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
구
뽈
교회 점토
보울
빰
ball
스페셜
"
볼
"(으)로 총 1,960건 검색되었습니다.
전통에서 발견하고 현재가 완성한 난방기술
KOITA
l
2013.12.10
지지지 않고서는 제대로 그림이 나오지 않는다. 바닥에 ‘지지는’ 모습은 한국에서만
볼
수 있는 겨울나기기도 했다. 일제강점기에 조선인들을 구분하는 방법의 하나라 모닥불에 몸의 앞을 쬐는지, 등을 쬐는지를 구분하는 것이었을 정도다. 따뜻한 방바닥에 지지던 습관 덕분에 조선 사람들은 ... ...
연구자가 중심이 되는 이상적인 지원기관 만들겠다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3.12.09
대한민국에 의료산업 육성을 위한 대단위 연구개발지원기관이 전혀 없었다는 것을 놓고
볼
때 저희 재단의 전략기획본부와 4개 센터는 앞으로 그 활약이 매우 기대된다고 할 것입니다. Q.재단의 초대 이사장으로 취임하셔서 이제 2년 남짓 지나신 것 같습니다. 그간의 성과에 대해 말씀해 주십시오 ... ...
[채널 A] 29일 새벽 금세기 최대 ‘혜성 우주쇼’…천문학계 흥분
채널A
l
2013.11.29
어렵지만 12월부터는 동트기 전 북동쪽 지평선 근처에서 쌍안경을 이용해 아이손을
볼
수 있습니다. 채널A 뉴스 이영혜입니다. (모바일에서 영상 보기 : http://news.ichannela.com/culture/3/04/20131128/59216731/1 ... ...
티라노사우루스 렉스, 뿌리를 찾다 Ⅱ
동아사이언스
l
2013.11.11
티라노사우루스의 생생한 모습을 재미있게 보기는 했지만 학문적으로 탐구할, 즉 논문을
볼
정도의 관심은 없었다. 그런데 무심코 리뷰논문을 몇 줄 읽다보니 꽤 재미가 있었다. 결국 논문을 통독하고 깊은 감명을 받은 필자는 티라노사우루스에 대한 기사를 쓰기로 결심했다. 리뷰 논문에 인용된 1 ... ...
일터와 산업을 바꿔놓은 한 건의 발명
KOITA
l
2013.11.08
매우 얇은 종이를 사용했기에 잉크가 묻은 면을 뒤로 가게 해서 제대로 된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와트는 자신이 고안한 습식 복사 방식 덕분에 손쉽게 편지의 사본을 보관해둘 수 있었다. 습식 복사기는 원래 와트가 자신이 사용할 목적으로 만들었으나 주위에 알려지면서 조금씩 인기를 끌기 ... ...
커뮤니케이션의 본질은 변하지 않는다
KOITA
l
2013.11.04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적극적으로 유도하고 있다. 덕분에 트위터 서비스는 여기저기서
볼
수 있다. 온라인 게임 아이온은 게임 내에 트위터를 구현했으며 음악 소프트웨어인 알송 역시 트윗을 지원한다. 트위터 전체 이용자 중 15%만 공식 웹서비스나 클라이언트를 이용할 뿐이라는 조사도 있다. ... ...
새로운 길을 연 기초과학
KOITA
l
2013.10.22
꼽히곤 한다. 그래서인지 지질학에 실용적인 가치가 별로 없다고 생각하는 경우도 종종
볼
수 있다. 기껏해야 몇몇 사람들이 지하자원이나 광물자원 개발에 필요하다는 사실을 아는 정도다. 그러나 해양지질학은 영토분쟁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최근 다시 논쟁이 점화된 한일 공동개발지역(JDZ ... ...
사람도 쥐도 초파리도 잠을 자야만 하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13.10.21
것. ‘대단한 구라’라고 생각하면서도 그 뒤 십 수 년 동안 잠의 과학에 대한 뉴스를
볼
때마다 머릿속에서는 자동적으로 ‘톱니 그래프’가 그려지는 것이었다. 인생의 3분의 1이 잠으로 점철될 정도로 인간에게 잠은 중요한 삶의 과정이다. - 동아일보DB 제공 사실 잠의 기능에 대해서는 과학자들 ... ...
복잡한 세상, 수학적 원리를 따르는가?
KOITA
l
2013.10.18
띄워서 42를 보여준다. 웹 사전인
볼
프람 알파도 위 문구를 검색하면 42를 보여주고
볼
프람 알파의 데이터를 활용한 아이폰의 음성인식 소프트웨어, 시리도 42라는 답을 보여준다. 문제는, 유명하긴 한데 아무도 42의 의미를 모른다. 심지어는 작가도 언급을 안한다. 몇 가지 설이 있기야 하지만 ... ...
“자동으로 시각을 알리는 정밀한 물시계를 제작하여라!”
동아사이언스
l
2013.10.10
국립과천과학관 관아에서 울리는 종과 북 소리가 시간의 기준 핸드폰도 없고 시계도 없던 시대에 우리 조상들은 어떻게 시간을 파악하고 생활했을까? 조선시대 한양에 사는 사람들에 ... 동영상이 잘 만들어져 있다. 자격루 외에도 해시계, 혼천시계 등을 같이
볼
수 있어 가
볼
만 하다 ... ...
이전
178
179
180
181
182
183
184
185
18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