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동시
같은시기
동기
뉴스
"
같은시간
"(으)로 총 8,601건 검색되었습니다.
코로나로 청소년 SNS 사용 증가...영향 연구는 ‘들쭉날쭉’
동아사이언스
l
2023.02.27
청소년의 인지능력과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각종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위키미디어 제공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대유행으로 청소년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이용 시간이 대폭 늘어났다. 과학자들은 갑작스러운 사회적 변화에 SNS가 청소년기 정신건강과 인지발달 ... ...
[씨즈더퓨쳐] 먹는 남성 피임약 개발 과학자에게 직접 들었다
2023.02.26
인스타그램 @seize.the.future 캡쳐 콘돔을 끼거나 정관 수술을 받거나. 남성이 쓸 수 있는 피임법은 아직 이 두 가지뿐이다. 그런데 최근 한 논문에 새로운 개념의 남성 피임약이 등장했다. 요헨 벅 미국 웨일코넬의과대 교수팀이 발표한 논문이다. 이 약은 성관계 직전 필요할 때 먹는 약으로, 정자를 3 ... ...
[일상 속 뇌과학] 아는 음식 맛 참기 어려운 과학적 이유
2023.02.24
영화 슈퍼 사이즈 미 스틸컷 어떤 음식을 먹느냐에 따라 신체 건강상태가 달라진다는 사실은 널리 잘 알려져 있다. 대중매체에서도 이를 확인한 유명한 사례가 있다. 2004년 발표된 영화 ‘슈퍼사이즈미(Super Size Me)’에서 감독이자 주인공인 모건 스퍼록(Morgan Spurlock)은 본인을 대상으로 한 임상실험 ... ...
'인공태양' 핵융합 발전 12년 뒤 실증로 건설...상용발전소는 2050년대
동아사이언스
l
2023.02.23
한국의 인공태양 KSTAR.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제공 “초전도핵융합연구장치(KSTAR)에서 개발한 기술들은 핵융합 전력생산의 상용화 가능성을 입증할 ‘실증로’에 적용될 겁니다.” 윤시우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KSTAR 연구본부장(핵융합연 부원장)이 22일 대전 유성구 본원에서 높이 9.6m, 지름 9. ... ...
김빛내리, 암 치료 위한 RNA 유전자 치료제 새 가능성 열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2.23
마이크로RNA. 게티이미지뱅크 김빛내리 기초과학연구원(IBS) RNA연구단장(서울대 생명과학부 석좌교수) 연구팀이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리보핵산(RNA)의 작은 조각인 '마이크로RNA(miRNA)'가 만들어지는 원리를 규명하는 데 성공했다. 김 단장 연구팀은 또 RNA를 활용한 유전자 치료제 개발에 중요한 ... ...
작년 합계출산율 0.78명 역대 최저...소아 응급진료센터 늘리는 정부
동아사이언스
l
2023.02.22
22일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이 소아의료체계 개선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보건복지부 제공 한국의 지난해 합계출산율은 0.78명으로 이전해보다 0.03명 줄어 1970년 통계 작성 이래 가장 낮았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꼴찌이자 평균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수준이다. 저출산은 의대 졸 ... ...
[오늘과학] 진동 캡슐이 변비 환자 희소식 될까
동아사이언스
l
2023.02.22
사티시 리오 오거스타 조지아의대 교수가 진동 캡슐을 들고 있다. 오거스타 조지아의대 제공 대장의 일부인 '결장'을 움직이도록 고안된 진동 캡슐이 변비 환자에게 희소식이 될 수 있을까. 사티시 라오 미국 오거스타 조지아의대 소화기내과 교수 연구팀은 약 300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만 ... ...
어린이 시기, 여아 뇌가 더 성숙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2.22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9세부터 11세 어린이의 뇌 발달 양상을 분석한 결과 이 시기에는 남자아이보다 여자아이의 두뇌가 더 성숙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다도 토마시 미국 국립알코올남용 및 알코올중독연구소 연구원 연구팀은 이같은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미국의사협회지(JAMA) 네트워크 오 ... ...
벌거숭이두더지쥐가 번식력을 유지하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3.02.21
벌거숭이두더지쥐. 미국 피츠버그대 제공 벌거숭이두더지쥐(Heterocephalus glaber)는 가장 이상한 포유류로 꼽힌다. 설치류 중에서 가장 오래 살고 암에 걸리지 않으며 오랫동안 번식을 한다. 포유류지만 살아가는 방식은 개미와 비슷하다. 많게는 300마리가 무리를 이뤄 같은 굴에서 함께 살아가는데 한 ... ...
[오늘과학] 영화 '워낭소리' 감동...과학적 근거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2.21
송아지. 게티이미지뱅크 빗질과 같은 인간의 손길이 송아지의 정서를 안정시킨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소는 송아지 때부터 인간과의 교류에 영향을 받는다는 것이다. 에밀리 쿠숀 미국 플로리다대 동물과학과 수석연구원팀은 이 같은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제이디에스커뮤니케이션즈’ ... ...
이전
179
180
181
182
183
184
185
186
1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