는 ‘할 수 있다고 믿었기에 결국 해냈다’고 적혀 있다. 관련
기사
: 과학동아 2018년 11월호, 2018 노벨상 ※ 필자소개 정상택 국민대 응용화학과 교수 서울대 화학공학과를 졸업한 뒤 동 대학원에서 화학공학 석사 학위를, 미국 오스틴 텍사스대에서 화학공학 박사학위를 ... ...
[노벨상 시상식] ‘신의 빛줄기’를 자유자재로
2018.12.08
노벨상위원회 제공 올해 노벨 물리학상은 새로운 레이저 기술을 개발한 제라르 무루 프랑스 에콜 폴리테크니크 명예교수, 도나 스트리클런드 캐나다 워털루대 교 ... 강연을 한 바 있다. 당시 여성 과학도들을 격려하는 희망의 메시지를 전했다. 관련
기사
: 과학동아 2018년 11월호 2018 ... ...
[노벨상 시상식]빛으로 나노입자 집는 ‘광집게’
2018.12.08
광집게 장치 앞에서 아서 애슈킨 박사. 노벨위원회 제공 눈에 보이지 않을 만큼 작은 입자를 집는 방법은 없을까. 빛의 힘을 측정하던 아서 애슈킨 미국 벨연구소 연구원(현 ... 명언을 떠올리게 된다. CLEO 2014에서 발표중인 아서 애슈킨 박사 관련
기사
: 과학동아 2018년 11월호, 2018 ... ...
최근 노벨상 5대 트렌드
과학동아
l
2018.12.08
※12월 10일 과학계 최고 이벤트인 노벨상 시상식을 맞아 과학동아 2018년 11월호에 게재된 '2018 노벨상' 글을 싣습니다. 관련
기사
보기 ▲물리학-‘신의 빛줄기’를 ... 안정적인 연구를 추구할 수 있는 정책적인 뒷받침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관련
기사
: 과학동아 2018년 11월호, 2018 ... ...
[과학 읽어주는 언니] 간지럼은 왜 탈까?
동아사이언스
l
2018.12.06
수도 있다. 그래서 간지럼을 ‘정서적 감각(emotional sensation)’이라고도 부른다. 관련
기사
: 과학동아 2018년 12월 [Tech & Fun] 왜 어떤 간지럼은 고문이 될까 ... ...
미래 소재 ‘산화 그래핀’ 대량공정 난제 풀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03
농도 변화에 따른 산화 그래핀의 유효부피(필요한 공간 크기)와 분산을 비교했다. 고분자(
기사
에서 고양이로 비유)를 넣으면 서로 밀어내던 산화 그래핀도 어느 정도 가까이에 서로 존재할 수 있다는 게 이번 발견의 핵심이다. -사진 제공 UNIST 심 연구원팀은 용액의 점도를 낮추기 위해 꿀처럼 끈적한 ... ...
이전
177
178
179
180
181
182
183
184
1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