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쇠붙이
쇠
철
강철
금붙이
메탈
금부치
뉴스
"
금속
"(으)로 총 2,030건 검색되었습니다.
줄기세포치료제 손상 없이 전달하는 기술 개발
2014.11.18
되는 원리를 이용, 효모세포를 탄닌산 수용액과 철이온 수용액을 섞어 세포를 하나씩
금속
-폴리페놀박막으로 감싸는 데 최초로 성공했다. 연구팀은 또 세포를 감싼 박막이 중성에서는 안정적이지만 약한 산성조건에서는 빠르게 분해 되는 특성을 이용해 원하는 시간에 세포를 피포화 전 상태로 ... ...
‘퀀텀닷’이 뭐길래 이렇게 뜨나
2014.11.14
계열로 중심체(코어)를 만든 뒤 그 주변을 황화아연(ZnS) 껍질로 싸는 게 일반적이어서 중
금속
중독의 소지가 있다. 연구진은 지난해 인화인듐(InP) 중심체에 아연-셀레늄-황 합금(ZnSeS)으로 바깥을 감싸 카드뮴 없이 녹색 퀀텀닷을 제작하는 데 성공했다. 전석우 KAIST 신소재공학과 교수팀은 8월 순수 ... ...
미니어처 크기 ‘나노 배터리’ 나온다
2014.11.11
나노동공에 전기를 생성시키는 전해질을 넣고 양쪽 구멍 끝부분에 오산화바나듐이라는
금속
화합물을 첨가해 양극과 음극으로 만들었다. 그 결과 가로세로 각각 1cm의 손톱만한 넓이에 20억 개의 나노 배터리가 들어 있는 초소형 구조물을 완성했다. 이상복 메릴랜드대 교수팀이 개발한 ... ...
“만성신장질환의 원인은 유해 중
금속
납”
2014.11.10
연구진이 중
금속
납이 신장에 손상을 끼치는 기전을 밝혀냈다. 납에 노출되면 신장 기능이 손상된다는 사실은 그동안 역학조사를 통해 알려졌지만 납이 신장질환을 일으키는 정확한 기전을 규명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정진호 서울대 교수 - 미래창조과학부 제공 정진호 서울대 약대 교수팀은 ... ...
5만 번 충·방전해도 끄떡없는 고용량 충전지 나왔다
2014.11.06
겉에 구멍이 많고 속은 비어 있는 공 모양의 탄소계 물질을 만들었다. 이어 이 물질 속을
금속
화합물로 채워 새로운 구조의 소재를 개발했다. 이 물질은 기존 이차전지보다 에너지 저장 용량이 2.5배 많고, 충·방전을 5만 번 넘게 할 수 있을 정도로 수명이 반영구적인 것으로 확인됐다. 강 교수는 ... ...
종이처럼 접히는 마이크로 로봇 나왔다
2014.11.06
종이접기 로봇은 주로 형상기억합금 소재를 이용해 만들었다. 하지만 형상기억합금은
금속
인 만큼, 몸속에 넣는 데는 한계가 있다. 하지만 이 로봇의 소재인 하이드로겔은 인체에 무해한 것이 특징이다. 나준희 매사추세츠주립대 박사후연구원은 “자발적인 가역반응이 가능한 3차원 ... ...
회로 두께 딱 1nm, 나노 반도체 나오나
2014.11.05
. 서로 구조가 다른 것이 특징이다. 절연체상에서 볼 수 있는 육각형 구조(주황색)을
금속
상에서는 찾아볼 수 없다. - 한양대 물리학과 제공 반도체는 전류가 자유롭게 흐르는 도체와 흐르지 않는 부도체의 중간 상태를 말한다. 10진법을 사용하는 인간과 달리 컴퓨터가 2진법을 쓰는 까닭은 반도체를 ... ...
미래형 원자로에 쓸 핵연료 피복, 국내 연구진이 개발
2014.11.05
뛰어나야 한다. FC92는 원자로의 높은 열에 견딜 수 있도록 스테인리스강에 각종
금속
을 혼합해 개발했다. 해외에서 개발된 소듐냉각고속로용 핵연료 피복관에 비해 30% 이상 열에 강하다. 온도가 높으면 내부 핵연료의 연소 성능도 30% 증가하기 때문에 같은 양의 핵연료로 더 많은 전기를 생산할 수 ... ...
몸속 물질 모방해 리튬 이차전지를?
2014.11.03
에너지 밀도와 수명이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강 교수는 “무겁고 독성이 있는 중
금속
을 대신해 몸속에 있는 물질을 이용하면 가볍고 친환경적인 배터리를 구현할 수 있다”며 “성능에도 문제가 없다는 점에서 생체 물질로만 만든 ‘바이오 배터리’도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 ...
반도체로 쓸 수 있는 그래핀 나노리본 세계 최초 개발
2014.10.30
것으로 나타났다. 또 폭 7~8nm에 테두리가 지그재그형인 나노리본에서는 반도체에서
금속
으로 성질이 변하는 상전이 현상도 발견됐다. 황 박사는 “이번 연구를 통해 그래핀의 단점인 전류제어 문제를 해결해 그래핀이 반도체 소자로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높였다”고 말했다. 또 그는 “이번에 ... ...
이전
178
179
180
181
182
183
184
185
18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