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마리오
네트
넷트
오네트
머릿수
수
mari
d라이브러리
"
마리
"(으)로 총 2,737건 검색되었습니다.
'윙' 날개소리는 모기의 구애법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커런트 바이올로지’ 7월 11일자에 발표했다.깁슨 박사는 수컷과 암컷 모기 한
마리
씩을 가는 철사로 각각 묶어 이들이 날개를 움직여 내는 소리가 짝짓기와 어떤 관계가 있는지 연구했다. 그 결과 암컷과 수컷 모기는 서로 날개소리를 맞춰 짝을 찾는다는 사실이 밝혀졌다.일반적으로 수컷 모기는 ... ...
스너피 여자친구 보나, 피스 탄생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개 대량생산 가능성그런데 다양한 실험을 하려면 같은 질병을 갖고 태어난 개가 여러
마리
있어야 한다. 유전자를 조작한 개를 많이 복제하면 될 것이다. 과학자들이 개 복제를 계속 시도하는 이유다.하지만 필요한 수만큼 개를 일일이 복제하기란 쉽지 않다. 시간도 오래 걸릴 뿐 아니라 비용도 많이 ... ...
꼬마잠자리의 슬픈 비행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볼 수는 없다.잠자리는 인간이 그렇게도 싫어하는 모기를 좋아한다. 하루에도 수백
마리
의 모기와 장구벌레를 잡아먹으니 자연이 피워놓은 모기향이다. 잠자리가 사라지면 자연 모기향은 꺼진다. 모기들은 잠자리가 사라지기를 기다렸다가 인간의 피를 찾아 습격해 올 것이다.꼬마잠자리들은 ... ...
우리가 몰랐던 나무의 모든것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7호
뚱뚱해 보였는지 이탈리아 사람들이 이 나무에 붙인 이름은‘백
마리
말의 나무’. 백
마리
의 말들이 모여 있는 광경만큼 거대해 보인 것이다.세계에서 가장 큰 열매를 맺는 나무가장 큰 과일 하면 무엇이 떠오를까? 아마 어른 머리보다 큰 수박일 것이다. 하지만 수박은 나무가 아니라 풀이 맺은 ... ...
붉은 카펫 위로 걸으세요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스팸처럼 캔 안에 밀봉된 고기 냄새까지 맡고 잡아낸다”고 설명한다.현재 26
마리
의 탐지견이 검역장을 누비고 있다. 1시간 쯤 일을 시킨 뒤엔 후각의 피로를 덜어주기 위해 2~3시간 정도 휴식시간을 준다. 구제역 청정국, 비결은 검역검역원 안에는 압수된 육류를 보관하는 냉동 창고가 있다. 안을 ... ...
유전자 없이 형질 유전된다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정상 유전자만 물려받은 생쥐들은 단색 꼬리를 가질 것이란 예상을 뒤엎고 27
마리
중 24
마리
가 얼룩무늬 꼬리를 갖고 태어났다.연구팀은 돌연변이 유전자가 얼룩무늬 꼬리를 만드는 유전 정보를 가진 mRNA를 대량으로 생산한다는 점을 발견했다. mRNA는 DNA의 유전정보를 전달하는 전령 역할을 한다. ... ...
한국 최초의 우주실험은?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아이디어였다.이 제안 덕분에 1973년 7월 ‘아니타’와 ‘아라베라’라는 이름의 거미 2
마리
가 처음 우주로 향했다. 우주정거장 ‘스카이랩’에서 거미들은 실패를 거듭하다가 마침내 훌륭한 거미집을 만드는데 성공했다. 이 실험은 무중력 환경이 생체의 중앙신경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게 ... ...
용암이 솟아 만든 용두암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에서 서쪽으로 200m 떨어진 바닷가에는 고개를 치켜들고 막 솟아오를 듯이 꿈틀대는 용 한
마리
가 있다.옥구슬을 훔쳐 달아나던 용이 한라산 신령이 쏜 화살에 쓰러졌다. 땅으로 떨어진 용은 몸만 바닷속에 잠긴 채 머리는 하늘을 향해 굳었다는데 그 용머리가 지금의 용두암(龍頭岩)이다. 용머리를 ... ...
사실이야? 진짜야?!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7호
한 제인 구달 박사님은 재미있는 실험을 했어요. 친구들과 항상 어울려 다니는 침팬지 한
마리
를 따로 불러서 한 번에 다 먹을 수 없는 바나나를 주었어요. 그러자 침팬지는 바나나를 자기만 아는 곳에 몰래 숨겨 놓고 혼자만 조금씩 꺼내 먹었답니다. 그러나 곧 친구 침팬지들에게 들통이 났고, ... ...
잠자리도 철새처럼 이동한다
과학동아
l
2006년 06호
연구결과가 나왔다.미국 프린스턴대 마틴 위켈스키 교수팀은 푸른무늬왕잠자리 14
마리
의 날개에 작은 전파송신기를 부착해 전파를 추적한 결과 잠자리도 철새처럼 정확한 경로를 따라 이동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이 결과는 영국왕립학회의 ‘바이올로지 레터스’ 5월 11일자에 발표됐다.연구팀은 ... ...
이전
180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