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범위
경계
테두리
한도
영역
극한
범주
뉴스
"
한계
"(으)로 총 3,957건 검색되었습니다.
'백신은 외산에 밀렸지만'…가능성 보이는 국산 코로나 치료제
동아사이언스
l
2021.03.31
처음으로 국내 허가를 받았다. GC녹십자가 개발중인 혈장치료제도 세포실험이라는
한계
가 있지만 영국과 남아프리카공화국 변이바이러스에도 효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GC녹십자는 혈장치료제(GC5131A)의 국내 임상2상을 완료하고 4월 중 식품의약품안전처에 긴급 사용 승인이나 조건부 ... ...
태양전지 효율 35% 수소환원제철...2050년 탄소중립 실현할 10대 핵심기술
동아사이언스
l
2021.03.31
산업은 65%를 수소환원제철로 전환한다. 석유화학 산업은 현재 공정 효율 향상이
한계
에 다다른 만큼 저탄소 원료와 공정 전기화 기술을 확보해 2040년 제품의 가격경쟁력을 확보한다. 전체적으로는 산업공정 효율을 극대화해 2040년 탄소 저감 효율을 95%까지 높인다. 또 CCUS 기술 개발과 실증을 ... ...
자손 낳는 인공생명체 세계 첫 탄생
동아사이언스
l
2021.03.30
갖춘 것으로 평가 받았지만, 자손 번식에서는 크기와 형태가 고르지 못하게 분열하는 등
한계
를 드러냈다. 연구진은 5년간 세포 분열에 관여하는 유전자 7개를 포함해 총 19개의 유전자를 찾아내 JCVI-syn3.0에 추가했다. 그 결과 세포 분열을 일으켜 세대 증식이 가능한 인공생명체 JCVI-syn3A를 만드는 ... ...
코로나 사태로 자연 찾는 사람 줄더니 검색량 '뚝'…디지털 숲에서 자연 위기 신호 찾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29
만큼 자료 수집이나 시간에 제약이 있다"며 "컬처로믹스를 생태학에 접목하면 지리적
한계
를 넘어 다양한 방식으로 현장 데이터를 빠르게 수집하고 이를 통해 새로운 사실도 찾아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고 말했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실험실에서 탄생한 태아의 씨앗 '배반포'
동아사이언스
l
2021.03.27
두 연구팀이 만든 조직이 사람의 배반포와 완전히 같지는 않고 대량 생산하는 데도 아직
한계
가 있다. 자넷 로산트 캐나다 토론토대 분자유전학과 교수는 "사람의 배반포를 구성하는 원시 내배엽이 잘 형성되지 않는 것 같고 다른 세포도 섞여 있다"며 "배반포를 만드는 효율이 매우 낮다"고 ... ...
우울감은 당신의 뇌를 잠식한다 …뇌 연구 최전선으로 떠오른 '코로나 우울'
동아사이언스
l
2021.03.26
방식으로 이뤄진다. 하지만 전문의의 주관적 판단을 배제할 수 없어 객관적이지 않다는
한계
가 있다. 과학자들은 뇌파를 통한 우울증 진단 방법과 인공지능(AI)을 접목한 새로운 기술에 주목하고 있다. 구글의 모회사 알파벳도 지난해 11월 병원에 가지 않고도 간단히 우울증을 진단하는 뇌파 측정 ... ...
통발, 도마뱀 흉내내 물 제어하는 소재 성능 높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23
D프린터를 이용해 다이오드 물 수송 표면을 만들었다. 하지만 제작 비용이 비싸고 공정의
한계
로 물이 이동하는 거리가 짧았다. 연구팀은 곤충을 잡아먹는 식물인 벌레잡이통풀의 표면과 사막 도마뱀이 피부가 모세관 현상을 이용해 물을 옮기는 원리에서 힌트를 얻었다. 모세관 현상은 물처럼 ... ...
포항공대 3차원 프린팅으로 실험용 인공 폐 개발
연합뉴스
l
2021.03.22
구조로 두께가 매우 얇다. 이렇게 얇고 복잡한 구조를 지닌 폐포를 정확히 모사하는 데
한계
가 있어 그동안 실험용 인공 폐를 만들기 어려웠다. 연구팀은 '드롭 온 디맨드' 방식의 고정밀 잉크젯 바이오 프린팅을 이용해 다종의 인간 폐포 세포주(세포 집합)를 포함한 3차원 폐 모델을 제작했다. ... ...
첫 국산 암치료용 방사성의약품 이름은 '아스타틴-211'
동아사이언스
l
2021.03.19
아스타틴-211 제조 기술이 없고 수입도 힘들어 방사성의약품으로 만드는 연구에
한계
가 있었다. 연구팀은 한국원자력의학원이 가지고 있는 입자 가속기 ‘사이클로트론’을 이용해 알파빔을 비스무트의 동위원소인 비스무스-209(Bi-209)에 충돌시켜 아스타틴-211을 만들었다. 연구팀은 독자 개발한 ... ...
[랩큐멘터리] 세계 최고 수준의 시스템 반도체 설계도 그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18
5G 통신의 효율을 대폭 개선할 수 있는 통신용 신호처리 알고리즘을 연구해 하드웨어의
한계
를 극복하는 알고리즘 최적화 및 초고효율 시스템 반도체 설계를 이끌고 있다. EPIC연구실은 시스템 반도체를 기반으로 한 다양한 융합연구 방향도 제시한다. 스포츠 공학과 바이오메디컬, 헬스케어 관련 ... ...
이전
178
179
180
181
182
183
184
185
18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