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측면
측근
옆면
사이드
경사면
근처
언저리
d라이브러리
"
옆
"(으)로 총 2,768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를 뒤지는 한국인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계절이 지나가는 하늘에는 가을로 가득차 있습니다. 나는 아무 걱정도 없이 가을 속의 별들을 다 헤일 듯합니다.' 윤동주 시인의 '별 헤는 밤'이 저절로 ... 1. 137억년 전 우주를 거슬러 2. 은하의 먹이사슬 밝힌다3. 거대한 별의 인큐베이터
옆
에서 4. 세 남자와 아기별 바구니 5. 별의 유언을 ... ...
INTRO X선에서 전파까지 합동수색작전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우리는 태양에서 가장 많이 오는 빛(가시광선)에 익숙하다. 인류가 햇빛을 더 많이 볼수록 포식자를 피해 생존하는 데 유리했기 때문에 이런 방향으로 진 ... 1. 137억년 전 우주를 거슬러 2. 은하의 먹이사슬 밝힌다3. 거대한 별의 인큐베이터
옆
에서 4. 세 남자와 아기별 바구니 5. 별의 유언을 ... ...
1. 137억년 전 우주를 거슬러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나는 네가 한 살 때 한 일을 알고 있다?’ 미국 암허스트 소재 매사추세츠대 천문학과 윤민수 교수의 ‘특기’다. 다만 그 대상이 사람이 아니라 우주 ... 1. 137억년 전 우주를 거슬러 2. 은하의 먹이사슬 밝힌다3. 거대한 별의 인큐베이터
옆
에서 4. 세 남자와 아기별 바구니 5. 별의 유언을 ... ...
2. 은하의 먹이사슬 밝힌다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아프리카에 간 적이 있었어요. 어느 국립공원엘 갔는데, 온통 임팔라 천지더군요. 임팔라는 먹이사슬의 가장 밑에 있다고 하더라고요. 육식동물의 먹 ... 1. 137억년 전 우주를 거슬러 2. 은하의 먹이사슬 밝힌다3. 거대한 별의 인큐베이터
옆
에서 4. 세 남자와 아기별 바구니 5. 별의 유언을 ... ...
5. 별의 유언을 들어라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미국 메릴랜드대 물리학과 서은숙(44) 교수를 만나기로 한 것은 지난 9월 28일 오전 10시. 약속 장소인 서 교수 연구실에 갔지만 문은 닫혀 있었다. 조금 기 ... 1. 137억년 전 우주를 거슬러 2. 은하의 먹이사슬 밝힌다3. 거대한 별의 인큐베이터
옆
에서 4. 세 남자와 아기별 바구니 5. 별의 유언을 ... ...
예술과 과학의 화려한 만남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위험할 수 있어요.” 서 부장의 설명이다.정밀도는 무대 장치의 생명과 같다. 무대
옆
에 준비해 둔 커다란 세트가 들어올 때면 바닥의 레일을 따라 여러 개의 이동무대가 함께 세트를 받치고 같은 속도로 이동해야 한다. 이때 이동 속도를 10분의 1초 단위로 제어하는 기술은 필수적이다. 따라서 ... ...
4. 세 남자와 아기별 바구니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하와이 하면 와이키키처럼 뜨거운 태양이 이글거리고 하얀 파도가 부서지는 해변을 떠올리기 쉽다. 하지만 마우나케아(하와이말로 ‘하얀 산’이란 뜻) ... 1. 137억년 전 우주를 거슬러 2. 은하의 먹이사슬 밝힌다3. 거대한 별의 인큐베이터
옆
에서 4. 세 남자와 아기별 바구니 5. 별의 유언을 ... ...
레이저총 쏘며 고지를 점령하다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본대에 합류했을 때는 이미 전투가 벌어지고 있었다. 적은 산속을 훤히 아는 듯 부대
옆
에서 총을 쏘아댔다. 90mm 무반동총을 들고 있던 병사가 쓰러졌다. 중상자도 속출했다. 소대원 두 명이 총격전 끝에 적 한 면을 맞췄지만 적의 공격은 계속됐다. 사방에서 고막을 울리는 포탄 소리가 끊이지 않았다 ... ...
2000년을 넘나드는 별지기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머리를 들어 북쪽하늘을 바라보자. 가운데에 북극성이 있고 그
옆
에 W 모양으로 생긴 별자리가 있을 것이다. 유명한 ‘카시오페이아’ 별자리다. 그리스·로마 신화에 따르면 자신의 미모를 뽐내는 바람에 벌을 받았다고 한다. 그런데 조선 사람들은 그 별자리를 뭐라고 불렀을까. 바로 ‘닻 ... ...
로봇은 노인의 친구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탐지능력을 높이기 위해 선체 뒤에 늘어뜨려 예인하는 TAS(Towed Array Sonar)와 물고기의
옆
선처럼 잠수함의 측면에 소나를 일렬로 배열해 성능을 향상시키는 FAS(Flank Array Sonar)도 개발돼 사용되고 있다 영화 '붉은 10월' 등에 등장하는 소련 잠수함의 선미 수직타 위에 동그랗게 붙어있는 것이 바로 TAS를 ... ...
이전
178
179
180
181
182
183
184
185
18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