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에네르기
힘
활력
원기
기력
파워
energy
d라이브러리
"
에너지
"(으)로 총 5,920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기술 대중도서 ‘이지 사이언스 시리즈’ 발간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미래
에너지
핵융합’ ‘차세대 고속열차’ ‘식품의 나트륨 채널 조절’. 전혀 연관이 없는 것 같은 이들의 공통점은 모두 우리나라 정부출연연구기관(이하 출연연)이 선도하는 연구개발(R&D) 분야라는 점이다. 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과학창의재단은 21개 출연연과 공동으로 이런 연구 성과를 ... ...
세상에서 가장 큰 블랙홀 발견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6호
밝았어요. 이전까지 가장 강한
에너지
를 내는 것으로 관측된 퀘이사보다도 7배나 더 많은
에너지
를 뿜어냈지요. 우 교수는 “이번 퀘이사와 블랙홀은 우주의 가장 밝은 등대와 같으며, 앞으로 초기 우주를 연구하는 데 반짝이는 등대가 되어 줄 것”이라고 말했답니다 ... ...
도요새는 왜 봄에 우리나라로 올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6호
해 준다. 실제로 앞에서 두 번째 비행하는 새는 맨 앞에서 비행하는 새보다 33%만큼
에너지
가 적게 든다.이렇게 편대비행을 하면 맨 앞에 있는 새의 체력소모가 가장 심하다. 그러므로 편대비행을 하는 새들은 소리로 의사소통하며 비행하는 위치를 자주 바꾼다.사계절이 뚜렷해 토양이 비옥한 ... ...
상수의 탄생 ⑤ 난세가 만든 영웅, 플랑크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진동수와 플랑크상수를 곱한 값 의 정확히 정수배만 될 수 있다. 하지만 정수배 사이 의
에너지
는 하늘이 무너져도 가질 수 없다. 이 설명이 이해가 되는가? 플랑크가 사용한 치료약은 흑체복사 에 대해서는 만병통치약이었지만, 그 약은 우리를 요 지경 세상으로 이끌었다. 그곳이 바로 양자역학과 ... ...
“미래의 모든 산업을 이끌어갈 기초과학”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Q 친환경 이차전지의 재료는.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최근에는 세계 최초로 생체 내
에너지
대사물질을 이용해 전극소재를 만들었습니다. 호흡할 때 필요한 플라빈 아데닌 디뉴클레오티드(FAD, 이하 플라빈)라는 물질입니다. 플라빈은 전자를 주고 받을 수 있는 능력을 가진 물질이에요. 산화•환원 ... ...
PART1. 도시와 지진 - 카트만두의 비극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규모 2.0인 지진이 30번 발생한 것이나 규모 3.0인 지진이 1번 발생한 것이나 발생한
에너지
총량은 동일하다는 얘기다.그렇다면 규모가 5.0 이상인 비교적 큰 지진이 발생하는 것은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 실제로 1978년 지진 관측 이후 우리나라에서는 규모 5.0 이상인 지진이 다섯 차례 있었다. 200 ... ...
인공 빛에 늘어나는 허리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체중이 증가한 원인이 몸속에서 지방산과 포도당 등 영양소를 열
에너지
로 바꾸는
에너지
변환율이 감소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이 연구 결과는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5월 11일자에 실렸다 ... ...
무서운 신예, ‘태양왕’에 도전하다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높아져 지난해 9월에는 20%가 넘는 페로브스카이트가 처음으로 나왔다. 석상일 성균관대
에너지
공학과 교수팀의 성과였다. 이제 페로브스카이트의 효율은 실리콘과 비슷한 수준까지 도달했다. 추세만 따지면 조만간 실리콘의 효율을 뛰어넘을 것이라는 예측도 나오고 있다. 가격도 실리콘보다 3분의 ... ...
PART3. 가상현실과 현실을 구분 할 수 없다면?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DGIST) 로봇공학전공 교수는 “혈구 보다 작은 로봇이 스스로 전기나 초음파 등
에너지
를 방출할 수 있다면 가능성이 있다”고 말한다. 최 교수 는 지난 2013년 혈관 속을 돌아다니는 마이크로 크기 의 로봇을 개발했다. 크기만 놓고 보면 일찌감치 가능 성이 확인된 셈이다. 다만 크기를 줄이는 ... ...
우리 몸 속에는 ‘녹색갈증’이 있다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설명할 수 있다. 평균적인 수렵채집 사회에서 남성은 약 20대 초반이 되면 필요한
에너지
를 스스로 얻을 수 있을 정도로 성장한다. 쉽게 말해, 밥값은 한다. 그러나 집단생활을 하는 인류에겐 제 밥값만 하는 것으로는 부족하다. 더 많은 식량을 초과 생산해 임신 혹은 육아 중인 배우자와 어린 아이, ... ...
이전
178
179
180
181
182
183
184
185
18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