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중
곱
d라이브러리
"
2배
"(으)로 총 5,403건 검색되었습니다.
소수점 하나가 세상을 바꾼다!
수학동아
l
200910
수학통조림 '소수 맛'이 새로 나왔어요! 소수 탄생의 역사, 초등 교과과정의 소수, 중·고등학교에서 소수 개념의 확장, 실생활에서 활용을 원재료로 맛있게 가공했습니다. 영양 성분도 고단백인 걸 보니 여러분의 수학 기초가 튼튼해질 것 같은 예감이 듭니다. 소수의 참맛을 기대하며 통조림 뚜껑 ... ...
마술과 함께 수학의 세계로!
수학동아
l
200910
정육면체의 한 변의 길이를 a라고 하면 정육면체의 부피는 a³이다. 한 변의 길이가
2배
가 되면 부피는 (2a)³=8a³으로 8배가 된다. 그러면 어떻게 해야 할까? 결론을 말하면 이는 그릴 수 없다. 고대 그리스시대부터 거의 2000년 동안 풀리지 않던 이 문제는 19세기에 이르러서야 그릴 수 없다고 증명됐다 ... ...
아시아 최초 슬로시티 태평염전에 가다!
과학동아
l
200910
이번이 벌써 두 번째다. 9월 2일 전남 신안군 지도읍 지신개 선착장에서 증도(曾島)로 들어가는 배를 타는 감회가 새로웠다. 날씨가 좋아야 할 텐데…. 두 달 전쯤에도 이곳에 왔다가 날씨 때문에 아쉽게 발걸음을 돌렸던 기억에 자꾸 하늘을 살피게 된다. 다행히 오늘은 구름 한 점 없이 맑다.2007년 ... ...
“친환경 솔라보트 시대 주춧돌 되겠다”
과학동아
l
200910
“왜 솔라보트만 가지고 나오면 구름이 많은 거야~!”“연상아, 진국아! 배 뒤쪽부터 조심히 내려!”9월 4일, 이곳 대전 갑천에는 색다른 인터뷰 준비가 한창이다. 인터뷰의 주인공은 지난 8월 21일~22일 대전 갑천에서 열린 제11회 인력선-솔라보트 대회에서 솔라보트 부문에서 우승한 충남대 ‘솔리 ... ...
힘찬 기상과 애절함을 담은 소리 피리
과학동아
l
200910
오해하기 쉽다. 국립국악원 피리연주자 정운종씨는“당피리는 관대 두께가 향피리보다
2배
정도 두껍기 때문에 음량도 훨씬 크다”며“그만큼 더 많은 입김을 불어 넣어야 하기 때문에 향피리보다 연주하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그래서 연주자들 대부분은 향피리 연주법을 익힌 뒤 당피리 ... ...
똑똑한 전력망 스마트 그리드가 온다
과학동아
l
200910
전력 수요가 치솟을 때 잠깐씩 쓴다. 문제는 석유와 가스의 발전 단가가 원자력보다
2배
이상 높다는 점이다. 여름철 전력 수요를 줄일 수 있다면 그만큼석유와 가스 발전을 통해 날아가는 비용을 아낄 수 있다는 얘기다.LG경제연구원 홍일선 선임연구원은 지난 7월 발간한 보고서에서“기존 전력 ... ...
마시면 살 빠질까? 차 음료의 진실
과학동아
l
200910
350kcal)과 비슷한 에너지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또 메밀은 백미보다 8배, 밀가루보다
2배
많은 섬유질이 들어 있어 소화와 배변을 돕고 루틴(rutin)을 함유하고 있어 모세혈관을 튼튼히 하고 혈압도 낮춘다.‘오늘의 차 현미쏙차’의 원료이기도 한 현미는 섬유질이 풍부해 배변을 돕기 때문에 배가 ... ...
수학, 보이지 않는 것을 보이게 하는 힘!
수학동아
l
200910
"순수 우리 시스템 공학으로 만든 아리랑위성 2호가 보내 온 영상을 마음껏 만져 보고 싶었어요."항공우주연구원 위성정보연구소 영상검·보정기술팀 최명진 박사는 항우연과의 인연을 이렇게 전했다. 주요 연구 분야는 위성이 촬영한 일종의 디지털 사진인 위성 영상을 평가하고 흐릿한 영상을 바 ... ...
2. 재료 절약의 비법
수학동아
l
200909
"아끼면 잘 산다." 일부러 외치지 않아도 생활 속 많은 물건 속엔 이 문구가 녹아 있답니다. 물건에 숨어있는 절약의 비법을 알려드릴 게요.A4 용지의 비밀일상생활에서 가장 많이 쓰는 종이는 A4용지랍니다. 학교에서 집으로 보내는 통지문이나 정부와 기업의 공문도 A4 용지를 쓰고 있어요. 자를 들 ... ...
약수와 배수, 누가 만들었을까?
수학동아
l
200909
약수와 배수는 누가 만들었을까? 이 질문은 마치 자연수와 분수는 누가 만들었냐고 묻는 것과 같다. 자연수와 분수 개념이 단 한사람의 아이디어로 창조된 것이 아니듯 약수와 배수 개념 역시 오랜 세월 동안 은연중에 사람들이 자연스럽게 터득한 개념이다. 원시시대 사람들도 같은 수를 반복해서 ... ...
이전
179
180
181
182
183
184
185
186
1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