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뉴스"(으)로 총 3,605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아마존 열대우림, 8000년 전 원주민들이 키웠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아마존 열대우림은 지금까지 사람의 손길이 전혀 닿지 않은 자연 그대로라고 여겨져 왔어요. 그런데 3월 3일, 네덜란드 자연사박물관의 한스 테르 스티지 연구원팀이 아마존의 열대우림은 누군가가 기르던 나무들이라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답니다.연구팀은 아마존에 살고 있는 85종의 나무가 어떻 ... ...
- [과학뉴스] 새로운 문제도 척척~! 똑똑한 뒤영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지난 2월, 영국 퀸메리런던대 올리 로우콜라 교수팀은 뒤영벌이 처음 보는 행동도 금새 배운단 사실을 알아냈어요. 뒤영벌이 완전히 새로운 상황을 배울 수 있다고 밝힌 건 이번 연구가 처음이었지요. 지금까지는 뒤영벌이 꽃 속의 꿀을 먹는 상황처럼 익숙한 상황을 실험했거든요.로우콜라 교수팀 ... ...
- [과학뉴스] 종양생물학 (Tumor Biology)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최근 ‘종양생물학’에 게재된 논문 107편이 무더기로 철회돼 화제다. 세계적인 의학, 과학 전문 출판사 ‘스프링거 네이처’는 4월 20일 성명서를 통해 2012~2016년 종양생물학에 중국 기관이 게재한 논문 107개를 철회한다고 발표했다. 스프링거 측은 이들 논문이 가짜 e메일을 이용해 심사의견을 허 ... ...
- [과학뉴스] 다른 로봇 보고 배우는 로봇 만든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다른 로봇을 보고 움직임을 배워 흉내 낼 수 있는 로봇 시스템이 개발됐다.로봇은 ‘몸’을 이루는 하드웨어와 ‘뇌’를 담당하는 소프트웨어로 작동한다. 지금까지는 로봇의 소프트웨어를 만들 때, 동작을 보고 따라하거나 최적화 기법 등을 통해 동작을 계획하는 방법 중 하나를 적용했다. 하지 ... ...
- [과학뉴스] 인간의 후각, 기대 이상!과학동아 l2017년 06호
- 흔히 인간의 후각 능력은 동물에 비해 떨어진다고 알려져 있다. 뇌 전체에서 후각신경구가 차지하는 상대적 크기(비율)가 다른 포유동물에 비해 작기 때문이다. 그런데 미국 럿거스대 심리학과 존 맥간 교수는 최근까지 나온 후각 관련 논문 101편을 분석해서 통념을 뒤집는 결론을 얻었다.맥간 교 ... ...
- [과학뉴스] 화학자가 새롭게 밝힌 눈송이의 비밀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눈송이를 이루는 얼음 결정의 특성이 새롭게 밝혀졌다. 미국 터프츠대 화학과 메리 제인 슐츠 교수팀은 완전히 편평하고 커다란 육각형의 얼음이 눈송이를 이룬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기존에는 육각형을 이루는 6개의 물 분자 중 3개가 더 낮은 층에 위치하는 ‘의자 모양’ 결정이 눈송이를 이룬 ... ...
- [포커스 뉴스] 랜섬웨어 ‘워너크라이’가 특별한 이유?과학동아 l2017년 06호
- 기관들이 피해를 입었다.한국에서는 CJ CGV가 워너크라이에 감염됐다. CGV는 5월 15일 연합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새벽부터 일부 상영관의 광고 서버가 감염돼 영화 시작 전 상영되는 광고와 상영관 외부 광고판에 랜섬웨어 경고 메시지가 뜨고 있다”고 밝혔다. 16일 기준으로 국내기업의 피해 신고 ... ...
- Part 3. 암 치료, 두 가지 트렌드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새로운 것은 아니다. 심지어 소변, 질액, 침, 날숨에서도 유전정보를 채취할 수 있다는 뉴스가 보도됐다.“그러기 위해서는 액체 속 극소량의 암 DNA를 민감하게 감지하고 정량화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한데 개발이 어려웠습니다. 전체 암 덩어리에서 돌연변이가 일어난 비율은 0.1~10%밖에 안 되거든요 ... ...
- [가상인터뷰] 하루에 2시간 자는 아프리카 코끼리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마법을 익히는 데 푹 빠져 있지. 잠을 자는 시간이 아까울 정도라니까?그런데 최근 과학 뉴스를 보다가 육상 포유동물 중 잠을 가장 적게 자는 동물이 ‘아프리카코끼리’란 사실을 알았어. 코끼리 친구들이 비결을 알려 주면 나도 밤새 과학마법을 익힐 수 있을 것 같은데…. 아프리카코끼리야~, ... ...
- [수학뉴스] 수학만 허락한 시간여행수학동아 l2017년 06호
- 타임머신을 타고 시간여행을 떠날 수 있다면 언제로 가고 싶은가요? 앞으로는 시간여행이 가능해질지도 몰라요. 수학적으로는 얼마든지 가능하기 때문이에요.3월 31일 데이비드 창 미국 메릴랜드대학교 교수팀은 시간여행의 이론적 근거를 중력물리학 학술지 ‘고전 및 양자중력’에 발표했어요. ... ...
이전17817918018118218318418518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