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측면
측근
옆면
사이드
경사면
근처
언저리
d라이브러리
"
옆
"(으)로 총 2,768건 검색되었습니다.
1. 137억년 전 우주를 거슬러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나는 네가 한 살 때 한 일을 알고 있다?’ 미국 암허스트 소재 매사추세츠대 천문학과 윤민수 교수의 ‘특기’다. 다만 그 대상이 사람이 아니라 우주 ... 1. 137억년 전 우주를 거슬러 2. 은하의 먹이사슬 밝힌다3. 거대한 별의 인큐베이터
옆
에서 4. 세 남자와 아기별 바구니 5. 별의 유언을 ... ...
2. 은하의 먹이사슬 밝힌다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아프리카에 간 적이 있었어요. 어느 국립공원엘 갔는데, 온통 임팔라 천지더군요. 임팔라는 먹이사슬의 가장 밑에 있다고 하더라고요. 육식동물의 먹 ... 1. 137억년 전 우주를 거슬러 2. 은하의 먹이사슬 밝힌다3. 거대한 별의 인큐베이터
옆
에서 4. 세 남자와 아기별 바구니 5. 별의 유언을 ... ...
레이저총 쏘며 고지를 점령하다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본대에 합류했을 때는 이미 전투가 벌어지고 있었다. 적은 산속을 훤히 아는 듯 부대
옆
에서 총을 쏘아댔다. 90mm 무반동총을 들고 있던 병사가 쓰러졌다. 중상자도 속출했다. 소대원 두 명이 총격전 끝에 적 한 면을 맞췄지만 적의 공격은 계속됐다. 사방에서 고막을 울리는 포탄 소리가 끊이지 않았다 ... ...
5. 별의 유언을 들어라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미국 메릴랜드대 물리학과 서은숙(44) 교수를 만나기로 한 것은 지난 9월 28일 오전 10시. 약속 장소인 서 교수 연구실에 갔지만 문은 닫혀 있었다. 조금 기 ... 1. 137억년 전 우주를 거슬러 2. 은하의 먹이사슬 밝힌다3. 거대한 별의 인큐베이터
옆
에서 4. 세 남자와 아기별 바구니 5. 별의 유언을 ... ...
4개 중 벽이 가장 두꺼운 방은? 심장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혈액을 왼심실로 보내고 왼심실은 대동맥을 통해 온몸으로 보낸다. 왼심방 역시 바로
옆
의 왼심실로 혈액을 보내야 하고, 왼심실은 온몸으로 보내야 하므로 왼심실 벽이 왼심방 벽보다 두껍다.그러면 오른심실과 왼심실 중에 어느 쪽 벽이 두꺼울까? 논리적으로 잘 생각해보면 답이 나온다. 정답은 ... ...
3. 거대한 별의 인큐베이터
옆
에서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냉철한 과학자에겐 ‘보이는 것이 전부’라는 믿음이 좋을 때가 있다. 무리한 가설과 억측, 미신은 자칫 과학 발전을 저해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때론 그 ... 1. 137억년 전 우주를 거슬러 2. 은하의 먹이사슬 밝힌다3. 거대한 별의 인큐베이터
옆
에서 4. 세 남자와 아기별 바구니 5. 별의 유언을 ... ...
고대의 하이테크 국가 백제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3가지 일을 한다. 일반적으로 홍예석이라 불리는 쐐기모양으로 생긴 돌이나 벽돌을
옆
으로 쌓으면 홍예가 형성된다. 정점에서 발생한 중력은 각각의 홍예석으로 흩어져 기점(무지개받침)으로 전달돼 큰 힘을 견딜 수 있다.백제의 수도였던 공주지방에는 벽돌로 널길과 묘실을 쌓은 전축분이 많다. ... ...
예술과 과학의 화려한 만남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위험할 수 있어요.” 서 부장의 설명이다.정밀도는 무대 장치의 생명과 같다. 무대
옆
에 준비해 둔 커다란 세트가 들어올 때면 바닥의 레일을 따라 여러 개의 이동무대가 함께 세트를 받치고 같은 속도로 이동해야 한다. 이때 이동 속도를 10분의 1초 단위로 제어하는 기술은 필수적이다. 따라서 ... ...
2000년을 넘나드는 별지기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머리를 들어 북쪽하늘을 바라보자. 가운데에 북극성이 있고 그
옆
에 W 모양으로 생긴 별자리가 있을 것이다. 유명한 ‘카시오페이아’ 별자리다. 그리스·로마 신화에 따르면 자신의 미모를 뽐내는 바람에 벌을 받았다고 한다. 그런데 조선 사람들은 그 별자리를 뭐라고 불렀을까. 바로 ‘닻 ... ...
생명과학이 만드는 아름다운 예술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6각형의 낱눈이 모인 것으로 사물을 모자이크 무늬처럼 인식한다. 겹눈은 앞과 뒤,
옆
을 동시에 볼 수 있어 다가오는 적이나 움직이는 먹이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유채꽃진미주·경북대 생물학과 (입선)유채꽃이 가득 피어난 봄날 제주도의 풍경 같다. 토끼 망막의 내핵층을 형광현미경으로 촬영한 ... ...
이전
178
179
180
181
182
183
184
185
18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