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크기
범위
스케일
사이즈
치수
중소규모
중소
d라이브러리
"
규모
"(으)로 총 3,739건 검색되었습니다.
고성에서 날아온 '백악기 공원' 초대장
과학동아
l
2006년 05호
높은 강도를 가지며 빨리 굳는다. 인조암벽의 넓이는 약 2000평으로 세계에서 가장 큰
규모
로 영국 국영방송인 BBC 월드뉴스에 소개됐다.엑스포조직위원장인 김학렬 고성군수는 “우리나라 최초의 자연사 엑스포로 초등학교 4학년 교과서에 고성 발자국에 대한 내용이 실린 만큼 어린이 눈높이에서 ... ...
한 번 영재는 영원한 영재?
과학동아
l
2006년 04호
“유아 영재는 여전히 발달단계에 있으므로 어린이마다 차이가 많이 난다. 따라서 소
규모
단위로 어린이들의 특성을 감안한 맞춤형 교육을 실시할 것”을 제안했다. 이에 따라 영재교육을 전문적으로 담당할 컨설턴트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오는 4월 중순경 ‘과학 신동 프로그램’의 바람직한 ... ...
IBM 해결사 출두요~
과학동아
l
2006년 04호
지난 3년 동안 연구소의 과학자들이 비즈니스 컨설팅에 참여하면서 벌어들인 돈만 10억원
규모
에 이른다. 여기서 핵심적인 역학을 한 것은 그동안 IBM 왓슨연구소가 기초연구를 통해 축적해 놓은 기술이었다.이런 노력 덕분에 현재 IBM은 ‘둔한 공룡’이라는 오명을 벗고 IT 업계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 ...
세계 과학도를 품에 안은 중립국 스위스
과학동아
l
2006년 04호
있다. 이곳의 여러 연구 프로젝트 중 한국인 과학자가 실제로 참여하는 것은 세계 최대
규모
의 고에너지 입자검출기를 만드는 CMS 뿐이다. 그 주인공은 노상률 박사와 김진철 박사. 두 박사는 “한·스위스 협력 이후 과학자들의 교류가 더 활발해지길 기대한다”고 입을 모았다.스위스의 수도 ... ...
화성 궤도탐사선(MRO) 화성 궤도 진입 성공
과학동아
l
2006년 04호
구멍 뚫린 다른 원반을 겹쳐 놓은 것인데, 타원형의 구멍은 어느 시각의 가시천구의
규모
로 조절되어 있으므로 주변의 숫자에 맞추어 밑의 원반을 회전시키면 임의의 계절, 임의의 시각에 나타나는 천구의 별자리 배치를 알 수 있다fcc→bcc(bct) 마텐자이트 변태의 원자 이동 과정을 기술하는 모델의 ... ...
신출귀몰 조류 인플루엔자(AI)
과학동아
l
2006년 04호
그 전형적인 예이다북아메리카 서안(西岸)과 거의 평행하게 북서~남동쪽으로 뻗은 대
규모
의 단층 수평으로 밀린 단층 중에서 대표적인 것이며 길이는 1,000km 이상에 달하고 유사 이래 몇 번 이동하고 있다캘리포니아의 해안산맥을 비스듬히 가로지르는 이 단층은 1857년에 발생한 지진으로 ... ...
기획2. 우주날씨예보가 나온다
과학동아
l
2006년 04호
도중에 일어나 일본에서 우주날씨의 중요성을 알리는 계기가 됐다. 1997년 1월 태양에서 대
규모
로 쏟아져 나온 물질 때문에 미국 AT&T사의 통신위성 텔스타 401호는 회로가 단절돼 수명이 9년이나 단축됐다. 이로 인해 2억달러의 손실이 발생했다.2003년 10월 극심한 태양활동과 우주환경의 변화는 ... ...
우리가 몰랐던 돈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3호
많은 젖소들을 어떻게 집까지 데리고 간담〜. 소 1000마리는 상상을 초월할 정도로 엄청난
규모
였던 것이다.날이 어둑어둑해질 무렵, 천신만고 끝에 젖소들을 끌고 집으로 돌아온 공수표 씨. 일일이 젖소의 수를 세어 보니 벌써 수백 마리가 없어진 상태였다. 집으로 오는 도중 무리에서 떨어져 ... ...
파푸아에서 '에덴' 발견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즉 아보가드로수(數)를 로슈미트수라고 부른 때도 있었다 안정한 회전 유체 속에서의 대
규모
파동을 수반한 회전 디시팬의 회전수조(回轉水槽) 실험에서 가열한 측벽과 냉각한 중심부 사이의 온도차와 회전 각속도가 어느 임계값을 넘으면,시계방향과 그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소용돌이가 생기고 ... ...
기획3. 산성비 맞으면 대머리 된다?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마신다. 독일 등 유럽에서도 주거단지에 빗물저장시설을 두고 있다.우리나라에도 최근 대
규모
빗물저장시설이 들어섰다. 서울대 지구환경시스템공학부 한무영 교수팀은 공대 행정동 지하에 320t짜리 빗물저장조를 설치해 필터로 거른 뒤 빗물을 모았다가 이 건물의 화장실이나 조경용수로 공급할 ... ...
이전
180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