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타
나머지
여타
기타등등
etc
d라이브러리
"
이외
"(으)로 총 2,338건 검색되었습니다.
차세대 원전개발, 어디까지 왔나?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Na)을 냉각재로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고속증식로의 상용화를 위해서 핵분열 현상
이외
에도 Na 냉각재에 대한 연구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세계적으로 고속증식로의 개발은 프랑스의 슈퍼피닉스(1백24만 ㎾)가 운전되는 공학적 이용단계에 있으나, 기존 원자로보다 건설 및 운전비용이 높아 ... ...
첨단시대 첨단학과, 그 전망은?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때문이다. 유연성 있어야K대 유전공학과 2기생인 J모군은 졸업을 앞둔 요즘 대학원 진학
이외
에 달리 사회진출의 길이 없는 동료들과 답답한 마음을 서로 위로하고 있다. 입학당시만 해도 졸업만 하면 당장 기업에고, 연구소고 불티나게 '팔려나갈 것'이라던 기대는 물거품이 됐다. 유전공학의 경우 ... ...
첨단 가전제품 이용도 높이려면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있다. 전체적으로 화면의 분위기를 3단계로 조정하는(warm, medium, cool)장치도 붙어있다.
이외
에도 음질의 높낮이를 고음(treble) 중간음(balance) 저음(bass)으로 분류할 수도 있다.일반적으로 소비자들은 화질이나 소리를 자신의 취향에 맞게 조정해 보는 사람은 매우 드물다는 것이 업계측의 설명. 실제로 ... ...
바퀴식 TGV·신칸센의 신화, 곧 무너진다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오히려 더 빠를 수 있다. 미국의 과학자들은 시속 5백km의 상업운전은 자기부상열차
이외
에는 기술적으로 어렵다는 판단을 내려놓고 있다. 더욱이 초전도 전자석을 만드는 기술이 현재 괄목할만한 수준에 있기 때문에 염가의 자기부상력을 쉽게 확보할 수 있다.초전도기술은 곧 보편화될 전망이다. ... ...
박정래씨 최우수상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과 '잊을 수 없는 선생님'을 산문부문에서 써낸 조한숙양(전남여상 2년)이 각각 당선됐다.
이외
에도 각 부문별로 가작 4명 장려상 8명이 선정됐다.올해로 두번째 실시된 이번 컴퓨터온라인 백일장은 지난 9월 6일부터 열흘간 한국데이타통신(주)의 PC서브와 한국경제신문의 케텔(KETEL) 등 통신망을 ... ...
「라돈 공포」 전세계로 확산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라돈가스에 직간접인 영향을 받아 사망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EPA는 작년부터 주택
이외
에 초중학교 건물과 군사시설의 라돈농도를 집중 조사하고 있다. 현재 미국에서는 시민들의 라돈에 대한 경계심이 높아 집을 사고팔 때 라돈측정치를 첨부하며 이에따라 집값이 크게 좌우된다고 한다.독일 ... ...
미국 공세에 쩔쩔매는 국내기업들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단축하되 시험용으로 3만2천대의 변압기를 미국에서 구입하도록 돼 있다.결국 미국
이외
의 딴나라들은 아모르퍼스 기술개발을 특허로 인해 하지 못하게끔 돼 있다. 전문가들은 미국이 첨단상품에 대해 딴 나라의 기술적 지연을 초래해 외국과 기술차이를 계속 벌여 놓겠다는 생각을 갖고 있다고 ... ...
폭우가 쏟아지면 잎으로 우산을 만들고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있다. 따라서 가치판단 능력의 평가가 필연적으로 수반된다.웩슬러의 지능개념을 사람
이외
의 다른 종(種)에 적용하는 것은 분명 어려운 일이다. 동물들이 자신이 하고 있는 일과 그것을 하는 이유를 깨닫고 있는지 어떤지를 우리가 어떻게 판단할 것인가. 우리는 어떤 가치 시스템으로 동물들의 ... ...
PARTⅢ 노벨상에 근접한 한국인 과학자들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수상자의 30%이상을 차지한 유태인의 교육제도를 본받아 기초부터 착실히 닦아가는 것"
이외
에는 '노벨상의 왕도(王道)'가 없다고 말한다.90년 노벨상 과학분야 수상자-프리드먼·켄들·테일러(물리) 코리(화학) 머리·토머스(의학·생리학)올해의 노벨물리상은 선형가속기 실험을 통해 쿼크(quark)의 ... ...
이태규 박사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이박사는 69년 다시 한번 분자점성학에 대한 기여로 노벨상 물망에 오르게 된다.학문연구
이외
에 미국에서 이박사가 가졌던 관심은 한국인 후학(後學)들을 양성하는 일이었다. 그는 문리대학장시절 눈여겨 보아두었던 제자들을 잇따라 유타대학으로 불러 관심을 갖고 보살펴 주었다. 한상준 장세헌 ... ...
이전
179
180
181
182
183
184
185
186
1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