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위
인조
가공
가상
시뮬레이션
모조
사이버
뉴스
"
인공
"(으)로 총 7,804건 검색되었습니다.
서막 오른 우주인터넷 시대...'유령'
인공
위성 우려도 커져
동아사이언스
l
2023.10.16
한 예다. 저궤도
인공
위성의 수가 본격적으로 급증하는 가운데 늦어도 2027년 WRC까지는
인공
위성 등록 과정 및 운영에 대한 규제 절차를 완수해야한다고 강조했다. ... ...
AI로 환자 통증 감지해 후유증 줄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23.10.15
시스템이 개발됐다. Wasan Tita/게티이미지뱅크 제공. 환자의 통증을 감지할 수 있는
인공
지능(AI) 시스템이 등장했다. 수술 전후와 수술 도중 통증 감지를 하는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미국 샌디에이고 캘리포니아대 의대 연구팀은 14일(현지시간) ‘미국마취과학회 2023 연례회의’에서 이같은 ... ...
[과기원NOW] KAIST, '
인공
지능과 예술' 논하는 국제 심포지엄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10.13
ART MUSEUM AI+ART국제심포지엄 포스터. KAIST 제공 ■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인공
지능(AI)와 예술을 주제로 오는 19일 대전 카이스트 본원 대강당에서 국제심포지엄을 개최한다고 13일 밝혔다. AI 시대에서 예술의 경계가 어디까지인지를 묻고 이에 대한 담론을 나눈다. 심포지엄에는 캐이 왓슨 영국 ... ...
화산재에 파묻힌 로마제국 문서, AI로 읽어냈다
동아사이언스
l
2023.10.13
학사원이 주최하는 '베수비오 챌린지(Vesuvius challenge)에 참가한 국제 연합팀이 기계학습한
인공
지능(AI)를 활용한 3D 엑스레이(X-ray) 스캔으로 고대 문서 속 문장을 일부 읽어내는 데 성공했다. 베수비오 챌린지는 베수비오 화산 폭발로 폼페이와 함께 파묻힌 고대 도시 헤르클라네움의 고대 ... ...
[기술패권 시대 우리말] ⑨풀어드립니다…합성생물학·세포치료제
동아사이언스
l
2023.10.13
유전자 치료는 질병을 유발하는 유전자를 특정해 교정하는 치료법이다. 세포치료법은
인공
적으로 배양한 세포를 체내에 주입해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을 말한다. 이를 활용한 암 치료제 개발이 활발하다. 대표적인 것이 2018년 노벨생리의학상을 수상한 '면역관문 억제제'다. 면역관문(immune ... ...
돼지 신장 이식한 원숭이, 최장 생존 기록 썼다
동아사이언스
l
2023.10.13
거부반응을 줄인 것이다. 아울러 돼지의 유전자를 인간의 유전자와 닮게 하기 위해
인공
적으로 편집한 유전자 7개를 돼지의 유전자에 이식했다. 이 유전자들을 발현해 돼지의 유전자에서 돼지 레트로바이러스를 유발할 수 있는 유전자를 모두 비활성화시켰다. 이번 신장 이식 실험으로 돼지 ... ...
[과기원NOW] 포스텍, 3차원 나노프린팅 기술로 '메타물질' 상용화 한 걸음 더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10.13
12일 밝혔다. 성능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여러 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인공
지능(AI) 딥러닝 기술이다. 연구팀이 적용한 신경망 구조 탐색 기술은 기계가 자동으로 다양한 모델을 시도해 최적의 모델을 만드는 기술이다. 기존 작업물 사이의 관계성을 학습하면서 각 작업에 최적화된 신경망을 ... ...
[과기원NOW] GIST, 어린이 독서활동 지원 AI 로봇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10.11
안내 로봇 시제품. GIST 제공. ■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어린이 독서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인공
지능(AI) 기반 로봇 서비스를 이달 중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에서 시범 운영한다고 11일 밝혔다. 주관연구기관은 GIST 한국문화기술연구소로, 김홍국 전기전자컴퓨터공학부 교수가 로봇 및 서비스 콘텐츠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노벨상도 혁신이 필요하다
2023.10.11
이룩된 과학 발전의 현실을 더 적극적으로 반영하기 위해서 환경‧컴퓨터‧로봇공학‧
인공
지능(AI) 등의 새로운 과학 분야에도 노벨상을 줘야 한다는 목소리가 상당한 설득력을 발휘하고 있다. 사실 물리‧화학‧생리의학의 구분도 애매해지고 있다. 특히 화학의 경우가 그렇다. 1980년대까지만 해도 ... ...
[과기원NOW] DGIST, 박상현 교수 연구팀 美 스탠퍼드대와 공동으로 의료용 AI 기술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10.11
인공
지능전공 교수 연구팀이 미국 스탠퍼드대 연구팀과 공동으로 의료 분야
인공
지능(AI) 기술을 개발했다고 10일 밝혔다. 개인정보 및 데이터를 공유하지 않아도 대규모 모델학습이 가능한 연합 학습 AI 기술이다. 의료 분야에서 딥러닝 모델을 적용할 때는 환자의 개인정보 침해 우려 등으로 각 ... ...
이전
177
178
179
180
181
182
183
184
1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