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울타리
담
장벽
장애물
담장
칸막이
제방
d라이브러리
"
벽
"(으)로 총 1,946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공장기 시대를 여는 신소재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필름형태의 평막보다 속이 빈 섬유형태의 중공사막이 훨씬 효과적이다. 중공사막
벽
에는 1μm보다 작은 구멍(pore)이 많이 있어 요소와 찌꺼기들만이 통과되어 빠져나올 수 있다. 구멍(pore)의 크기는 혈액투석 혈액여과 혈장분리막의 순서로 증가한다. 이러한 중공사의 굵기는 2백~3백μm로서 수천가닥이 ... ...
당신도 PC통신 유저가 될수 있다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필요한 도구PC를 이용하여 통신을 하고자하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처음 부딪히는
벽
은 통신을 하려면 어떤 장비가 있어야 하는지 모른다는 점이다. 그래서 이 글에서는 PC통신을 시작하려는 사람들이 갖추어야할 장비에는 어떤 것이 있으며 그 기능은 무엇인지 알아보고, PC통신을 통해 받을 수 있는 ... ...
남태평양의 진주 폴리네시아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물 속에서 이리 저리 노니는 물고기를 볼수 있다. 노래기 얼룩쥐치 성대등이 조초산호와
벽
옥모양의 해조류사이를 헤엄치고 있다. 그 물고기들이 지나간 자리에는 담청색 또는 밤색 무늬를 가진 큰 거거(조개의 일종)가 조용히 입을 벌리고 있는 것도 보인다.같은 투아모투제도중의 섬인 마니히 ... ...
확산되는 PC통신① 컴퓨터가 맺어준 친구 「엠팔」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하드웨어가 걱정입니다…전원안정 장치라도 하나 사야하는데…" "이제 우리 앞에는 많은
벽
과 언덕이 있을 겁니다. 하지만 산 봉우리가 없으면 산에 무슨 재미로 갑니까?"그날 모두는 전화회선을 걱정하며, BBS의 빛나는 앞날을 빌면서 돼지머리와 막걸리를 차려 놓고 큰절을 올렸다. 첨단기술과 ... ...
사람을 너무 닮아 슬픈 운명에 오랑우탄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관람객의 증언에 따르면 호세군의 방 한가운데에 마련되어 있던 널빤지 두장을 벗겨
벽
위에 기대놓은 뒤 여기에 다른 널빤지를 세워나갔다고 한다. 말하자면 임시 사다리를 만들어서 탈출을 시도한 것이다. 이때 호세군은 널빤지로 만든 사다리를 타고 일단 올라갔으나 길이가 짧아 철조망을 넘을 ... ...
속도의 한계는?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다른 쪽에서는 광속보다 빠른 속도를 상상할 수 없다.다시 말하면 우리가 사는 곳이 룩손
벽
의 어느쪽이건 간에 그곳은 항상 타아디온우주이고 또 다른 쪽은 언제나 타키온우주일 것이기 때문이다. 즉 양측은 모두 그 자체에 대해서는 타아디온이고, 양쪽은 모두 상대쪽에 대해서는 타키온이 된다는 ... ...
이상희 과학기술처 장관 "10만 양병이 절실한 시점입니다"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우리 학자들을 적금 참여시켜야지요. 국제공동연구에 동참하게 해서 기술보호장
벽
을 뛰어 넘을 생각입니다."●―로열티의 30%를 인센티브로―애써 기른 연구 역군들이 힘을 제대로 발휘하게 하려면 특별한 배려가 필요할텐데요."전체적으로 연구비 규모를 늘리고, 연구원 처우를 차츰 높여갈 ... ...
컴퓨터가 블랙홀의 정체 밝혀
과학동아
l
1989년 05호
의해 엘리베이터 (a)의 경우에도 구멍A를 통하여 수직으로 들어 온 빛 역시 휘어서 반대편
벽
의 점 B에 부딪혀야 한다. 여기서 엘리베이터 (a)의 경우만을 생각해 보면, 마치 (그림1)처럼 중력장이 빛을 휘게 하였다고 말할 수 없게 된다. 이렇게 빛이 휘는 시공간을 우리는 '휜시공간'이라고 표현하는 ... ...
카메라 탄생 150년 기술진보 어디까지 왔나?
과학동아
l
1989년 05호
그런데 국내 수요자들이 국산 카메라의 성능을 불신하고, 일제만을 선호하기 때문에
벽
에 부딪치게 된다. 더욱이 부품을 조립하는 단계인 국산품이 비정상적으로 들어온 일제카메라와 값의 차이가 없다. 그래서 아직 많은 사람들이 국산카메라를 경원하기 때문에 악순환이 계속되는 것이다 ... ...
기적의 에너지 시대 올 것인가
과학동아
l
1989년 05호
비해 폐기물이 없으며 ▲원료가 적은 양씩 주입되므로, 오동작시 플라즈마가 용기
벽
을 때리고 냉각되는 것으로 끝나 안전하며 ▲기존의 에너지원과는 차원이 다른 엄청난 양(바닷물 1ℓ당 ${10}^{8}$Q, 1Q는 ${10}^{21}$Joule)의 고에너지를 발생한다는 점에서 인류의 에너지 문제를 궁극적으로 해결해줄 수 ... ...
이전
178
179
180
181
182
183
184
185
18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