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인간"(으)로 총 2,000건 검색되었습니다.
- 고세균 로키, 진핵세포 진화의 잃어버린 고리인가2015.05.11
- 생화학자이자 저명한 과학저술가인 닉 레인는 2009년 출간한 ‘생명의 도약’에서 “인간의 지능이나 의식과 같이 우리가 소중하게 여기며 우주 어딘가에서 찾고 있는 모든 특성이 한낱 세균에서는 결코 나타날 수 없다. 적어도 이는 진핵생물만의 독특한 특성이다”라고 쓰고 있다. 이 책의 ... ...
- DDT, 그 영욕(榮辱)의 역사2015.04.20
- 소송에 들어갔고 EPA는 6개월에 거쳐 심사를 벌였지만 윌리엄 러켈스호스는 청장은 DDT가 인간의 건강과 야생생물에 그렇게 위험하지는 않다며 DDT의 등록 말소를 거부한다. 그러나 논쟁이 수그러들기는커녕 더 확산됐고 결국 EPA는 7개월에 거쳐 청문회를 진행했고 1972년 러켈스호스는 마침내 ‘공중 ... ...
- ‘비스페놀A 프리’의 진실2015.04.13
- 사람들 사이에서만의 일은 아니다. 과학 역시 애증의 대상인데, 예를 들어 물리학의 경우 인간 이성의 최고봉에 있지만 물리학 덕분에 가능해진 원자력산업은 적지 않은 사람들에게 증오의 대상이다. 생명과학 역시 다채로운 지식의 보고이지만 유전자조작이나 배아줄기세포 같은 얘기만 들어도 ... ...
- 쌀 한 톨만한 컴퓨터 개발… 세포이식 가능한 ‘스마트더스트’ 나온다2015.04.12
- 스마트먼지 ㎥의 모습 - 미시건대 제공 쌀 한 톨 만한 컴퓨터를 미국 연구진이 개발했다. 피부 밑에 삽입하면 각종 생체정보 분석이 가능하고 각 ... 것”이라며 “컴퓨터 크기를 수 백 마이크로미터(μm·1μm는 100만 분의 1m)까지 줄이면 인간의 세포 속에 삽입 할 날이 올 것”이라고 말했다. ... ...
- 방사선 공포를 극복하는 128개의 눈한국원자력문화재단 l2015.04.08
- 신화’의 창조자로 잘 알려진 SF 작가, 하워드 필립스 러브크래프트의 말이다. 공포심은 인간을 포함한 동물이 지닌 가장 원초적인 감정 중 하나다. 진화론으로 볼 때 공포심은 위협적인 요소로부터 피할 수 있게 함으로써 개체의 생존에 유리하게 작용했으며, 이 때문에 공포심을 기본적인 감정으로 ... ...
- 권달관 전국원자력관련학과 교수연합회 회장 인터뷰한국원자력문화재단 l2015.04.08
- 사실 전공보다 중요한 것은 카운슬러로서 갖추어야 할 기본적인 마음가짐입니다. 바로 인간의 생명을 존중하고 타인의 심리를 이해하며 공감하는 것이지요. 관련 학회 설립은 현재 어느 정도 진행중인지요? 그리고 향후 학회의 활동에 대해서도 소개 부탁드립니다. 학회설립에 앞서 ... ...
- 공감 능력이 없는 반사회성 인격장애, 어떻게 봐야 할까?KISTI l2015.03.31
- 대한 조기 개입과 관련해 많은 논쟁이 있을 수 있다. 중요한 사실은 과거의 통념과 달리 인간의 뇌는 플라스틱처럼 변형이 가능한 가소성(plasticity)을 지니고 있는 점이다. 사회적 지지와 적절한 도움을 통해 환경을 바꾸면 이들의 기질 역시 변화할 수 있다. 일상생활에서는 잔인한 범죄자 ... ...
- 막스 플랑크 연구소 출신 3인방, 식물에서 새로운 꿈 키운다IBS l2015.03.30
- 유전체 상의 특정 유전자 염기서열만을 인식해서 DNA를 절단하는 인공 효소로서 인간 및 동식물 세포에서 특정 유전자에 돌연변이를 일으키거나 이미 존재하는 돌연변이를 교정하는데 사용된다. 식물팀은 양배추, 토마토, 야생 담배 등을 기르고 이 식물들의 유전체 염기서열을 유전자가위를 이용해 ... ...
- 화학결합의 처음과 끝을 봤다IBS l2015.03.27
- 중요성을 강조했다. “기초과학은 인류의 지적 경계선을 넓히는 도구입니다. 더구나 인간의 제한된 상상력으로, 지금 하는 기초 연구가 어디에 활용될지를 예단하면 안 된다고 생각합니다. 예를 들어 현재 많이 쓰이는 핵자기공명(NMR), 자기공명영상(MRI)은 그 원리를 탐구했던 과학자들이 처음부터 ... ...
- 운동호르몬 ‘이리신’, 과학인가 신화인가?2015.03.23
- 이리신에서 ‘손을 뗐다’고 한다. 무지개의 여신 이리스는 신의 뜻을 인간에게 알리는 전령이다. 이리스에서 이름을 딴 호르몬 이리신이 신화로 전락할 위기에 몰렸다. 프랑스 화가 피에르나르시스 게랭의 1811년 작품 ‘모르페우스와 이리스’. - Hermitage Museum 제공 2012년 당시 스피겔먼 ... ...
이전17817918018118218318418518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