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류
날짐승
새짐승
겨를
틈
짬
사이
d라이브러리
"
새
"(으)로 총 3,669건 검색되었습니다.
광통신 구현한 광섬유 디카의 핵심 CCD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감싼 구조다. 코어를 통해 전송되는 빛은 전반사 때문에 클래딩 부분으로
새
나가지 않는다.현대 광섬유 기술은 빛을 한 번에 100km까지도 전송할 수 있을 만큼 발전했지만 가오 박사가 처음 광통신을 연구하던 1957년에는 빛 신호가 광섬유를 타고 20m만 가도 처음 신호의 1%만 남아 있을 정도로 전송 ... ...
1. 신기한 논리의 세계
수학동아
l
2009년 11호
‘크레타인의 역설’로 알려져 있다.1913년 영국의 수학자 주르당은 ‘카드 역설’을
새
롭게 선보였다. 그는 아무것도 적히지 않은 카드 한 장을 꺼내 앞면에 “이 카드의 뒷면에 적힌 문장은 진실”이라고 썼다. 그리고는 카드를 뒤집어 “이 카드의 다른 면에 적힌 문장은 거짓”이라고 썼다. ... ...
미국의 퍼즐 고수와 대결하다!
수학동아
l
2009년 11호
친절은 아무것도 아니랍니다.”불쑥 끼어든 허풍이 입으로는 거절했지만 손으로는 어느
새
표를 받아들고 있다.“전 가족과 다른 약속이 있어 가지 못합니다. 그러니 세 분이 다녀오세요.” “그럼 감사히 받겠습니다.”두 팔을 벌리고 비행기 흉내를 내는 도형을 사이에 두고 허풍과 디즈니가 ... ...
지구에서 달까지
수학동아
l
2009년 11호
어려움이 있었다. 그렇게 큰 거울을 만드는 것은 아주 정밀한 작업이기 때문이다.(중략)
새
로 만들 망원경의 길이는 85미터가 되어야 하고 반사경의 지름은 5미터에 이르러야 했다.대포클럽 회원들은 사람을 태운 포탄이 무사히 달에 도착했는지 확인하기 위해 거대한 망원경을 만들려고 합니다. 아주 ... ...
달에 돌진한 LCROSS, 물 발견했나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과학계는 이 같은 실용적인 질문에 대한 답과 함께 그 물이 어디서 왔는지 밝혀야 할
새
로운 임무까지 띠게 될 것으로 보인다. 2005년엔 템펠1 혜성에‘쾅’ 천체에 충돌체를 투하한 실험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2001년 소행성 ‘에로스’를 향해 내달렸던 니어-슈메이커 호나 1999년 달로 돌진한 ... ...
파이프오르간에서 피아노까지 건반악기의 비밀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이유는 현을 이용하는 방식이 다르기 때문이다. 하프시코드 건반 끝에는 가죽이나
새
깃대로 만든 도구(플렉트럼)가 있어 현을 튕긴다. 그래서 하프시코드 소리는 기타에서 나는 고음 같다.클라비코드와 하프시코드는 200년 가까이 사랑을 받았지만 1709년 이탈리아의 파르톨로메오 크리스토포리가 ... ...
지구처럼 생명체가 살 수 있는 외계행성이 있나요?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있다. 그런데 최근 한 교수팀과 천문연은 우리나라가 주도적으로 연구할 수 있는
새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370억 원을 들여 남반구의 세 곳, 즉 칠레와 뉴질랜드, 남아프리카공화국에 미시중력렌즈 현상을 관측할 수 있는 광시야 망원경을 설치하기로 한 것. 여기에는 무려 4억 개의 화소로 이뤄진 ... ...
특별인터뷰 전국 여중생 수학탐구 발표대회 수상자
수학동아
l
2009년 11호
물론 사고력과 창의력을 키워 주기도 하는 활동이에요. 또한 정보 통신이 발달한 현대
새
회에서는 보안을 위한 암호의 중요성도 점점 커지고 있어요. 여러분 중에도 분명히 풀고 풀리는 암호와의 두뇌 싸움에 도전장을 내밀 친구가 있겠죠? 미래에 우리의 보안을 책임질 암호 전문가가 수학동아 ... ...
옮기고~ 뒤집고~ 돌리고~ 도형을 춤추게 하라!
수학동아
l
2009년 11호
자,
새
로 나온 수학통조림 ‘도형의 이동’을 소개할게요.도형의 이동이라면 생각만 해도 머리가 지끈거리고 속이 울렁거린다고요? 그럼, 지금 ... 도형과 함수도 서로 연결된다는 것을 알아두자. 마찬가지로 고등학교 2학년에서는 포물선을
새
로 배우고 그 도형의 평행이동도 함께 배운다 ... ...
창의력은 융합에서 나온다!
수학동아
l
2009년 11호
조각가 도나텔로, 조각가이자 화가인 미켈란젤로, 화가이자 기술자인 다 빈치, 과학자 갈릴레이. 이들의 공통점을 찾는다면 무엇이 있을까? 먼저 모두 뛰어난 창의력을 발휘하여 과학이나 ... 빛나는 아이디어로 21세기의 리더가 되고 싶다면 ‘융합’이라는 단어를 머리에
새
겨 보자 ... ...
이전
180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