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끝"(으)로 총 3,239건 검색되었습니다.
- 공장 폐온수 모아서 에어콘 공짜로 돌린다동아사이언스 l2018.05.15
- 것도 장점이다. 생기원 연구진은 내부 전문가로 융합연구 팀을 꾸리고 4년 간의 연구 끝에 7kW(킬로와트)급 흡착식 냉방시스템 원천기술 개발에 성공, 냉동기 제조사인 삼중테크와 월드이엔씨로 기술을 이전했다. 이같은 흡착식 냉방시스템 기술 개발은 국내에서는 이번이 처음이다. 외국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장미의 과학, 꽃의 여왕은 이렇게 탄생했다2018.05.14
- La France)’다. 라 프랑스는 꽃의 형태가 아름답고 봄에서 가을까지 피는 데다 긴 꽃대 끝에 큼직한 한 송이만 폈기 때문에 꽃꽂이에도 그만이었다. 원예의 관점에서 라 프랑스는 이전의 장미품종들과 격이 달랐다. 라 프랑스는 ‘하이브리드 티(Hybrid tea. 굳이 번역하자면 ‘잡종 차)’로 불리는 ... ...
- 거꾸로 매달리고 노래하고… 못하는게 없는 ‘로봇 배우’동아사이언스 l2018.05.14
- 시스템 ‘라오라’가 노래를 부르고 있다. 안산=전승민 기자 라오라는 산업용 로봇팔 끝에 두 팔과 다리가 달린 ‘인간형 로봇배우’를 붙여서 만들었다. 산업용 로봇팔은 독일 로봇 기업 ‘쿠카’에서 개발한 ‘KR360-3’이란 산업용 모델을 이용했다. 여기에 영국이 개발한 상반신 인간형 로봇 ... ...
- 빛을 자유자재로...새롭게 선보이는 빛 통제 기술동아사이언스 l2018.05.14
- 물리학 분야 국제학술지 ‘피지컬 리뷰 레터스’ 10일자에 발표했다. 줄넘기 줄의 양 끝을 두 사람이 잡은 뒤 한 사람이 줄을 위아래로 흔들면 흔들림이 파장 형태로 반대편 사람에게 전달된다. 즉 파장의 전달 방향과 줄의 운동 방향이 수직이다. 이런 파장을 횡파라고 한다. 빛은 전형적인 횡파다 ...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약한 사람을 괴롭히는, 텃세의 심리학2018.05.13
- 포용적 문화가 없는 곳이라면, 굳이 텃세를 견디며 버텨봐야 얻을 것이 별로 없습니다. 끝이 좋지 않습니다. 에필로그 율곡 이이는 한때 출가하여 승려의 길을 걸었을 정도로, 출세 자체에는 초연한 인물이었습니다. 그런 율곡의 눈에, 능력있는 선비들이 폐습에 막혀 벼슬길을 고사하는 ... ...
- 부모 챙기는 건 인간뿐?...“사람과 가장 닮은 유인원도 부모자식 개념 없어”동아사이언스 l2018.05.07
- 은혜를 갚는 상황은 일어날 수 없다. 평화를 원할뿐 ‘공경의 예’ 아니다, 보노보 끝으로 남은 것은 침팬지의 아종인 피그미침팬지로 불렸던 보노보다. 유전적으로는 인간과 약 1.6%만 다를 뿐이다. 침팬지와 인간이 갈라지고 한참 시간이 흐른 뒤인 약 200만년 전 분리된 것으로 알려졌다. ... ...
- 올드한 카네이션의 대반란...투톤, 파스텔톤, 화려한 겹꽃동아사이언스 l2018.05.07
-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는 1998년부터 카네이션 16개 품종을 개발했다. 하얀 바탕 색에 잎 끝이 분홍빛인 ‘드림 별(2002)’, 연두 빛의 ‘그린뷰티(2014)’, 베이지색 바탕색에 붉은 테두리를 가진 ‘크림매직(2016)’ 등 모두 연한 색이다. 여전히 ‘카네이션=붉은 색’이라는 인식 때문에, 빨간 ... ...
- [과학사진관] 눈을 제대로 떠보면 온 세상이 화원이란 걸 알 수 있어동아사이언스 l2018.05.03
- 서로 가까워지면 마치 스위치가 켜지듯 형광을 내도록 조작하여 이들이 시냅스의 양 쪽 끝에서 빛을 내는 것을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는 방법이다. mGRASP로 찾아낸 흰쥐 뇌의 시냅스 구조. 현미경으로 시냅스의 위치와 연결상태를 직접 확인할 수 있다. - 동아사이언스 제공(2014.8.5) ▶ ... ...
- [곤충을 담다] 봄을 알리는 애호랑나비 2018.05.02
- 숨기는 애호랑나비의 계산된 영민함에 놀란다. 노란빛 바탕에 검정 줄무늬, 뒷날개 끝 붉은 무늬가 선명한 애호랑나비. 호랑나비보다 좀 작은 크기 때문에 애호랑나비로 불렸는데 요즘은 애를 태워야 겨우 볼 수 있는 희귀한 나비가 되었다. 일본도 마찬가지. 같은 속의 L. japonica는 ... ...
- [섭섭박사의 메이커스쿨] 코딩 로봇을 만들어보자! 과학동아 l2018.05.01
- 가기’, ‘우회전’, ‘앞으로 가기’ 카드를 차례로 꽂았다 뺐어요. 마지막으로 ‘끝내기’ 카드를 넣자 뚜루뚜루가 코딩한 경로대로 움직이면서 섭섭박사님을 찾으러 갔어요. 어린이과학동아 2018년 9호 제공 그런데 어떤 친구들의 로봇은 경로를 살짝 벗어나서 움직였어요. 섭섭박사님은 ... ...
이전17817918018118218318418518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