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일"(으)로 총 20,677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획] 양자컴퓨터 분신술로 더 빨리 계산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6호
- 양자컴퓨터와 양자 암호통신에 관해 연구하는 김재완 교수는 “미시 세계에서 일어나는 현상은 너무 이상해서 우리가 직관적으로 이해하기 힘든 게 맞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20세기 초의 물리학자들이 이 이상한 미시 세계를 설명하기 위해 만든 것이 바로 양자역학”이라고 설명했지요 ... ...
- [출동! 어과동 기자단] 화학 실험실에 로봇이 나타났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6호
- 실험은 종이에서 분자가 분리되는 현상을 이용한 것으로, 코로나19 진단에도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돼 신기했어요. 사람의 움직임을 기억해 반복 작동되는 미니로봇도 흥미로웠습니다. 이어 조개 속 진주가 탄산 이온과 칼슘 이온이 결합해 만든 앙금이라는 것도 알게 됐고, 로봇팔이 ... ...
- [도전! 섭섭박사 메이커] 슥슥 밀어서 재밌고 쉽게 배운다! 원소주기율표 퍼즐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6호
- 친구들은 자기부상 우주왕복선을 만들고, 꼭 기사로 써 주세요!•신청 기간 2022년 4월 15일까지•당첨자 발표 2022년 4월 16일 예정•신청 방법 어과수 홈페이지(kids.dongascience.com) 공지사항에 올라온 게시물에 댓글을 달아 주세요 ... ...
- [찐 독자를 만나다!] 과학고 진학한 성동일 배우님 아들, 성준수학동아 l2022년 06호
- 앞으로 어떤 프로그램을 만들고 싶어요? 보안 프로그램을 만드는 일을 하고 싶어요. 암호와 인공지능에 굉장히 관심이 많은데, 두 가지 모두 활용해서 훌륭한 보안 프로그램을 만들 수 있을 것 같거든요! 수학이 좋아서 컴퓨터 프로그래머란 직업에 더 끌렸다는 성준 학생. 10년 뒤, 무엇이든 ... ...
- [수학으로 발사! 누리호] 누리호 카운트다운! 발사장은 어디에?수학동아 l2022년 06호
- 위치하는 것을 알 수 있어요. 수많은 장소 중 고흥을 발사장으로 선택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바로 고위도 지방보다 저위도 지방에서 로켓을 발사하는 게 유리하기 때문이에요. 저위도 지방에서 로켓을 발사하는 것의 장점은 크게 두 가지예요. 먼저 발사체가 날아가기 위해 이겨내야 할 중력이 더 ... ...
- [폴리매스 수학자를 만나다] 수학 영재들과 함께 문제 풀면 수학 자신감이 쑥! 송용진 인하대 수학과 교수수학동아 l2022년 06호
- 만큼 친밀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어요. 그 비결에 관해 묻자 “학생들과 친하게 어울리는 일종의 재능이 있다”고 말해 주셨어요. 나이 차이가 많이 나는 사람과도 서너 시간 같이 있으면 금세 친해진다네요. 이런 송 교수님을 직접 만나 고민 상담을 받을 기회가 있습니다. 바로 다음 쪽에 나오는 ... ...
- [특집] 게임도 과학입니다만과학동아 l2022년 06호
- 못한 일이 벌어지면 어떨까? 생각보다 큰 인명, 재산상의 피해를 일으킬지도 모를 일이다. 그러나 게임과 같은 가상 세계에서는 AI의 적용범위가 통제 가능한 가상공간에 한정된다. 그래서 만약 오작동이 발생하더라도 초기화를 할 수 있다.게다가 현실에서는 AI를 학습시킬 만한 양질의 데이터를 ... ...
- 태양계 끝 소외된 행성 ‘천왕성’의 재조명과학동아 l2022년 06호
- 비유될 정도로 기괴한 모습을 하고 있었다. 과거 그곳에선 대체 어떤 일이 벌어졌던 것일까. 처음 생겨난 이래 오늘날의 천왕성계를 이루기까지 이 거대한 얼음 행성과 그 위성들에는 어떤 역사가 흘러갔을까. 시속 900km 강풍, 영하 224°C 얼음 세계보이저 2호는 천왕성 주위에 오래 머무르지 못했다. ... ...
- [SF소설] 샛별등대를 띄우는 사람과학동아 l2022년 06호
- 누구인지 알았다. 그가 품었던 감정이 인간에 대한 환멸과 미움만이 아니라는 것은 더 일찍부터 알았다. 그가 지키고 싶었던 것이 살아남은 ‘사람’들인지, 아니면 정말로 인간이 만들어낸 문화였던 것뿐인지는 나도 모르겠다. 하지만 문명도 아니고 문화란, 어차피 사람의 존재와 불가분인 것이 ... ...
- [과학 뉴스] 울릉도 개구리는 침입종?!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6호
- 올챙이의 정체는 계곡산개구리였습니다. 2013년에 울릉군청이 참개구리로 오해해 일부 잘못 데려온 거죠.울릉도에는 신종 곤충이 발견되었고 아직 밝혀내지 못한 동식물도 많아서 연구가 필요해요. 인간이 데려온 개구리들은 연구가 이뤄지기도 전에 울릉도 생태계를 교란시킬 위험이 커요. 배 ... ...
이전17817918018118218318418518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