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공부시간"(으)로 총 2,299건 검색되었습니다.
- 왜 인간게놈 연구에 통계학이 동원될까과학동아 l2001년 04호
- 오늘날에는 매일 쏟아지는 방대한 데이터로부터 의미있는 자료를 얼마나 신속하게 찾느냐에 기업의 성패가 달려있다. 이를 위해 통계학적 기술이 응용되는데, 데이터마이닝이 바로 그것. 기업뿐 아니라 인간유전자의 의미를 찾아가는 포스트게놈 연구에서도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왜일까. 필 ... ...
- 행운을 만드는 생물공학계의 아이디어 뱅크 이상엽과학동아 l2001년 03호
- 1990년 미국에서 열린 국제생물화공학회에서 한 학생이 세계적인 석학의 강연 후에 질문을 했다. 당시 강연자는 미처 생각하지 못한 부분이었는지 대답을 못해 어쩔줄을 몰라했다. 그 질문을 한 학생이 바로 이상엽교수다. 이렇듯 그는 늘 남들이 생각하지 못했던 질문거리를 가지고 다녔다. 그리고 ... ...
- PART 3. 스타워스의 공간이동 가능성 연 나노소자과학동아 l2001년 03호
- 20세기 진공관에서부터, 트랜지스터, 집적회로로 이어지는 소형화의 길은 현재 거의 한계에 달하고 있다. 이를 극복할 방법은 없을까. 과학자들은 돌파구를 나노과학에서 찾고 있다. 그러나 그 길은 멀고도 험하다.하늘 천, 따 지, 검을 현, 누르 황…. 천자문을 공부하던 시절인 19세기 이전. 그 시절 ... ...
- 대학입시의 새로운 변수 심층면접구술고사과학동아 l2001년 03호
- 대학입시에 낯선 시험이 등장했다. 다름아닌 심층면접구술고사. 2001학년도에 첫 시도된 이 시험이 2002학년도에는 본격적으로 도입된다. 2001학년도 심층면접을 평가해보고 2002학년도의 대비책을 모색해보자.1 정답 외우기보다 과정 파헤쳐라 20개 대학 면접시험 비중 15%이상2002학년도 대학입시에 면 ... ...
- 중학교 과학교과서 컬러시대 열렸다과학동아 l2001년 03호
- 가장 딱딱하고 재미없게 보이는 책을 꼽으라면? 아마 학생들은 ‘교과서’를 뽑지 않을까 싶다. 그러나 올해 중학교를 입학하는 학생들은 좀 다르게 생각할 듯하다. 교과서가 모습을 싹 바꿨기 때문이다. 어떻게 달라졌을까.우선 외형을 살펴보았다. 첫눈에 들어오는 것은 크기의 변화. 16.9×23.7cm에 ... ...
- 서울대 입시 문제를 계기로 본 이공계 대학 심층 구술 면접 새로운 경향과학동아 l2001년 02호
- 2001년도 이공계 대학 진학을 위한 심층면접 내용이 화제가 되고 있다. 단순히 교과서에서 암기한 지식을 테스트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과학분야에 대한 통합적 사고를 요구하고, 실생활과 과학의 연관성을 강조한 질문들이 대거 등장했기 때문이다. 대표적인 사례가 지난 1월 15일 치러진 서울대 심 ... ...
- 10년 후 세상 주도할 첨단기술 10과학동아 l2001년 02호
- 10년 후의 미래는 어떨까. 신체특징이 출입증으로 사용되고 인터넷 콘텐츠 복제를 방지하는 것은 기본. 로봇이 만들고 광속으로 정보를 처리하는 컴퓨터와 농담을 나누는 일이 가능하지 않을까.로봇을 만드는 로봇사람처럼 각종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영특한 로봇을 만드는 일은 로봇 산업의 궁극 ... ...
- 리프킨의 엔트로피과학동아 l2001년 01호
- 열역학의 기본 법칙에는 크게 제0, 제1, 제2법칙이 있다. 이 중 ‘엔트로피 법칙’이라 불리는 열역학 제2법칙은 다양한 형태로 표현된다. 독일의 물리학자 클라우지우스는 “열은 스스로 저온의 물체에서 고온의 물체로 이동할 수 없다”고 표현했으며, 영국의 물리학자 켈빈은 “역학적 일은 전부 ... ...
- 껌 8분 이상 씹으면 스트레스 받는다과학동아 l2000년 12호
- 야구선수가 껌을 씹으면 시합의 긴장감으로 인한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다.그러나 오래 씹으면 오히려 더 스트레스가 쌓인다.왜 그럴까.또 껌을 씹을 때 뇌의 활동이 공부할 때와 비슷하다고 하는데….박찬호가 나오는 미국 프로야구 경기를 보면, 야구선수들이 껌을 우물우물 씹고 있는 것을 자주 ... ...
- 20세기 대우주탐험가 에드윈 허블과학동아 l2000년 12호
- 현재 우리가 알고 있는 우주가 밝혀지기 시작한 때는 20세기 초반이다.우주에는 수많은 은하가 있고 이들이 서로 멀어진다는 사실을 관측한 사람이 바로 에드윈 허블이다.천문학계에서는 아인슈타인을 능가한다고 평가받는 그의 발자취를 뒤따라가보자.지난 20세기 초만 해도 우주공간에 우리은하 ... ...
이전17918018118218318418518618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