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발포
사격
방출
방사
저격
출산
분만
d라이브러리
"
발사
"(으)로 총 2,131건 검색되었습니다.
3. 식물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이러한 문제들이 중력이 없음으로 인해 생기는 직접적인 효과일 수도 있지만 우주선이
발사
될 때 받는 스트레스, 온도의 변화, 배양기 내의 물 산소 그리고 이산화탄소의 불균형, 우주선 방사와 같은 특정 우주비행 충격과 연관돼 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많은 식물들은 환경변화에 민감하나 ... ...
1. 역사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세달 앞선다는 유머스런 내용이다.1985년 옛소련은 원숭이 2마리를 코스모스 1667호에 실어
발사
한 뒤 우주에서 각종 실험을 실시했다. 우주개발 초기에 옛소련에서 개를 주로 사용한 것은 원숭이나 침팬지가 우주실험에 더 좋은 줄 알고 있었지만(사람과 비슷하니까?) 사실 추운 소련 땅에서 원숭이를 ... ...
21세기를 체험하며 배운다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세기, 방향 등을 자유자재로 조정할 수 있다.또하나 탑 자체를 인공위성이 로켓에 실려
발사
되는 모습으로 연출시키기 위해 전망대 하단부에 다운 라이트(down light)를 설치하고 안개연기를 뿜어낼 예정이나, 풍속이 워낙 강하면 효과가 반감되기 때문에 설치를 고려 중이다.한빛탑은 92년 말 현재 80% ... ...
2 호르몬에서 항암제까지 얻는다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것. 따라서 단클론항체는 암의 진단시약으로 활용된다. 또한 단클론항체라는 미사일을
발사
할 때 항암제를 함께 실어서 보내면 암세포에 치명타를 가할 수 있다. 미국의 조마사(社)는 단클론항체에 항암제를 태운 이무노특신이라는 약을 개발했는데, 이 약은 백혈병환자가 골수이식을 받을 때 ... ...
휴스턴우주센터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통해 볼 수 있다. 존슨우주센터뿐만 아니라 플로리다 반도에 위치한 NASA의 우주선
발사
장소인 케네디우주센터와도 영상통신이 가능하다.가장 인기를 끌고 있는 곳은 역시 '우주체험실'. 이곳에서는 컴퓨터시뮬레이션을 통해 우주선을 조종해보기도 하며, 아이들이나 어른 모두 우주헬멧과 우주복을 ... ...
빅뱅이론 총정리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조건이 달려 있다. 이러한 전제 조건은 매우 인위적인 것이어서 이는 마치 인쇄소의 폭
발사
고로 인해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이 우연히 만들어졌다고 할만큼 비자연스러운 것이다.이 우주상수 문제의 근본 뿌리는 현대 물리학 제반 분야에 깊숙이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래서 일부 학자들은 이 문제가 ... ...
과학동아가 선정한 '92 국내외 과학기술계 10대뉴스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1호보다 부분적으로 기능을 향상시킨 우리별2호를 국내에서 제작해 내년 상반기 중으로
발사
할 예정이다. 제작은 인공위성연구센터와 항공우주연구소를 중심으로 학계와 업계가 공동으로 진행중이다.우리별1호는 우리 국적의 인공위성이라는 점을 효과적으로 홍보함으로써 그동안 불모지를 면치 ... ...
21세기초 착륙대비 화성지도를 완성하라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바이킹'에 이어 17년만에 재재된 미국의 화성탐사 계획. 21세기 인간의 화성 착륙을 실현하기 위한 전초전이 시작됐다."미국은 17년만에 붉은 행성, 화성으로 돌 ... 1994년에 마르스94를 쏘아 화성표면과 대기를 탐사할 계획이며 96년에는 일본도 플래닛B를
발사
해 화성탐사에 나설 예정이다 ... ...
3 우주 이용한 첨단산업에 앞장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발사
계획에 따라 한치의 오차도 없이 거의 매달 1개씩 아리안 로켓을 조립하여
발사
한다.이러한 과정은 단순히 로켓의 제작 및 조립기술이라기 보다 작은 부품의 설계에서부터 전체 로켓의 완성까지 모든 것이 완벽하게 서로 일치해야만 하는 유럽 우주기술의 정교함을 보여주는 것이다.아리안 ... ...
1 '85년 위성
발사
상업화 선언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높이려 하고 있다.중국과학원 우주연구소의 왕덕유는 중국이 언제쯤 유인우주선을
발사
할 수 있는가라는 질문에 주은래 수상의 말을 인용하면서 "우리는 현재 필요한 모든 기술과 능력을 가졌다. 그러나 우주기술의 우선 순위를 아직은 지구 안에 두고 싶다. 지구 밖의 일들은 다음 세대까지 ... ...
이전
180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