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특성
특질
특색
성격
개성
성질
기질
d라이브러리
"
특징
"(으)로 총 4,511건 검색되었습니다.
내 건강은 전자피부가 지킨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7호
장애인용 의료기기나 게임에도 활용될 수 있을 거예요. 근육의 움직임을 구별하는
특징
을 이용하면 장애인이 이동식 휠체어를 쉽게 조작할 수도 있지요. 앞으로 제가 사람들의 건강 지킴이로 활약할 테니 기대해 주세요 ... ...
물고기도 도구를 사용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6호
사용하는 건 인간과 다른 동물을 구별하는 중요한
특징
중 하나예요. 그런데 물고기가 도구를 사용하는 장면이 포착돼 큰 화제가 되고 있어요. 호주 그레이트배리어리프에 사는 검은점박이돔이 조개 껍데기 속에 든 먹이를 먹기 위해 조개를 입에 문 채 바위에 내려치는 행동을 한 거예요. 호주 ... ...
빨간모자도 깜짝! 똑똑한 모자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6호
나는 아름답고 화려한 외모에 어울리는 모자를 쓰기로 유명했지. 화려함이
특징
이었던 로코코 시대에는 이렇게 나처럼 커다랗고 장식이 화려한 모자가 유행이었다구. 머리가 조금 무겁긴 하지만 아름다움을 위해서라면 이 정도는 견뎌야지! 호호~.이럴 땐 이런 모자!지금으로부터 5000년 전에도 ... ...
과학으로 보글보글, 요리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3호
8~10배 정도 더 걸리지만 사각사각한 채소의 맛을 느낄 수 있지요.이렇게 각 식재료의
특징
을 잘 살릴 수 있는 적합한 온도를 찾아내 요리하는 것도 분자 요리법 중 하나예요. 이 때 쓰는 게 실험용 액체 온도 조절장치예요. 온도를 0.1℃ 단위로 세밀하게 조절해 유지시켜 주죠.이 밖에도 주사기나, ... ...
Part 1. 명상의 뇌과학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빠른 주파수를 보이는 감마(γ)파는 깊은 주의집중이 이뤄질 때 또는 자비심을 가질 때
특징
적으로 잘 나타난다.위에서 언급한 뇌파 가운데 특히 명상하는 동안 나타나는 뇌파가 세타파다. 오랫동안 명상을 수행한 사람은 명상을 하지 않는 평소에도 세타파를 쉽게 보여줄 수 있다. 다시 말해 ... ...
돌돌이, 너는 내 운명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귀엽고 친근해 그렇게 부르기로 했다. 하지만 나중에 알고 보니 그 친구는 이렇다 할
특징
이 없어 이름을 짓기 애매한 동물을 다 돌돌이라고 했다. 친구는 이미 돌돌이1, 돌돌이2 같이 돌돌이를 여러 마리 가지고 있었다.돌돌이의 새집 장만기돌돌이를 집으로 데려오자마자 문제를 깨달았다. ... ...
어느 킬러의 인정 투쟁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자기 행동의 옳고 그름을 평가하는 자아기능이 외부에 있다는 뜻이다. 그들의 가장 큰
특징
은 잠자리에 누워서 하루 일과를 비디오처럼 재생한다는 것이다. 특히 그날 만난 사람들에 대해 강박적으로 필름을 돌려보곤 한다. 그 순간 그들의 생각은 오로지 사람들이 날 어떻게 생각했을까, 내가 그 ... ...
풍속화 속 수학 김홍도 vs 신윤복
수학동아
l
2011년 12호
울고 있는 학생보다 오히려 더 크게 그려졌다는 점이다.여기에서 동양화의 또다른
특징
인‘역원근법’을 발견할 수 있다. 단순히 거리와 크기를 비교해 원근법으로 처리하는 것이 아니라, 더 부각시키고 싶은 내용을 더 크게 그리는 것이다. 신윤복 그림 속 수학신윤복은 김홍도와 동시대에 활동한 ... ...
선행학습보단 창의력! 연세대 과학영재교육원
수학동아
l
2011년 12호
제시된 내용의 수준과 범위 안에서 수학 학력의 평가 기준을 제시하는 것이 가장 큰
특징
이다. 과학과 수학을 진심으로 즐겨야 합니다안녕하세요. 연세대 과학영재교육원장 이준복 원장입니다. 저는 수학을 가르치는 교수이기도 합니다.영재원을 준비하는 학생들에게 를 통해 조언을 ... ...
Part 2. 길+개리=원빈?!
수학동아
l
2011년 12호
버리고, 의미 있는 자료만 고르는 일이 중요하다. 이런 일을 하는 과정이 통계다. 얼굴의
특징
은 식을 통해 구한 값을 무수히 많은 점으로 나타낸 다음, 가장 많이 몰려 있는 부분을 선으로 나타낸다. 수학의 상관도를 응용한 것이다. 얼굴인식으로 쌍둥이도 가려낼 수 있을까?얼굴인식 기술은 ... ...
이전
179
180
181
182
183
184
185
186
1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