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구진
연구직원
연구자
연구소
d라이브러리
"
연구원
"(으)로 총 6,796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토성 위성 '타이탄 지도' 최초 공개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이중 가장 최근에 만들어진 지형은 적도 부근 모래언덕과 극지방의 호수였다. 로페즈
연구원
은 “타이탄은 지구와 유사한 지형을 많이 가지고 있다”며 “기후, 계절, 고도 등에 의한 영향을 받은 결과일 것”이라고 말했다. doi: 10.1038/s41550-019-0917- ... ...
교과서에는 없는 얼음의 특별한 비밀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그런데 얼음 속에서는 이보다 10만 배나 빠른 1시간 만에 이 반응이 일어났다. 김 선임
연구원
은 “얼음 속 준액체층에 산소가 농축되고 산성도가 높아지면서 반응 속도가 급격히 증가한 것”이라고 설명했다.얼음이 화학반응을 매개하는 방법은 하나 더 있다. 바로 물 분자에서 양전하를 띠는 수소 ... ...
여기는 AI 월드컵 현장입니다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득점차여도 모든 팀을 이겼다”면서 “우승할 수도 있겠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최
연구원
은 AI 월드컵 우승 비결로 강화학습을 꼽았다. 그는 “현재 대학원에서 강화학습을 연구하고 있다”며 “그중에서도 KVILAB에는 다중로봇제어기술인 ‘MARL’을 적용해 알고리즘을 만들었다”고 밝혔다 ... ...
[폴리매스 프로젝트] 12월, 세상에 없던 문제에 도전하라!
수학동아
l
2019년 12호
번 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어서 참여하게 됐어요. 장래희망이 무엇인가요?인공지능
연구원
이에요. 사람이 친구처럼 지낼 수 있는 인공지능, 사람에게 도움을 주는 인공지능을 만들고 싶어요. 친구들에게 하고 싶은 말이 있나요?수학을 즐겨야 한다고 말하고 싶어요. 즐기고 나면 수학에 ... ...
[과학뉴스] NASA, 블랙홀 영상 공개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다소 밝게, 지구에서 멀어지는 빛은 그 반대가 된다. 연구를 주도한 제레미 슈니트만
연구원
은 “중력이 시공간의 구조를 왜곡시킨다는 아인슈타인의 말을 시각화하는 데 이번 시뮬레이션이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멸종위기종 금개구리 신체검사 받던 날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마련되면 유사한 종의 물고기 배를 빌려 언제든 복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 책임
연구원
은 “종 복원기술은 계속 발전하는 추세”라며 “앞으로 3년간 남생이와 비바리뱀, 수원청개구리를 순차적으로 복원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
Google 진실을 말해줘~ 1만 년 걸릴 연산 200초 만에 한 거 실화임?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오스트리아 빈 사이의 7600km를 무선 양자통신으로 연결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조 선임
연구원
은 “양자기술이 정말 어디까지 발전할지, 일반 대중에게 어떤 영향을 미칠지는 더 지켜봐야한다”고 말했습니다. 1 구글이나 IBM처럼 초전도체를 이용해 큐비트를 만들려면 0K(절대온도)의 극저온 상태를 ... ...
[과학뉴스] 화성 분화구 속에 ‘염분 호수’ 있었다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약 37억~33억 년 전 형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약 150m 높이의 퇴적층이다.라핀 박사후
연구원
은 “이번에 발견된 황산염은 퇴적물과 함께 섞인 형태”라며 “민물호수가 아닌 소금기가 있던 얕은 호수가 증발해 형성됐음을 알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지구과학’ 10월 ... ...
50년 만에 첨단 CG로 부활한 거대 타조공룡 데이노케이루스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경남 하동의 중생대 악어 두개골 연구로 석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국지질자원
연구원
지질박물관에서 근무하며 고생물 분야에서 전시 및 교육 콘텐츠 개발과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경기 화성시의 지원으로 발족한 ‘한국-몽골 국제공룡탐사’ 참여(2008년 3차 탐사)를 계기로 매년 몽골 고비사막의 ... ...
충전 가능한 시대를 열다 리튬이온전지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리튬이온전지는 충전이 가능하고 작은 부피에 에너지를 고밀도로 저장할 수 있어 휴대전화 같은 전자기기뿐만 아니라 전기차의 배터리로도 쓰인다. 리튬이온전지의 개발은 무 ... 진행하고 있다. 2006~2010년 존 구디너프 미국 텍사스대 기계공학과 교수 연구실에서 박사후
연구원
을 지냈다 ... ...
이전
179
180
181
182
183
184
185
186
1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