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시간"(으)로 총 14,019건 검색되었습니다.
- [하비맨] 드론 한 마리 몰고가세요~!수학동아 l2021년 02호
- 고성능 드론은 균형을 맞추기 위해 ‘뉴턴-오일러 방정식’을 사용합니다. 이 방정식은 시간에 따른 변수의 변화를 나타내는 미분방정식의 일종으로, 드론의 움직임을 나타냅니다. 드론 속 센서가 가속도를 측정하면 내장된 시스템이 미분방정식으로 바람의 힘에 따라 그 힘을 받은 드론이 어떤 ... ...
- [과학뉴스] 광합성 안하는 세균도 일주기 리듬 있다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이끄는 국제공동연구팀은 광합성을 하지 않는 세균의 일종인 고초균(Bacillus subtilis)도 24시간을 주기로 유전자의 발현이 달라진다는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 1월 8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고초균의 청색광 흡수와 관련된 ytvA 유전자와 포자 형성과 관련된 kinC 유전자의 ... ...
- ‘집콕’으로 다시 주목받는 '시민과학 프로젝트'과학동아 l2021년 02호
- 같은 초대형 연구계획에 제동이 걸렸다. 하지만 어두운 면이 있으면 밝은 면도 있는 법. 시간과 공간을 뛰어넘어 어디서든, 누구나 과학자가 될 수 있는 시민과학 프로젝트가 ‘집콕’으로 다시 재조명되고 있다. 시민과학은 일반 시민들이 과학자들과 함께 과학연구에 필요한 데이터를 ... ...
- [인포그래픽] 탐사 임무 전 마지막 관문 공포의 7분과학동아 l2021년 02호
- 퍼시비어런스는 착륙 직전 ‘공포의 7분’을 무사히 넘겨야만 임무를 수행할 수 있다. 정확히는 6분 50초인 이 시간 동안 퍼시비어런스는 화성 대기 꼭대기에서 지표면까지 안전하게 도착해야 한다. ...
- 아말과 톈원 1호, 화성 하늘을 두드리다과학동아 l2021년 02호
- 궤도선을 확보한 상태에서 시차를 두고 착륙선을 내려 보낸다는 계획이다.궤도선은 화성 시간으로 약 1년 동안 과학 관측을 수행할 계획이다. 몇 달 뒤에는 착륙선이 화성 표면 착륙에 도전한다. 착륙 지점은 유토피아 평원(Utopia Planitia)이다. 이어 로버가 착륙선에서 분리된다. 무게 240kg인 로버는 ... ...
- [지구사랑탐사대] 곤충박사 팀 김현지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지사탐 활동 다짐 부탁드려요!작년엔 코로나19로 학교를 못가게 되면서 동네를 탐사할 시간이 많아졌어요. 특히 지사탐 강연을 온라인으로 볼 수 있게 되어 빠짐없이 참여하고, 보고서를 쓰고, 매달 강연에 맞는 생물도 탐사할 수 있었지요. 덕분에 다양한 종의 생물종을 탐사하고 자연에 더 많은 ... ...
- [이달의 과학사] 인류, 가장 깊은 바다에 도착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2호
- 금이 가면서 난 소리였어요. 나중에 잠수정이 수면으로 올라온 이후 깨져버렸지요.약 4시간 48분 동안의 잠수 후, 트리에스테호는 마침내 수면 1만 916m 아래 챌린저 해연의 바닥에 닿았어요. 잠수정이 바닥에 닿으면서 진흙탕이 일어나는 바람에, 타고 있던 두 사람은 바닥에 머무는 20분 동안 바깥도 ... ...
- [하야부사 2호] 왜 류구를 찾아갔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2호
- 2011년부터 2012년까지 지상에서 류구를 관측했어요. 이 관측 자료로 류구의 자전 주기가 7.6시간임을 확인했습니다. 류구가 자전함에 따라 태양 빛을 받는 면이 계속 달라져 소행성의 밝기가 주기적으로 변하는 성질을 이용해 자전 주기를 측정했지요. Q지상에서 류구를 관측하는 데 어려움이 ... ...
- [마이랩@홈] 섭섭박사의 홈 파티에 어서 오세요!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2호
- 밥솥 안에 있는 쌀을 빠르게 익힐 수 있다는 뜻이에요. 그래서 압력밥솥은 밥 짓는 시간을 절반 이상 줄일 수 있답니다. ● 실험 하나 더! 파티에 어울리는 감자칩 만들기섭섭박사님은 음료와 함께 맛있는 감자칩도 대접해 주셨어요. 직접 만든 감자칩이라고 하던데…, 전자레인지만 있으면 만들 수 ... ...
- [Bridge] 이미지 인식 AI에 수학이 필요한 순간수학동아 l2021년 02호
- 수많은 이미지를 학습해 훈련합니다. 이때 데이터의 양이 워낙 많아 학습하는 데 오랜 시간이 걸리다 보니 적은 데이터로도 많은 양을 학습할 수 있는 방식을 고민해야 하죠. 그리고 딥러닝의 단점 중 하나가 지속적으로 학습하기 어렵다는 점입니다. 한 가지 일을 배우고 또 다른 일을 배우면 전에 ... ...
이전17918018118218318418518618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