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00"(으)로 총 5,610건 검색되었습니다.
- [Issue] ‘알쓸신잡’ 자외선차단제 고르는 법3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조사량의 비율. SPF100은 이것을 피부에 바르면 바르지 않았을 때보다 화상을 입지않고 100배 이상 오래 햇볕을 쬘 수 있다는 뜻이다. 자외선차단제가 피부를 보호할 수 있는 시간은 보통 SPF수치에 10~15분을 곱한 값이다.끈적끈적할수록 차단 효과 UP차단제 성분 외에 베이스 성분과 제품의 물성도 차단 ... ...
- [Career] 7년 사제가 만든 걸작, 초고속 거미집 센서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오랜 시간이 걸린다. 인위적으로 물질 농도를 높이지 않으면 지름이 μm(마이크로미터, 100만분의 1m) 단위인 센서에 물질이 검출되기까지는 몇 시간에서 며칠까지 걸린다. 김 교수와 임 연구원은 ‘거미줄 구조’와 자성 입자를 이용해 검출 속도를 20배 이상 빠르게 향상시켰다.방향 제시와 ... ...
- [SW 기업 탐방] 세상을 지배하는 미분방정식 온라인에서 쉽게 풀자!수학동아 l2017년 08호
- 불법 복제가 만연한 상황에서 수익을 내기가 쉽지 않았던 것이다. 프로그램을 1개 팔면 100곳에서 수정 요청을 했다. 이 난관을 헤쳐 나가기 위해 여러 방법을 생각하다 클라우스 서비스를 떠올렸다. 당장 수익이 되지 않았더라도 온라인에서 서비스하면 누가 사용하는지 대충 알 수 있고, 사용자가 ... ...
- [Issue] 승용차 강판이 ‘쿠킹호일’입니까?과학동아 l2017년 08호
- 강판입니다. 최근에 포스코가 개발한 ‘기가스틸’은 알루미늄보다 가볍지만 1mm2 면적당 100kg 이상의 하중을 견딜 수 있다고 해요. 물론 비싸서 대중적인 차를 만들 때는 쓸 수 없겠지만요.구겨져야 오히려 안전하다?반은 맞고 반은 틀린 말입니다. 충격량 보존 법칙에 따라 사람이 없는 공간이면 ... ...
- Part 2. 몸 속 생태계의 주인 - 기생충의 귀환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질병을 치료하다인간은 기생충과 아주 오랜 시간 동안 함께 해 왔다. 그러다가 최근 50~100년 사이에 갑자기 우리 몸에서 기생충들이 사라졌다. 이 때문에 알레르기나 천식 같은 질병이 많아졌다는 ‘위생가설’이 있다. 기생충이 없어지자, 면역 시스템이 공격하지 않아도 되는 음식이나 꽃가루 같은 ... ...
- Part 3. 생명을 지키는 착한 과학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8호
- 다르기 때문에 일일이 디자인해서 틀을 만들기 때문이죠.하지만 3D프린터를 이용하면 100만 원 대의 저렴한 비용으로 전자의수를 만들 수 있어요. 전자의수에는 센서, 모터 등 팔 한쪽에만 70~80여 개의 부품이 들어가요. 3D프린터를 활용하면 이런 부품들을 훨씬 빠르고 저렴하게 만들 수 있어요.게다가 ... ...
- [과학뉴스] 시선이 어디로 갈지 유전자는 알고 있다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아이들이 시선을 어떻게 옮기고 어디에 집중하는지 추적했다.그 결과, 유전자를 100% 공유하는 일란성쌍둥이는 약 17ms(1ms는 1000분의 1초)의 시차를 두고 안구 운동이 거의 일치했다. 반면 유전자를 50% 공유하는 이란성쌍둥이는 안구 운동의 10%만 동일했다. 시선 이동이 유전적인 요인과 관련이 깊다는 ... ...
- [Future] 고리1호기 가동 중단 ‘방사성 때’ 어떻게 벗길까과학동아 l2017년 08호
- 방사성폐기물의 방사선 준위는 일반 폐기물로 분류될 수 있는 핵종별 허용농도보다 100배 미만이다.방사성 폐기물은 드럼에 넣고 밀봉한다. 국내 원전을 해체할 때에는 총 1만4500개의 드럼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고준위에 해당하는 사용후핵연료를 미리 제거한 뒤 해체를 시작하므로 고준위 ... ...
- [Issue] 돌보다 강한 콘크리트 아파트, 40년 만에 다시 짓는 이유는?과학동아 l2017년 08호
- 그래서 철근콘크리트 건물의 수명은 최소 약 50년이며, 건물을 관리한 상태에 따라 100년도 거뜬하다. 예상 2. 철근콘크리트가 다양하지 않아서다?최초로 콘크리트가 탄생한 시기는 화산회와 석회석을 이용해 건물을 지은 기원전 로마시대다. 이후 19세기에 포틀랜드시멘트가 발견되면서 186 ... ...
- [Origin] 1년에 단 하루 ‘야행성 태양’이 뜬다과학동아 l2017년 08호
- 밝은 밤을 감지하려면 대기광의 강도가 최소 200R(레일리, 1R은 1cm2 면적에서 매초 100만 개의 광자가 나올 때의 밝기)는 돼야 한다. 평소 밤의 대기광 강도는 30R 정도다. 1992년과 1996년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두 해의 전체 데이터의 약 7%가 밝은 밤에 해당했다.아마도 지상에서는 위성이 측정한 것보다 ... ...
이전17817918018118218318418518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