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목표
의도
취지
표적
대상
동기
비젼
d라이브러리
"
목적
"(으)로 총 3,704건 검색되었습니다.
모리 박사와 함께한 7인의 우주인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8명의 우주인을 배출했다. 1985년 첫 번째로 ‘탑재체전문가’(Payload Specialist ; PS) 선발을
목적
으로 지원자 533명 가운데 서류심사를 비롯한 3단계의 심사를 거쳐 3명의 우주인을 선발했다. 그 후로 1992년에 ‘임무전문가’(Mission Specialist; MS) 1명, 1996년에 MS 1명, 1999년에 국제우주 ...
태양계의 미답지로 가는 여행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신호를 디지틀 신호로 바꾸어 기록하는 테이프리코더 DAT라고도 한다1976년경부터 업무용
목적
으로 연구·시제(試製)되기 시작하여 각종 업무용기로 발전·실용화되고 86년에는 일반용도 나왔다일반용 디지틀 오디오 테이프리코더에는 고정 헤드 방식과 회전 헤드 방식이 있는데, 각각규격이 정해져 ... ...
GPS에 도전장 낸 갈릴레오표 우주나침반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갈릴레오 시스템은 세계 최초의 민간 전용 위성항법시스템이다. 두 시스템은 군사적
목적
이나 전략적인 이해에 따라 언제든 중단될 수 있는 반면 민수용인 갈릴레오는 그렇지 않다.지난 2002년부터 추진되고 있는 갈릴레오 프로젝트는 이 같은 배경에서 시작했다. 개발단계에 소요되는 약 1조5000억원 ... ...
전자잉크 시계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해당한다한번에 많은 별의 스펙트럼을 신속히 촬영할 수 있으므로 별의 스펙트럼 분류
목적
에 쓰이지만 별의 상은 시상의 크기를 가지므로 높은 분리능을 바랄 수는 없다대사과정에 관여하는 기질(基質)이나 조효소(助酵素)에 화학구조가 매우 유사한 물질을 첨가하면 그 대사과정이 길항적으로 ... ...
북극과 남극에 뭔가 특별한 것이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1호
달리 다산기지는 노르웨이 정부가 관리하고 있기 때문에 과학자들은 그때 그때 연구
목적
에 따라 다산기지에 다녀온답니다. 따라서 남극과 같은 월동대가 북극에는 없습니다.다산기지에서는 어떤 연구 활동이 이뤄지나요?다이빙팀이 해양 생물이나 해저토양을 채집해서 돌아오면 실험 분야에 따라 ... ...
2007년 4월 꿈은 이루어진다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받는 중력크기인 3G 환경에서 견디는 능력과 숨어있는 잠재위험 요소를 찾아내는 것이 주
목적
이다. 여기서 선발된 10명은 다시 실제 국산고등훈련기인 KT-1을 타고 아음속 상황에서 견디는 비행훈련과 며칠간 좁고 밀폐된 공간에서 버티는 고립실 테스트를 거치게 된다.후보선발의 분수령인 4차 ... ...
국산 기술로 얼음 바다 가르다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엔진 같은 장비가 설치되고, 필요에 따라 선저(배 바닥부분)를 중심으로 여러 가지 연구
목적
의 센서들이 먼저 장착된다.이 같은 일련의 작업은 육상에서 이뤄진다. 배 자체의 크기와 중량이 거대하기 때문에 몇 개 부분으로 나눠 진행되다가, 마지막 단계에서 하나로 합쳐 전체 형태를 완성한다. ... ...
뇌질환 유전자만 콕 집어낸다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1000로 줄어 신속하고 효율적이다.둘째, 3만5000개 중에서 각 유전자의 기능에 따라 연구의
목적
에 맞는 ‘맞춤형 유전자’를 분리할 수 있다. 지난 몇 년간 많이 사용해 오던 칩이나 프로테오믹스(Proteomics) 같은 기술은 주로 특정 질병모델에서 유전자나 단백질의 양과 질이 어떻게 변하는지를 ... ...
PART1 과학잡지가 바꾼 세상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중반 미국에서 일반인에게 과학기술계의 동정을 알리고 그들의 과학지식을 늘리려는
목적
에서 출발했던 과학대중지 중 가장 성공한 잡지이다. 특히 미국인에게 문명발전과 사회진화의 가장 큰 상징이 하루가 다르게 발전하던 과학기술의 힘이었다는 점이 과학잡지 확대에 기여하였다.이 잡지는 184 ... ...
120억년 전 별빛을 잡는다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공간에서 별이나 은하가 방출하는 자외선을 관측해 은하의 진화과정을 규명하는 것이
목적
이다. 지름 50cm의 반사경을 가진 작은 망원경이지만 시야가 허블 망원경보다 100배나 넓다. 2003년 연구팀은 갈렉스를 이용해 안드로메다은하 전체를 자외선으로 관측하는데 세계 최초로 성공했다.지난해 ... ...
이전
178
179
180
181
182
183
184
185
18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