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최대량
최고
d라이브러리
"
최대
"(으)로 총 4,326건 검색되었습니다.
천리안은 왜 일주일에 한 번 궤도를 바꿀까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아껴서 위성을 제어하는 제어 실력도 중요한데, 아깝게 수명을 다한 아리랑 1호도 사실은
최대
한 연료를 절약해 운영한 결과 설계수명을 5년이나 넘겨 쓴 경우다. 아리랑 2호도 3년 수명으로 제작됐지만 5년째 아무 문제없이 운영하고 있다.저궤도 위성은 수명이 다하면 마지막 연료를 사용해 지구 ... ...
PART 3. 왜 고등학교에서 쓰나?
수학동아
l
2011년 05호
이르렀다.장 교수는“전자계산기는 중학교에서도 필요하다”며 직사각형을 잘라 부피가
최대
인 상자를 만드는문제를 예로 들었다. 이 문제는 중학교 1학년 정도가 관심을 가질 주제인데, 3차 함수 미적분을 다루는 고등학교 때가 돼야 풀 수 있는 문제다. 중1 때는 부피를 구하는 식만 세우고 끝나기 ... ...
갑각류가 좋을까, 포유류가 좋을까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반대로 묵직하고 튼튼할 필요도 있습니다. ‘가볍지만 튼튼해야 한다’는 기계 설계의
최대
숙제는 로봇에도 그대로 적용됩니다.[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이 개발한 마루Z의 다리. 기본 구조가 휴보와 닮은 점이 많다. 재료도 알루미늄합금으로 만든 데다 같은 ‘갑각류 형’이기 때문이다.]새우 ... ...
Part 2. 잘 살고 있니? 고기공장에 갇힌 가축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누릴 수도 없다. 가축은 다 크기 전 경제적으로 가장 이익이 되는 시점에 죽는다. 닭은
최대
15년까지 살 수 있지만 육계는 6주 만에 2kg 정도로 살을 찌워 출하한다. 우리나라 사람들은 닭 한 마리를 통째로 먹는 것을 좋아한다. 그래서 통닭과 삼계탕에 적합한 크기인 1.2~1.6kg 정도가 되면 출하해 한국 ... ...
남미의 뿌리, 안데스 산맥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있다. 남아메리카에서 안데스 산맥의 영향을 받지 않은 것은 아무것도 없다. 지구
최대
의 열대우림을 만든 아마존 강은 안데스 산맥에서 녹은 눈에서 비롯됐다. 숨도 제대로 쉬지 못할 정도로 높은 산세는 독특하고 화려한 잉카 문명의 배경이 됐다. 안데스 산맥에는 길고 험난한 산세만큼이나 ... ...
“나의 영혼이 로봇 속으로 들어간다”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피부 역할을 하는 촉각센서나 기울임을 느끼는 자이로센서 등이 개발돼 있다.하지만
최대
난관은 로봇이 느낀 감각을 사람이 똑같이 느낄 수 없다는 데 있다. 현대과학기술로도 아직 인간의 신경체제를 모두 이해하지는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난제를 해결해 기계와 인간의 접속기술을 ... ...
인도 최고의 여배우를 만나다
수학동아
l
2011년 05호
여배우를 짝사랑하게 됐다고 한다. 허풍의 사랑은 이루어질까?1 인도의 대표 음식인도
최대
의 무역항인 뭄바이에 도착한 허풍과 도형. 이른 시간임에도 바쁘게 움직이는 사람들 때문에 이리 치이고 저리 치이다 가까스로 항구를 빠져 나온다.“선생님, 이른 아침부터 굉장히 바쁘네요. 활기가 ... ...
Part1. 상온초전도체 언제 탄생할까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등장하기도 했지만, 아직도 초전도 현상을 이론적으로 완벽하게 설명하는 일은 물리학의
최대
난제 중 하나다. 지난 100년 동안 초전도 연구는 어떤 길을 걸어온 걸까. 과거로 시간 여행을 떠나 보자. [초전도 현상이 배출한 노벨상 수상자 - 100년 동안이나 확실히 밝혀지지 않은 수수께끼답게 ... ...
Part2. 꿈의 기술? 아직 피지 못한 꽃?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2011년까지 초전도 전력기기의 실용화 기반을 구축하는 것입니다. 우리 독자 기술로 세계
최대
용량의 선로변경식 하이브리드형 22.9kV/3000A 초전도 한류기 개발에 성공해 핵심원천기술을 확보했습니다. 22.9kV/50MVA 초전도 케이블을 고창전력시험센터에 설치해 국제공인시험기관의 입회시험을 ... ...
현장점검-구제역 지하수 3년 뒤 진짜 위기 온다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따라서 물탱크와 같이 물이 가득한 지형은 없다.➌ 매몰지가 지하수위보다 높을 때
최대
5m 깊이까지 파서 매몰했지만 매몰지 바닥이 지하수위보다 높을 때, 대부분의 유출된 침출수는 중력의 영향으로 아래로 향한다. 하지만 오염물질은 토양층을 통과하며 대부분 흡착돼 지하수에 도달하지 않을 ... ...
이전
178
179
180
181
182
183
184
185
18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