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방향"(으)로 총 6,206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식] 접기+자르기+수학=무한한 가능성!수학동아 l2015년 09호
- 작품을 만들 때는 대칭에 대해 정확하게 이해하고 있어야 실수가 없다. 종이를 접는 방향이나 자르는 방법에 따라 무늬가 서로 다른 위치에 나타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오른쪽 위 사진처럼 정사각형 색종이를 대각선이 만나도록 세모 접기를 세 번 한 다음, 한 장은 삼각형의 밑변에, 한 장은 ... ...
- [생활] 고흐의 진짜 해바라기를 찾아라! 명탐정 코난 화염의 해바라기수학동아 l2015년 09호
- 그린 작품 101개를 같은 방식으로 분석했어. 그랬더니 역시나 물감층마다 붓칠이 여섯 방향으로 뻗어 있었대. 즉, 고흐의 그림 스타일이었던 거야.이런 습관이 나타나 있는지 관찰하면 어떤 그림이라도 고흐가 그린 것인지 아닌지 알 수 있어. 아무리 남의 그림을 잘 흉내 내는 사람이라도 미세한 ... ...
- [지식] 축구공을 꼭 닮은 풀러렌!수학동아 l2015년 09호
- 그을음뿐만 아니라 실험 전후의 흑연 표면을 관찰하기 시작했다. 그러다 탄소 원자가 한 방향으로 길게 결합돼 마치 원기둥 모양을 이루는 ‘탄소나노튜브’를 발견했다. 이렇게 발견된 탄소나노튜브는 지금도 군사, 자동차, 반도체, 의학 분야 등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쓰이고 있다.풀러렌은 198 ... ...
- Part 1. 의심스러운 토대 위에 싹트다과학동아 l2015년 09호
- 구하는 방법이다. 예컨대, 그는 좌표에서 움직이는 점의 속도의 구성성분(가로와 세로 방향의 속도)을 조합해 기울기를 구했다. 유율법에 따르면, 접선의 속도 벡터는 가로와 세로 벡터의 합이 된다.라이프니츠의 미분법은 다소 달랐다. 그는 독립적인 연구 끝에 20여 년 뒤인 1684년, 미분공식을 ... ...
- Part 3. 적분은 미분의 반대가 아니다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측도로부터 적분을 새롭게 정의했다. 리만이 함수 그래프를 세로로 쪼갠 것과 달리 가로 방향으로 쪼갰다. 그리고 특정 함수 값에 해당하는 정의역 구간의 길이, 즉 측도를 구해 함수값을 곱한 뒤 모두 더했다. 이 값이 바로 르베그 적분이다. 르베그는 대중을 대상으로 쓴 글에서 다음과 같은 비유를 ... ...
- [Life & Tech] 무선으로 충전하는 ‘와이파워 시대’과학동아 l2015년 09호
- 뒤집고 흔들어도 휴대전화 화면의 번개는 사라지지 않았다. 임 교수는 “기존에도 어느 방향으로 움직여도 충전 가능한 제품은 개발돼 있었지만, 기존 코일(루프 코일)은 구 모양이라 휴대전화에 적용시키기는 어려웠다”고 말했다. 반면 다이폴 코일을 이용하면 두께가 3mm 정도의 평평한 전기 ... ...
- 당구공에서 인공심장까지! 플라스틱의 변신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9호
- 모이게 된 것은 이 지역의 바람이 시계 방향으로 타원형을 그리며 불고, 바닷물도 같은 방향으로 소용돌이치기 때문이에요. 그 결과 태평양을 지나는 바닷물의 절반은 이곳으로 모이는데, 쓰레기들도 바닷물을 따라 이 지점으로 모이게 되는 것이지요.놀랍게도 이런 크기의 쓰레기 섬이 인도양과 ... ...
- 숫자 세 개가 만나는 곳에 보물이 있다!수학동아 l2015년 09호
- 평균해수면을 연장한 면과 같다. 이 지구 모형은 어느 점에서든 점과 접하는 면이 중력 방향과 수직이다.하지만 지오이드도 좌표로 쓰기에는 생김새가 복잡하다. 이 단점을 극복하기 위한 방법은 지오이드에서 원하는 지역이 있는 면에 가장 잘 들어맞는 회전타원체를 찾는 것이다. 그러면 한 나라의 ... ...
- [생활] 페이 경쟁 생체인증이 대세수학동아 l2015년 09호
- 위치 등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이런 신체의 특징은 ‘특징벡터’로 나타낸다. 벡터는 방향과 크기에 관한 정보를 모두 담고 있다. 목소리도 특징벡터로 나타내 인증에 쓸 수 있다. 목소리에서 높이, 어조, 리듬, 강세 같은 습관적 특징뿐만 아니라 폐활량, 성대의 길이와 모양 같은 신체의 특징까지 ... ...
- [참여] 게임카페 1기, 두 번째 수업 오늘은 나도 컴퓨터 게임 개발자!수학동아 l2015년 09호
- 바꿀 수도 있어요. 그리고 방향과 속도 칸에 원하는 값을 입력하면 캐릭터가 움직여요. 방향 칸에 270을 입력해 보면 캐릭터가 아래로 떨어지는 걸 볼 수 있어요. 0, 90, 180, 270은 각각 오른쪽, 위쪽, 왼쪽, 아래쪽을 가리키는 각도 값이기 때문이에요.학생들은 블록 캐릭터가 화면 아래쪽에서 왔다 갔다 ... ...
이전17918018118218318418518618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