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든"(으)로 총 10,964건 검색되었습니다.
- 아폴로부터 아르테미스까지, 우주복의 진화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우리가 달에 갈 때 입을 우주복을 입고 있습니다. 이 우주복은 모든 우주인에게 맞을 겁니다.” 짐 브라이든스틴 미국항공우주국(NASA) 국장은 10월 15일 워싱턴DC NASA 본부에서 새로운 우주복을 공개했다. 흰색과 파란색, 빨간색이 어우러진 새 우주복 ‘xEMU(Exploration Extravehicular Mobility Unit)’의 ...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사지마비 환자 벌떡 일으킬 뇌-컴퓨터 접속기술과학동아 l2019년 12호
- 기술의 출발점은 뇌 속 신경 활성과 그 역할을 이해하는 것입니다. 따지고 보면 인간의 모든 행동은 신경세포의 활성으로 결정되기 때문입니다.뇌의 전기 신호를 측정하는 방법은 두 가지입니다. 두개골 아래 대뇌에 미세 전극을 찔러 넣거나 표면에 부착하는 침습형과, 두개골 위의 두피 표면에 ... ...
- [수학뉴스] 힐베르트 3번 문제 고차원에서도 풀 실마리 발견수학동아 l2019년 12호
- 각도 정보입니다. 이후 이 분야 수학자는 도형의 부피와 덴 불변량만으로 3차원 이상의 모든 도형을 판정할 수 있는지에 관심을 가졌습니다. 그런데 최근 조나단 캠벨 미국 듀크대학교 수학과 교수팀이 3차원 이상에서 분할합동인 도형들이 실제로 같은 부피와 덴 불변량을 가진다는 것을 일대일 ... ...
- 양자역학 논쟁 중 탄생한 슈뢰딩거 캣수학동아 l2019년 12호
- 현상을 설명할 수 있다고 믿었어. 프랑스 수학자 피에르 시몽 라플라스는 우주에 있는 모든 입자의 위치와 현재 속도를 알면 우주의 미래를 계산할 수 있다고도 말했지. 문제는 고전 역학으로는 원자, 전자, 소립자 같이 작은 입자, 즉 양자의 움직임을 예측할 수 없다는 거야. 그래서 1900년 독일 ... ...
- 각성! 범람하는 데이터 제대로 활용하기수학동아 l2019년 12호
- 열리고 사람들은 흥분에 휩싸였어요. ‘이제 빅데이터만 있으면 모든 걸 예측할 수 있고 모든 걸 제어할 수 있어!’라고 생각했죠. 초반에 특히 주목받았던 것은 ‘SNS 분석’이었어요. 전세계의 사람들이 작성하는 SNS 글을 활용해 가치가 높은 결과를 얻으려 한 거예요. 예를 들어 선거 기간에 ... ...
- [맛있는 수학] 소시지 추측으로 크리스마스 선물 싸기수학동아 l2019년 12호
- 전에 먼저 2차원부터 차근차근 접근해보겠습니다. 아, 참고로 소시지 추측에서 다루는 모든 공간은 유클리드 공간입니다. 2차원 평면에서 같은 크기의 원이 여러 개 있을 때 이 원들을 가장 짧은 끈으로 포장하는 방법은 무엇일까요? 쉽게 연상하기 위해 납작한 동전 초콜릿을 예로 들어볼게요. ... ...
- [영국유학일기] 시험공부, 과제, 인턴십 쉴 틈 없이 바쁜 방학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여행 등 평소 하지 못하는 다양한 경험을 하거나 취업 준비를 하는 사람이 많다. 하지만 모든 사람에게 같은 환경과 기회가 주어지는 것은 아닌 것 같다. 나는 다른 유학생보다 그런 기회가 부족한 사람일 것이다. 그래도 특별한 구석이 없는 내가 이렇게 열심히 살아가고 있다는 사실에 감사하다. ... ...
- 교과서에는 없는 얼음의 특별한 비밀과학동아 l2019년 12호
- 825 결정 구조만 17가지지금까지 얼음 결정은 육각형이라고 계속 언급했다. 하지만 사실 모든 얼음 결정이 육각형인 것은 아니다.우리가 주변에서 볼 수 있는 얼음 결정이 육각형인 것은 맞다. 하지만 흔히 겪을 수 없는 극저온 또는 초고압 상태에서는 다른 모양의 얼음 결정들이 만들어진다. ... ...
- [비하인드 로켓] 나로호 1단 조립완료, 시행착오 1000번 혹독한 지상 검증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오작동의 정확한 원인은 아직도 밝혀지지 않았다. 이처럼 과학과 기술의 영역에서도 모든 현상을 100% 완벽하게 규명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나로호에도 여전히 규명해 내지 못한 불확실성이 있다. 하지만 나로호와 같이 수많은 부품이 연결된 복잡한 기계에 대해 공학적인 시험을 수행하다 보면 ... ...
- [폴리매스 프로젝트] 12월, 세상에 없던 문제에 도전하라!수학동아 l2019년 12호
- 부르며, 일반항은 n번째 항을 n에 관한 식으로 나타낸 거예요. 또한 ‘급수’는 수열의 모든 항을 더한 값을 뜻해요. 예를 들어 1, 3, 5, 7, 9, 11은 첫 번째 홀수부터 여섯 번째 홀수를 오름차순으로 나열한 수열이며, 일반항은 an = 2n-1로 나타낼 수 있지요. 지금까지 밝혀진 바에 따르면 수열은 고대 ... ...
이전17817918018118218318418518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