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가지"(으)로 총 2,424건 검색되었습니다.
- [강석기의 과학카페] 게놈편집으로 흰 나팔꽃 만들었다!2017.09.12
- 나팔꽃을 나름 자세히 관찰해보기로 했다. 그 결과 나팔꽃의 꽃 색이 파란색과 자주색 두 가지뿐이 아니라는 사실을 발견했다. 가끔 색이 바랜 하늘색 꽃도 보였고 짙은 남보라색 꽃도 있었다. 그리고 천변의 나팔꽃이 한 종이 아닌 것 같다는 뜻밖의 발견도 했다. 즉 잎의 생김새가 세 갈래로 갈라진 ... ...
- 지금 현재를 행복하게 살 수 있는 방법2017.09.09
- 눈을 감고 앉거나 누워서 내 몸이 만드는 심장 박동, 숨 쉬는 소리에 집중하는 것도 한 가지 방법이다. 이렇게 십여분 정도만 잠깐 마음을 비우고 현재에 머무르게 하는 것 만으로 성과가 향상되고 스트레스가 감소하며 부정적 정서가 가라앉고 마인드 컨트롤을 잘 하게 된다는 연구 결과들이 있었다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객성과 신성과 초신성2017.09.05
- 동반성-충격 모형이 예측하는 값에 못 미쳐 아쉬움을 남겼다. 이에 대해 연구자들은 몇 가지 가능한 설명을 제시하면서도 비슷한 관측이 더 쌓여야 이론 모형이 완벽해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 우리 은하에서 신성 폭발은 일 년에 수십 차례 일어난다고 한다. 이 가운데 맨눈에도 보이는 6등급 이내는 ... ...
- 휴가는 당신을 얼마나 행복하게 했나요?2017.09.02
- 비해 높은 경향이 나타났지만, 휴가를 다녀와서의 행복도는 휴가를 갔다 온 사람과 가지 않았던 사람 사이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다만 휴가를 ‘스트레스 전혀 없이’ 정말 여유롭게(relaxing) 보냈다고 응답한 사람들은 휴가를 다녀와서도 2주 정도 더 행복한 경향을 보였다. 하지만 이들도 2주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섹스와 젠더의 과학2017.08.29
- 여전히 남성의 비율이 꽤 높다. 글을 보니 이런 현상은 우리나라뿐 아니라 미국도 마찬가지다. 흥미롭게도 저자 두 사람 가운데 여학생이 70%가 넘는 심리학과의 교수인 심피언은 남성이고 30% 수준인 철학과의 교수인 레슬리는 여성이다. 두 사람은 수년 전 한 학회에서 만나 담소를 나누다 우연히 ... ...
- 백인우월주의자는 어떤 성향의 사람들인가2017.08.26
- 할 것이라고 여긴다는 연구가 있었는데, 여기에 어느 정도 근거가 있는 모양이다. 딱 한 가지만 혐오하는 사람보다 다양한 약자를 두루두루 혐오하는 사람들이 더 많은 것일지도 모르겠다. 연구자들은 노골적으로 대놓고 하는 인종차별이 옛날 일이라고 생각하고 있겠지만, 이 연구는 그렇지 않다는 ... ...
- 반려동물이 정신질환자에게 도움이 되는 이유2017.08.20
- 것들로는 가족, 친구, 병원 스탭, 사회복지사, 동아리, 취미활동, 음악, 반려동물 등 여러가지가 있었는데 흥미롭게도 약 60%의 환자들이 반려동물을 가장 중심 원에 적는 현상이 나타났다. GIB 제공 심층 인터뷰에서 참가자들은 다음과 같은 이유를 말하며 힘든 삶을 이어가게 도와주는 반려동물의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장내미생물을 활용해 건강하게 살 방법은?2017.08.08
- 된다. 한편 아플 때 먹는 약 가운데 장내미생물 생체이물 대사의 영향을 받는 게 이미 50가지가 넘게 알려져 있다. 같은 약물임에도 어떤 사람에게는 약효가 뛰어나고 다른 사람에게는 오히려 부작용만 큰 것 역시 개인에 따른 장내미생물 조성의 차이 때문일 가능성이 높다. 장내미생물 때문에 ... ...
- 오지랖 넓은 한국사회에서 자신을 되돌아 보는 방법2017.07.30
- 삶을 온전히 개인의 것이 아닌 ‘공공재’ 취급하며 마치 타인의 삶에 지분이라도 가지고 있듯 모두가 한 마디씩 숟가락을 얹는 경향이 나타난다. 그 결과 집단주의적인 사회의 개인들은 개인주의적인 사회의 개인들에 비해 주변에 의해 크게 휘둘리며 본인이 원하지 않는 일이나 결혼을 ‘억지로’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우린 어떻게 습기를 느낄까2017.07.25
- 필요하다. 즉 기계감각뉴런(mechano)을 바퀴벌레(A)처럼 mechano(dry cell)과 mechano(moist cell) 두 가지로 표시해야 한다. - 신경생리학저널 제공 이에 따르면 우리가 고온에서 다습을 느끼는 건 전적으로 촉각의 작용으로 여기에는 땀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주변 온도가 올라가면 우리 몸은 체온을 조절하기 ... ...
이전17817918018118218318418518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