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구실
실습실
연구소
시험소
시험실
시험장
실험장
d라이브러리
"
실험실
"(으)로 총 2,125건 검색되었습니다.
2 침술로 암치료까지 한다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제약기계(extract workshop, pill workshop, injection workshop)를 갖춘 4개 생산실과 1개의 종합
실험실
이 있어서 엑스과립 알약 주사제 등을 생산하고 있다. 특히 한약주사제는 근육주사 링게르대용 혈관 주사 내복까지 한다.또 북경 중의학원에서는 기공(氣攻) 진동파의 방사에 의한 기혈활법에 대한 연구가 ... ...
인플레이션이란?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물론 1백억광년 크기의 우주에 한개밖에 없는 자기 단극자를 지금 지구상의 조그만
실험실
에서 포착할 확률은 거의 0에 가깝다. 이것이 '사라진' 자기 단극자들의 행방에 대한 인플레이션 이론의 설명이다.반지름 1백억광년 크기의 가속기이상 우리는 인플레이션 이론의 간략한 역사와 내용을 두루 ... ...
기막힌 풀러렌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헤리 크로토는 거대한 탄소별들을 만드는 것처럼 보이는 탄소원자고리들의 구성방법을
실험실
에서 재생하고 싶었다. 레이저 광선으로 흑연을 쏘았을 때 크고 안정된 탄소분자들이 만들어지는 것이 발견됐는데 이들은 과거에 알려진 그 어떠한 탄소유형과도 다른 것이었다.이는 탄소60이라 ... ...
지의류 생태계의 수수께끼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8년 동안 진공 속에서 살아 있었으며, 액체공기 속에서도 2주간이나 견디었다.베크렐의
실험실
의 지의류는 그들이 자연계에서 직면하는 추위보다도 좀더 가혹한 극단의 추위에서도 살아남았다. 그들이 오래 사는 것과 오염과는 별개의 문제다 ... ...
별은 어떻게 탄생하나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제주시에서 발로 찬 세발 자전거가 한라산을 넘어갈 확률만큼이나 작은 것이지만 α선은
실험실
에서 엄연히 관측되고 있다.얘기가 잠시 빗나갔으나 다시 대부분 수소 원자로 구성된 우주로 돌아오자. 1천만℃ 이상의 온도에 육박하면 수소 원자들은 결국 양성자 2개와 중성자 2개로 구성된 헬륨 ... ...
4 은하 관측법 달 표면에 천문대를 세워라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이를 은하단이라고 한다. 우리은하에서 가장 가까운 은하단으로 외부은하 연구에 중요한
실험실
역할을 하는 처녀자리의 은하단(Virgo Cluster)의 거리는 약 4천만 광년이다. 파장에 따른 관측이렇게 멀리 떨어져 있는 희미한 외부은하를 정밀하게 관측하기 위해서는 감도가 대단히 뛰어난 관측장비가 ... ...
인류의 미래 형상화한 NASA 우주개발 캘린더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지구에 충돌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해 지금도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갖고 연구중이다.5월/
실험실
달은 인류의 화성탐사선을 실험해볼 수 있는 최고의
실험실
. 구조실험에서부터 작동실험에 이르기까지 모든 성능테스트가 달표면에서 이루어진다.6월/경계새로운 지식을 얻기 위한 우주관측은 ... ...
2 흑연 다이아몬드에 이은 제3의 화합물 ${C}_{60}$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buckminster fullerene)임이 증명했다. 그후 그들이 제안한 방법을 이용, 전세계의 많은
실험실
에서 각자의 실험에 사용할 만큼의 풀러렌을 얻을 수 있게 되었다. 벤젠의 발견과 견줄만 해새로운 발견된 ${C}_{60}$은 라이스대학의 스몰리교수 연구진에 의해 벅민스터플러렌이라 명명됐다. 이 이름은 ... ...
퀴즈와 팀 경주로 학습의욕 높인다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맞춘 학생들에게 간단한 상품을 주도록 하면 금상첨화일 것이다.다른 한가지 방법은
실험실
상황하에서 활동할 수 있는 방법인데 학급을 몇 개의 실험팀으로 나누어 특정의 과제를 팀단위로 협동하여 해결하도록 하는 팀대항 경주(Team Race)활동기회를 부여하는 것이다(예2). 즉, 같은 조건하에서 ... ...
한반도의 철기시대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마찬가지. 다만 한국과학기술원(KIST) 최주 박사팀이 유일하게 이 문제에 관심을 갖고 KIST
실험실
한 켠에 약식으로 제철로를 복원해 실험을 하기도 했으나 만족할만 결과는 얻지 못했다. 달천광산에서 가져온 60% 함유 철광석 50kg을 써서 철 2.8kg밖에 얻지 못했다. 최박사 팀은 앞으로 계속해 ... ...
이전
180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