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문화과학"(으)로 총 1,892건 검색되었습니다.
- 두루봉 구석기 유적에서 세계에서 가장 오래 된 30만년전의 나비 비늘 발견과학동아 l1987년 04호
- 두루봉유적의 나비비늘은 세계에서 두번째로 발견된 옛날나비이며, 세계 최고(最古)의 것이다.30만년전의 어느 따뜻한 봄날, 오늘날의 충청북도 내륙지역의 산중턱 숲속에서 팔랑거리던 나비를 다시 볼 수 있다면 얼마나 흥미진진한 일일까. 요즘의 나비와 생김새가 얼마나 다를까. 또 어떤 빛깔을 ... ...
- 한국정보산업협회 회장 이용태 박사과학동아 l1987년 04호
- 올해 우리나라는 '컴퓨터 성년식'을 거행해야 할 때이다. 지금부터 20년 전인 1967년 경제기획원과 한국생산성본부가 IBM1401과 FACOM202를 들여와 컴퓨터 시대의 서막을 열었다.20세의 나이면 스스로 판단하여 선택하고 자신의 행동에 책임을 져야한다. 과연 우리나라 정보산업은 '성년'이라는 표현을 써 ... ...
- 가정자동화(HA) 시스팀 「생활혁명」이 이룩된다과학동아 l1987년 03호
- OA, FA에 이어 HA시대가 열리고 있다.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가정자동화를 개별 가전제품의 자동화 차원을 넘어서 종합시스팀화 하는데 성공해, 가정생활에서도 과학기술혁명의 혜택을 누리게 되었다.20세기초 미국의 자동차왕 '헨리 포드'가 컨베이어시스팀을 자동차 조립공장에 도입했을 때, 사람들 ... ...
- 한국인의 근무시간 세계최고, 능률은 몇째?과학동아 l1987년 03호
- 문제는 노동시간을 가능한 한 단축시키되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적정선을 찾아내는 일이다.샐러리맨 R씨의 하루일과대기업체인 A회사에 근무하는 R씨의 출근시간은 오전 8시 30분. 변두리 주택가에서 지하철을 이용해 서울중심가의 회사까지 오는데 1시간 남짓 걸리므로 늦어도 7시반에는 집을 나서 ... ...
- "조국을 위해 돌아와 주세요" 「몬테디손」사, 미국과학자들에 호소과학동아 l1987년 03호
- 가난과 사회적혼란을 피해 신대륙의 땅을 밟은 이탈리아이민의 얘기는 TV드라머나 영화로 많이 소개되었다. 미국에서 마피아단을 조직하는등 이탈리아이민의 부정적인 활동도 주목거리였지만 훌륭한 과학·기술, 문화적업적을 쌓은 이탈리아인도 상당수 있다.최근 몇년간 첨단과학에 비상한 관심 ... ...
- 지상최대의 건축물 만리장성과학동아 l1987년 03호
- 동쪽은 요동반도에서 서쪽은 기련산맥 기슭에까지 장장 5천 km 평원과 산맥에 끝없이 이어진 성벽은 고대중국인이 낳은 위대한 기적이다.중국 민족의 상징 중국의 만리장성…그것은 과연 실제로 그렇게 긴것일까 하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을 것이다. 사실 장성의 길이를 정확하게 잰다는 것은 어 ... ...
- 생태계, 소리없이 운다과학동아 l1987년 03호
- 대기오염이 빚는 산성화 현상은 호수 숲 강 토양을 죽이고 도시를 침식하고 있다.울창한 침엽수림에 둘러싸인 스웨덴의 어느 아름다운 호수. 거울처럼 맑은 그 호수엔 그러나 물고기가 한 마리도 살고 있지 않다. 심각한 산성화의 피해를 입은 호수 바닥엔 조화(弔花)처럼 흰 이끼만이 번창하고 있 ... ...
- 국제 저작권 가입을 앞두고 과학출판의 제도적 지원 시급하다과학동아 l1987년 02호
- 과학과 기술이 우리에 비해 앞선 나라가 그들이 투자한 연구비나 개발비를 뽑기 위해 최선을 다하는것을 나무랄 수만은 없다. 그러나 균형잡힌 지구촌의 경제 발전과 국제적 안정을 위해 과학 정보는 모든 사람에게 공유되어야 한다. 지적 소유권의 범위는 매우 넓지만, 오늘날 우리에게 닥친 과학 ... ...
- 일본 첨단과학 견학기 놀라움과 새로운 각오의 일주일과학동아 l1987년 02호
- 지난해 12월 23일 오전 10시에 우리 견학단 6명(인솔자 한 분, 학생5명)은 1주일 예정으로 일본의 첨단과학기술을 견학키 위해 김포공항을 떠났다. 학생시절에 해외여행과 견학을 할수 있다는 사실에 대해 이런 기회를 마련해준 초청자등 여러분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 기내에서 창밖으로 내려다 ... ...
- 신소재의 과학 꿈의 재료를 설계한다과학동아 l1987년 02호
- 소재에 관한 이론의 심화와 분석기술의 발달은 원하는 성질의 신소재 제작을 가능케 했다.기원전 8천년경, 인류는 한 덩어리의 점토를 항아리 모양으로 만들어 불에 구워내면, 물도 담을수 있고 또 불속에 넣어도 변형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아냈다. 부드러운 진흙이 돌처럼 단단한 재료로 변한 것이 ... ...
이전18018118218318418518618718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