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백
d라이브러리
"
100
"(으)로 총 3,859건 검색되었습니다.
말보다 정직한 ‘몸의 언어’
과학동아
l
201012
안동대 지구환경과학과 정기영 교수는 어뢰 추진체에서 발견된 물질의 성분을 분석한 뒤
100
℃ 이하의 온도에서 만들어지는 ‘비결정성 알루미늄황산염수화물’이라고 주장했다. 이는 이 물질이 고온고압의 폭발로 만들어진 ‘비결정성 알루미늄산화물’이라는 합조단의 주장을 뒤집는 내용이다. ... ...
산업에서 의료까지 레이저가 다듬는다
과학동아
l
201012
2차 반응을 유도하는 것이다. 수십 나노미(1nm=10억 분의 1m)에서 수백 마이크로미터(1μm=
100
만 분의 1m)크기의 매우 작고 정교한 마이크로 및나노구조물을 제조·가공·합성할 때 쓴다. 극히 짧은 시간 동안 레이저를 쏘는 펨토초(1fs =
100
0조 분의 1초)레이저가공도 하고 있다. 펨토초가공은 열에 의한 ... ...
겨울에는 ‘춥게’ 입어라
과학동아
l
201012
데에도 어느 정도 기여할 수 있다는 결론을 내렸다.물론 옷을 입는 방법 하나로 병을
100
% 예방할 수 있다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옷은 하루 종일, 매일 입기 때문에 옷 입는 습관을 바로 잡으면 근본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 또 부작용이 적으며 일상생활에서 누구나 쉽게 할 수 있는 방법이라는 ... ...
[부록] 비교의 여왕, 부등식
수학동아
l
201011
어떤 내용이 담겨 있을까요?만남1 수의 크기 비교와 어림하기초등학교 1학년 때는 ‘
100
까지의 수’ 단원에서 수의 순서를 이해하고, 수의 크기를 비교합니다. 또한 두 수의 크기 비교에 대한 문장으로 수학을 기호로 표현하는 방법을 배웁니다. 4학년 때는 ‘수의 범위와 어림하기’ 단원에서 발전된 ... ...
‘시험관 아기’로 신의 섭리 넘어서다
과학동아
l
201011
스텝토 박사는 사람 난소에서 난자를 채취해온 산부인과 전문의였다. 그들은 12년 동안
100
번 이상 실패를 거듭한 끝에 1978년 드디어 체외수정으로 아기를 탄생시키는 데 성공했다. 당시에는 한 달에 한 개씩, 자연적으로 배출되는 난자를 갖고 시술했기 때문에 임신 성공률이 낮았다.10% 불과했던 ... ...
한국 인공태양 핵융합 리더가 되다
과학동아
l
201011
지난 10월 11일부터 16일까지 대전 컨벤션센터에서는 핵융합 기술의 최신 연구 성과를 점검해 볼 수 있는 제23회 국제원자력기구(IAEA) 핵 ... ITER조차 2019년에야 건설이 완료돼 첫 플라스마 실험을 할 수 있다”며 “에너지 문제는
100
년을 내다보는 장기적인 전략을 세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 ...
흑인 부모는 어떻게 백인 아기를 낳았을까
과학동아
l
201011
지금까지 인간에게서 밝혀진 ‘피부색 유전자’는 약 10여 개 정도다. 그러나 생쥐는
100
개 이상의 유전자가 피부색과 관련된 것으로 밝혀졌다. 우리가 모르는 많은 유전자들이 피부색에 관련돼 있다고 볼 수 있다. 과학자들은 3번째나 마지막 가능성에 무게를 싣고 있다.피부색은 멜라민의 ... ...
모의평가와 EBS 꼼꼼히 분석해야
과학동아
l
201011
초중고 12년간 배워온 모든 수학적 능력을 발휘하고 나와야 하는 운명적 시간이다. 이
100
분을 어떻게 배분하고 어떠한 순서로 해결해 나가는 것이 나에게 가장 적합한지를 고민하고 찾아야 한다. 가급적이면 빨리 풀 수 있는 문제부터 골라서 문제를 푼다. 처음 보는 유형이나 시간이 오래 걸릴 ... ...
우주 끝까지 외계행성 찾는다
과학동아
l
201011
상상보다 훨씬 멀다. 지구는 태양으로부터 1억 5000만km 떨어져 있다. 자동차처럼 시속
100
km의 속도로 간다면 170년 정도 걸리지만 빛의 속도로는 8분이면 도착한다. 8분과 170년만 해도 매우 큰 차이지만, 별까지의 거리는 훨씬 더 멀다. 그래서 별 주위를 공전하는 행성을 별과 구분해 관측하기 어렵다. ... ...
투명테이프가 선물한 노벨상
과학동아
l
201011
모양은 변하지만 그물의 연결 상태는 변하지 않는 것과 같은 원리다. 강도는 강철보다
100
배 강하고, 면적의 20%를 늘려도 끄떡 없을 정도로 신축성도 좋다. 더구나 이렇게 구부리거나 늘려도 전기 전도성이 사라지지 않는다.그래핀은 열 전도도도 구리의 10배가 넘고, 빛의 98%를 통과시킬 정도로 ... ...
이전
178
179
180
181
182
183
184
185
18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