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방향"(으)로 총 6,206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식] 축구공을 꼭 닮은 풀러렌!수학동아 l2015년 09호
- 그을음뿐만 아니라 실험 전후의 흑연 표면을 관찰하기 시작했다. 그러다 탄소 원자가 한 방향으로 길게 결합돼 마치 원기둥 모양을 이루는 ‘탄소나노튜브’를 발견했다. 이렇게 발견된 탄소나노튜브는 지금도 군사, 자동차, 반도체, 의학 분야 등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쓰이고 있다.풀러렌은 198 ... ...
- [생활] 고흐의 진짜 해바라기를 찾아라! 명탐정 코난 화염의 해바라기수학동아 l2015년 09호
- 그린 작품 101개를 같은 방식으로 분석했어. 그랬더니 역시나 물감층마다 붓칠이 여섯 방향으로 뻗어 있었대. 즉, 고흐의 그림 스타일이었던 거야.이런 습관이 나타나 있는지 관찰하면 어떤 그림이라도 고흐가 그린 것인지 아닌지 알 수 있어. 아무리 남의 그림을 잘 흉내 내는 사람이라도 미세한 ... ...
- PART1. 태양계 행성 여행자를 위한 안내서과학동아 l2015년 09호
- 방향과 반대로 움직인다. 고위도 지역에서 자전과 같은 방향, 저위도 지역에서는 역방향으로 바람이 부는 다른 행성들과는 다르다. 해왕성의 기상 활동이 천왕성보다 활발한 이유는 해왕성 내부의 열이 더 높기 때문으로 추측된다. 해왕성은 천왕성보다 태양으로부터 1.5배나 더 멀고 태양빛도 ... ...
- Part 3. 적분은 미분의 반대가 아니다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측도로부터 적분을 새롭게 정의했다. 리만이 함수 그래프를 세로로 쪼갠 것과 달리 가로 방향으로 쪼갰다. 그리고 특정 함수 값에 해당하는 정의역 구간의 길이, 즉 측도를 구해 함수값을 곱한 뒤 모두 더했다. 이 값이 바로 르베그 적분이다. 르베그는 대중을 대상으로 쓴 글에서 다음과 같은 비유를 ... ...
- [Life & Tech] 무선으로 충전하는 ‘와이파워 시대’과학동아 l2015년 09호
- 뒤집고 흔들어도 휴대전화 화면의 번개는 사라지지 않았다. 임 교수는 “기존에도 어느 방향으로 움직여도 충전 가능한 제품은 개발돼 있었지만, 기존 코일(루프 코일)은 구 모양이라 휴대전화에 적용시키기는 어려웠다”고 말했다. 반면 다이폴 코일을 이용하면 두께가 3mm 정도의 평평한 전기 ... ...
- [Knowledge] 괜찮아, 지나간 일이야과학동아 l2015년 09호
- 끝내지 말고, 철저한 현실 지각과 반성을 통해 기존의 목표와 전략을 좀 더 현실적인 방향으로 수정하는 등의 조치를 취한다면 후회는 우리를 성장시킨다. 계속 후회만 하면서 끝없는 자기비관에만 빠질 경우 후회는 독이 된다. 실제로 지난 과거의 일에만 갇혀 지내면 현재에 대한 집중력과 능률이 ... ...
- [Knowledge] SF가 사랑한 이름, 상대성이론과학동아 l2015년 09호
- 바꿀 수 있을까우리는 공간에서 어느 방향으로든 이동할 수 있다. 반면 시간에선 한 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다. 시간과 공간의 결정적 차이다. 그러나 이런 직관은 어디까지나 상대성이론 이전의 물리학 법칙에 따른 것이다. 상대성이론은 시간과 공간이 독립적인 것이 아니라 4차원 시공간의 ... ...
- PART3. 외계행성 탐사 전성시대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이동하는 정도를 측정하는 방법이다(앞뒤로 움직이는 속도 중에서 지구와 항성을 잇는 방향의 속도를 시선 속도라고 부른다). 빛은 도플러 효과를 일으키기 때문에 이것을 분광기로 분석하면 항성이 앞으로 가까워지는 것과 뒤로 멀어지는 것을 색으로 볼 수 있다.횡단법(Transits)외계행성의 절반 ... ...
- 당구공에서 인공심장까지! 플라스틱의 변신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9호
- 모이게 된 것은 이 지역의 바람이 시계 방향으로 타원형을 그리며 불고, 바닷물도 같은 방향으로 소용돌이치기 때문이에요. 그 결과 태평양을 지나는 바닷물의 절반은 이곳으로 모이는데, 쓰레기들도 바닷물을 따라 이 지점으로 모이게 되는 것이지요.놀랍게도 이런 크기의 쓰레기 섬이 인도양과 ... ...
- [수학뉴스] 개미 떼를 이끄는 리더 개미수학동아 l2015년 09호
- 사실을 밝혀냈습니다. 만약 장애물이 나타나면 리더 개미가 신호를 보내고, 나머지가 방향을 틀어 장애물을 피해 갔습니다.연구팀은 개미 개체 수와 집까지의 거리 등 여러 변수를 적용해 개미 떼가 함께 힘을 합쳐 먹이를 옮기는 것에 대한 수학모형을 만들었습니다. 그 결과 개미가 약 20마리일 때 ... ...
이전17918018118218318418518618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