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두뇌
머리
골
대뇌
두개골
뇌수
d라이브러리
"
뇌
"(으)로 총 3,230건 검색되었습니다.
2000년 조지프 르두 교수의 기억 재강화 메커니즘 규명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Our data show that consolidated fear memories, when reactivated, return to a labile state that requires de novo protein synthesis for reconsolidation. These findings are not predicted by ...
뇌
는 ...
머리가 크다고 똑똑하진 않아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단세포 생물에서 다세포 생물로 진화할 때와 무척추동물에서 척추동물로 진화할 때
뇌
속 신경세포의 연결이 급격히 복잡해졌다”며 “이것이 인류 진화의 원동력이었다”고 설명했다 ... ...
2. 식물에서 찾은 다이어트 묘약?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장기가 포도당을 이용할 수 있도록 순환율을 높인다. 반면 인슐린이 많이 분비되면
뇌
의 시상하부가 자극돼 허기진다.LG생활건강은 2007년 나린진의 향을 이용해 식욕을 없애주는 치약을 개발했고 일본 화장품 회사인 시셰이도는 2003년 나린진이 포함된 슬리밍 마사지 제품을 출시했다. 마사지 제품의 ... ...
뜯어봅시다 닌텐도 Wii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위협을 받는 것처럼 긴장하며 땀 분비량이 늘었다.이는 시각과 촉각을 일치시키려는
뇌
의 작용 때문에 발생한다. 등을 찌르는 자극이 반복해서 동시에 일어나자 실험자는 가상현실의 캐릭터가 자신인 것처럼 느낀 것이다. 연구팀은 “자아가 자신의 몸을 떠나 가상의 캐릭터로 옮겨간 것”이라고 ... ...
영혼을 잃고 헤매는 가엾은 육체의 광시곡 바디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우사의 남편이 보이는 증상은 심인성 둔주(도망쳐 달아남)에 가깝다. 심인성 둔주란
뇌
에 특별한 장애가 없는데도 자신의 주체성에 대한 기억을 잃은 채 새로운 주체성을 갖고 가정이나 직장을 떠나 예정에 없는 여행을 갑작스럽게 떠나는 해리성 장애의 하나다.환자는 대개 새로운 이름을 갖고 ... ...
1. 내 몸 지키는 식욕 호르몬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불안하거나 우울증이 있을 때 잠을 못 자는데, 이때 세로토닌의 양에 변화가 생긴다.
뇌
신경전달물질인 세로토닌은 식욕중추에 영향을 주는 물질이므로 그 분비량이 적어지면 식욕도 떨어진다.반면 잠도 못 자는데 살이 찐다는 사람들이 있다. 잠을 못 자면 그렐린의 농도가 높아져 식욕이 당긴다. ... ...
X선 영상에 예술 담는 의사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X선 사진에서 남들이 보지 못하는 것들을 보기 시작했다.콜레스테롤성 육아종이 발병한
뇌
를 찍은 X선 사진에서 하트를 보았고, 수핵탈출증이 발생한 척추의 단면을 찍은 CT 영상에서는 미키마우스의 모습을 찾았다. 그리고 이를 짧은 에세이와 함께 학회지와 신문에 실었다.“환자에게 고통을 주는 ... ...
북극빙하가 녹고 있다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젊은 성인으로 확인되었다 머리가 길며 눈썹 위의 융기(隆起)가 발달되어 있고 코가 넓다
뇌
용량은 약 1,100㏄여서 네안데르탈인으로 보기에는 적은 편이다 이것이 인류의 어느 그룹에 속하는지는 명확하지 않으나 어떤 점에서는 호모 에렉투스를 닮았고 또 어떤 점에서는 네안데르탈인과 비슷하다 ... ...
갈릴레오 시스템용 두 번째 위성 발사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배란이 일어나지 않는 것은
뇌
의 시상하부-
뇌
하수체계가 제대로 작용하지 않는 경우와
뇌
하수체 호르몬의 균형이 나쁘기 때문에 일어나는 수가 많으므로 호르몬제를 투여하여 배란을 유발시킨다두 종류 이상의 원소가 화합해서 두 종류 이상의 화합물을 만들 때 한쪽 원소의 일정량과 화합하는 또 ... ...
PART2 우리는 누구나 시인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그 사람도 이제 내리막길이야.” 같은 표현은 오른쪽 각이랑을 통해 해석된다. 인간의
뇌
를 영장류나 그 밖의 다른 포유류와 비교해보면 각이랑이 매우 발달했다.“그 사람 매너는 좋은데 너무 차가와. 촌스러워도 따뜻한 사람이 좋지.” “달콤한 말에 속아 넘어가면 안 돼!”우리가 일상적으로 ... ...
이전
178
179
180
181
182
183
184
185
18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