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구
설비
장비
기계
설치
기기
시스템
d라이브러리
"
장치
"(으)로 총 5,307건 검색되었습니다.
건전지 없이 라디오를 듣는다고? 광석라디오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라디오는 흔한 가전제품이다. 마루의 오디오 시스템에도, 자동차에도 들어 있다. 휴대용 라디오는 1만 원도 안 돼는 가격으로 살 수 있다.모든 라디오는 ... 두르면 쉽게 만들 수 있다.저녁 시간대가 낮보다 더 잘 들린다. 소리가 작더라도 증폭
장치
가 없어 감도가 약하다는 점을 감안하자 ... ...
‘구리실 반도체’ 더 작게, 더 빨리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비메모리소자와 메모리소자로 나뉜다. 비메모리소자는 컴퓨터의 뇌에 해당하는 중앙처리
장치
(CPU)처럼 사칙연산을 하고 데이터를 저장하지 못한다. 반면 메모리소자는 하드디스크나 USB메모리처럼 데이터를 저장하고 지우는 기능을 한다. 메모리소자에 비해 일처리 능력이 빨라야 하는 ... ...
Part 1. 이랬다 저랬다 미스터리 양자월드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들어 있다. 그 안에 그 방사성원소가 붕괴하면 극약이 들어 있는 병이 깨지는
장치
가 있다고 하자. 만약 원자가 중첩상태에 있다면, 원자는 붕괴하지 않거나 붕괴하거나 하는 어정쩡한 상태에 있게 된다. 이럴 경우 고양이는 어떻게 될까. 고양이 역시 동시에 살아있으면서 죽어있는 말도 안 되는 ... ...
금속 몰아내는 고성능 플라스틱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고성능 플라스틱과 같은 화학제품을 제조한다.][요즘 자동차에는 내장재뿐만 아니라 전자
장치
, 호스와 같은 다양한 분야에도 플라스틱을 써서 무게를 줄인다. 자동차에 들어 있는 플라스틱 부품을 나타낸 그림.]늘이고, 구부리고… 내구성 통과해야 연구개발센터에서 생산한 재료로 만든 부품은 ... ...
과학으로 하이킥! 애니메이션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0호
한다.*마커 : 카메라가 사람의 움직임을 인식해 컴퓨터에 저장할 수 있도록 해 주는 표시
장치
. 눈속임으로 더 화려하게!자연 현상을 수학식을 이용해 시뮬레이션으로 표현하는 것은 매우 어렵고 오랜 시간을 필요로 한다. 영화 ‘트랜스포머 2’의 합체 로봇 ‘데버스테이터’가 1초 동안 ... ...
펜보다 키보드
수학동아
l
2011년 10호
것이 높이 조절
장치
다. 키보드 뒷면에는 키보드 윗부분을 들어 올려 기울기를 조절하는
장치
가 있다. 책상과 의자의 높이, 앉은키에 따라 키보드의 기울기를 적당히 조절하면 손목의 피로를 줄일 수 있다. 키보드를 눈높이로 올려서 보면 대부분의 키는 손가락이 쏙 들어가도록 오목하게 생겼다. ... ...
우주에서도 깨끗한 물 마신다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오염됐는지 간단히 검사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발표했다.연구팀이 개발한
장치
는 지름 1cm의 얇은 원판이 들어 있는 플라스틱통. 여기에 물 10ml를 흘려주면 물속에 들어 있는 요오드의 농도에 따라 색깔이 변한다.요오드는 미국 항공우주국(NASA)이 국제우주정거장에 보관하는 물에 미생물이 ... ...
우주에서 온 로보너트2의 편지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그럴 필요가 없거든. 어떻게 보면 지구보다 더 편하게 움직일 수 있지. 로봇은 전기
장치
에서 발생하는 열을 팬을 달아 밖으로 빼내는데, 밀폐된 공간에서는 열의 분산이 중요하기 때문에 발열도 체크해야 해. 또 우주에서는 온도가 태양이 있을 때와 없을 때 매우 다르기 때문에 큰 폭으로 증감하는 ... ...
지능형자동차의 철새 따라잡기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눈으로 앞을 보고 간격을 유지하는 것과 마찬가지다.센서는 앞차의 속도를 감지해 제어
장치
에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명령을 내린다. 앞차와 너무 가까워지면 엔진의 출력을 줄이거나 브레이크를 사용하여 적절한 거리를 유지한다. 앞차가 속도를 높이거나 다른 차선으로 이동하면 다시 ... ...
Part 3. ‘가장 완벽한 이론’을 꿈꾸다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핵자기공명
장치
(NMR)가 있어요. 1960년대까지만 해도 물질의 구조를 연구하는 실험실용
장치
였지요. 그런데 로터버 교수는 이걸 의학용인 MRI로 개조해서 노벨상을 받았어요. 순수과학용 실험이 아니었다면 태어날 수 없었을 겁니다.”베임 교수는 “양자역학의 미래는 나도 예측하기 힘들다”며 “더 ... ...
이전
179
180
181
182
183
184
185
186
1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