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부
출장소
분관
지사
센터
장소
현장
d라이브러리
"
지점
"(으)로 총 2,069건 검색되었습니다.
마차를 발명해낸 절름발이 왕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일에는 스피카 옆에 있게 된다. 11월2일이 최대 이각(각도상 태양에서 가장 멀리 떨어지는
지점
)이며, 그 밝기는 -4.1 등급이다.화성 태양에 너무 가까이 있어서 볼 수 없다. 11월 8일이 합(태양의 정반대편에 있게 되는 날)이다.목성 사자자리에 있으며 밝기는 -1.6 등급이다.토성 염소자리에 있으며 ... ...
합리적인 우주고려장제도 절실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발사하고 있는 타원궤도의 몰니야(Molniya)는 정지궤도가 아니고 원
지점
(고궤도)과 근
지점
(저궤도)을 지나고 있으므로 중간고도에 위치한 '반알렌대'를 1일 4회 통과할 수밖에 없다. 결국 이 위성의 장비들은 방사선에 피폭돼 수명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겨우 3년 정도로 단명하기도 한다. 이 ... ...
(1) 2차원 평면에 살아움직이는 실물이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새로운 수면파가 형성된다. 빛도 파동과 기본원리는 마찬가지다. 두 파동이 만나는
지점
과 힘에 따라서 재형성되는 파동은 더 강해지기도 하고 상대적으로 더 약해지기도 한다. 그림을 통해서 이해해 보면 (그림1-a)에서는 두 파동의 최고점이 겹치게 돼 파동은 더욱 커져서 새로운 파동이 형성된다. ... ...
5. 이제 관심은 평화적 이용방안에 모아져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임계질량을 초과해야 한다. 다시 말해 보관할 때에는 핵물질이 분산돼 있다가 목표
지점
에서 일시에 모아져야 하는 것이다. 이러한 설계는 매우 복잡하기 때문에 강대국들도 고심하고 있다. 어떻게 핵무기를 비밀리에 보관하고, 불에 해당하는 중성자로부터 완전히 격리시킬 수 있는가가 늘 어려운 ... ...
3. 핵실험 무엇이 문제인가?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1시간 후에는 36㎞
지점
에 도달하고, 2시간 후면 72㎞까지 퍼진다. 폭발
지점
으로부터 1백 ㎞
지점
에 있더라도 그곳에서 오랫동안 노출돼 있으면 치명적인 방사선량을 쏘이게 된다. 이 영향은 무려 1천㎞까지 확산된다. 과거 중국에서 대기권 핵실험을 실시했을 때 편서풍을 타고 한국 및 일본에까지 ... ...
천마(天馬)로 환생한 메두사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춘분점(春分点, 태양이 황도를 따라 남에서 북으로 이동할 때 천구의 적도와 만나는
지점
)에 도달하게 된다.천마 페가수스는 그리스 신화의 위대한 영웅 페르세우스의 모험이야기 마지막 부분에서 창조된 동물이다. 페르세우스가 이디오피아의 공주 안드로메다를 구하기 위해 바다에서 괴물 고래와 ... ...
시공(時空)의 모서리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할 수 없다. 대폭발 이전에 무슨 일이 일어났느냐고 묻는 것은 북극에서 북쪽으로 1km
지점
에 있는 한 점을 찾는 것과 같다.시간이 시작됐을때 우리가 측정한 양에는 모서리가 있다. 지구 표면은 북극에서 모서리를 갖지 않는다. 만일 시공은 유한하지만 경계나 가장자리가 없다면, 이것은 중요한 ... ...
지구궤도에는 원자력위성사용 금지해야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트랜지트 5BN3을 지구궤도에 쏘아올리는데 실패했다. 이 위성의 출력장치는 고도 약 50km
지점
의 대기권 내이서 공중분해됐다. 이 사고로 1만7천 큐리의 플루토늄 238연료가 대기중에 흩어졌기 때문에 이 동위원소의 존재량이 순식간에 3배 올라갔다.소련은 1970년 이후 미국 해군을 감시하기 위한 ... ...
1999년 완공될 프리덤계획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복원시키기는 했으나, 이대로라면 93년 예산도 매우 불투명한 상태.지구 적도궤도 4백60km
지점
에 건설될 NASA의 우주정거장(프리덤)은 1999년부터 본격적인 운용에 들어갈 예정이지만, 계획이 어떻게 마무리될지 험난하기만 하다 ... ...
모습드러낸 태양의 대기 코로나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그림자 이동속도가 느린 곳에서 가장 오랫동안 개기식을 볼수 있다고 한다.즉 달이 근
지점
에 이르는 6월말경부터 7월말경 사이에 천구의 천정부근에서 개기식이 일어나고 북위 23°에서 보여지는 때가 가장 이상적인 조건이다.1980년에서 2510년 사이에는 2186년 7월16일 개기일식의 지속시간이 7분29초로 ... ...
이전
178
179
180
181
182
183
184
185
18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