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망원경"(으)로 총 1,853건 검색되었습니다.
-
- 인간이 발디딘지 18년 달의 신비, 얼마나 벗겨졌나과학동아 l1987년 10호
- 당분간 없다고 보아도 좋다.달의 얼굴은 왜 곰보인가?1609년 갈릴레오는 스스로 만든 천체망원경으로 달을 관측하고 어두운 부분을 '바다', 밝은 부분을 '육지'라 불렀다. 이것이 전통이 돼 오늘날까지 용암이 흘러나와 굳은 광대한 평원지대를 '바다'라 부르고 있다. 아폴로11호의 달착륙선이 내린 ... ...
-
- PART Ⅰ 마이크로 코스모스 사진으로 본 신비과학동아 l1987년 09호
- 또 다른 안경제조업자인 '한스 리펠스하이'는 1608년 현미경과 같은 구조를 뒤집어 놓은 망원경을 발명했던 것이다. 광학기계의 2대 발명이라고 일컬어지는 이 두가지 발명 덕분에 인류는 가장 작은 것과 가장 큰 것, 즉 미시세계와 우주세계로 진출할 수 있게 되었다. 처음 고안된 현미경은 렌즈 ... ...
-
- 즐겁고 유익한 여름을! 자연관찰을 위한 안내과학동아 l1987년 08호
- 호수인 림푸울이나 림스톤에 서식하는 곱둥이 톡톡이 설설이 등은 되도록 접근해 망원경을 통해보면 관찰이 가능하다. 동굴이 환경개발에 따른 사람의 발길로 오염되어가고 있는 모습을 관찰하는 것도 비길데 없이 중요한 자연학습이다. 동굴개발로 내부에 조명등이 설치되면서 빛이 비추는 ... ...
-
- 빛 이야기 태양숭배에서 레이저까지과학동아 l1987년 08호
- 발명이야말로 중세 후기의 학문부흥에 커다란 역할을 했다. 또한 안경의 사용으로 점차 망원경 발명의 서곡이 울리기 시작했고, 갈릴레오(1564~1642)가 이를 사용함으로써 천문학 발전의 새로운 지평을 열게되었다. 프리즘으로 밝힌 무지개의 신비 뉴턴의 두번째 대저인 '광학, 빛의 반사, 굴절, 회절 ... ...
-
- 정상 우주론의 창시자 프레드 호일 FRED FOYLE과학동아 l1987년 08호
- 특정한 전파관측을 하자고 제의했으나 라일은 호일을 초청한 뒤 호일이 사용할 전파 망원경은 스스로 마련하라고 주장했다. 호일과 라일의 이름이 과학계에서 널리 알려지면서 이들의 논쟁은 싸움으로 번졌다. 라일은 강의 도중에도 기회가 있을 때 마다 호일의 정상우주록을 반박했으며 자기의 ... ...
-
- 별의 탄생과 죽음 PART1 아기별은 어떻게 태어나는가과학동아 l1987년 07호
- 밤잠을 빼앗아간 초신성을 관찰하려면 천체망원경이 필요하다. 우주의 거대한 드라마 망원경을 통해 본 천체는 한 편의 장대한 드라마를 엮어내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태양만한 질량을 가지면서도 지구정도의 크기밖에 안되는 백색왜성(白色倭星)이 있는 반면에, 만일 태양의 위치에 있다면 지구의 ... ...
-
- PART3 초신성 폭발의 드라마과학동아 l1987년 07호
- 초신성을 발견한 행운은 위대한 천문학자 '케플러'에게 돌아갔다. 1604년, 그러니까 망원경이 발명되기 4년 전의 일이다. 한편 이 초신성은 케플러에 앞서 한국인이 발견했다는 견해도 있다. '조선왕조실록' 및 '천문전고'(天文典故)에는 '모양은 태백성과 같고 빛은 누르고 붉은' 새로운 별이 ... ...
-
- 욕심장이 생화학자 월터 길버트과학동아 l1987년 06호
- 길버트는 어렸을 때부터 천문학과 화학에는 남다른 재능을 보여주었다. 어린 손으로 망원경용의 거울을 만들어 보기도 하고 아홉살 되던 해에는 벌써 워싱턴의 아마추어 지질학회의 회원이 되었다. 열살도 되기 전에 대학용 화학교과서를 뒤적이기 시작했다. 그러나 그의 어머니는 길버트의 ... ...
-
- 행성지구 그 신비를 해부한다과학동아 l1987년 04호
- 시간이 갈수록 온도가 더욱 높아져 간다."우주탐사선(파이오니아)을 통한 관측과 전파망원경으로 관측한 금성의 표면지형은 우리에게 새로운 사실을 가져다주었다. 지구에서 작용한 지질학적인 힘이 금성에서도 볼 수 있다는 것이다. 단층 꼭대기에서 분출한 화산, 길게 뻗은 계곡 등은 지구와 ... ...
-
- 천문학의 최전선 전파천문학이란 어떤 것인가과학동아 l1987년 02호
- 송신할 것이라 믿고 있기 때문이다. 아뭏든 외계문명체 탐사는 앞으로도 더 좋은 전용망원경으로 계속될 것이고 그 성공 여부는 결국 시간의 문제가 아닌가 생각되고 있다. 이상 소개한 것과 같이 전파천문학은 겨우 30여년의 짧은 역사를 가진 분야이나 인간이 우주와 천체를 이해하는데 있어 ... ...
이전17918018118218318418518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