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약"(으)로 총 10,715건 검색되었습니다.
- 2014년 에볼라바이러스┃피 토하며 죽게 만드는 치명적 바이러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등으로 감염되며, 감염 시 사망에 이를 만큼 치명적이다. 에볼라바이러스 백신 개발은 약 20년 전부터 진행됐고, 첫 백신은 2019년 11월 13일 승인된 ‘어베보(Ervebo)’다 ... ...
- 코로나19 팩트체크┃사스 코로나바이러스-2의 변종 출현했나?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넥스트스트레인(Nextstrain)’은 전 세계에서 공유된 사스코로나바이러스-2의 유전체 약 5000건을 분석했다. 결과적으로 사스코로나바이러스-2의 변이는 10개의 계통군(A1a, A2, A2a, A3, A6, A7, B, B1, B2, B4)으로 나뉜다. A계열은 주로 유럽에서, B계열은 아시아에서 온 계통이다. 그러나 현재까지 분석에 ...
- 바이러스는 생물학 무기가 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바이러스 무기 연구가 진행되고 있을 가능성은 얼마든지 있다. 유전공학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기존에 알려진 것보다 훨씬 치명적이고 전파율도 높은 신종 바이러스가 개발되지 않으리란 보장도 없는 셈이다 ... ...
- STEP ① 숙주세포 탐색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멕시코자유꼬리박쥐(Tadarida Brasiliensis)의 경우 가로, 세로, 높이가 각각 30cm인 작은 공간에 약 300마리가 모여 잠을 잔다. 숙주가 엄청난 밀도로 모여 사는 셈이다. 이는 바이러스에게는 한 번에 많은 숙주를 공략할 수 있는 매우 유리한 환경이다. 게다가 박쥐는 다른 동물들에게는 치명적인 병원성을 ... ...
- 자연살해세포...침입 즉시 공격, 진정한 킬러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이동하도록 유도하는 신호를 내보내기도 한다. 자연살해세포는 성인 기준 체내에 약 1억 개가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자연살해세포는 감염 후 수일 내로 작용하는데, 그 기능상의 활성도는 20세를 전후로 최고조에 이르고, 이후 점차 떨어져 60세에는 절반으로, 80세에는 3분의 1 수준이 된다 ... ...
- 1996년 면역세포가 ‘남’을 구분하는 원리를 밝히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한창이던 1941년, 영국 옥스퍼드대 생물학과 강사였던 피터 브라이언 메더워의 집에서 약 180m 떨어진 곳에 영국 비행기 한 대가 추락했다. 조종사는 간신히 목숨을 건졌지만, 전신의 60%에 3도 화상을 입었다. 메더워는 그를 돕고 싶었다. 유일한 해결책은 피부 이식이었다. 처음에는 정상 피부를 당겨 ... ...
- 성층권에 드론 날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7호
- Q EAV-3는 어떻게 제트기류를 통과하나요?여름에 비행하더라도, 태양광 드론은 힘이 약해서 제트기류를 통과하는 게 어려워요. 그래서 제트기류를 타고 천천히 떠오르는 방식을 사용해요. 예를 들어서 바람이 드론의 힘(시속 50km)보다 세게 불면 지상에서 봤을 때 드론이 뒤로 밀리는 것처럼 ... ...
- [통합과학 교과서] 정전기를 피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다시 쓰려고 삶거나 드라이어로 가열하면 안 돼요. 필터의 소재인 고분자 수지가 열에 약하기 때문이지요. 또, 정전기는 물에 닿았을 때 쉽게 사라져요. 여러분이 습한 여름엔 파밧! 하고 튀는 방전 현상을 잘 겪지 않는 것과 같은 원리지요. 그래서 정전기 필터를 깨끗이 쓰려고 빨아 쓰면 효과가 ... ...
- 좋은 바이러스도 있을까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벡터를 사용한 선천성 면역결핍증 치료제인 ‘스트림벨리스’는 2016년 유럽의약품청(EMA)의 승인을 받아 판매되기 시작했으며, 아데노연관바이러스 벡터를 이용한 희귀 유전성 망막질환 치료제 ‘럭스터나’는 2017년에 미국 FDA, 2018년에는 EMA의 승인을 받아 판매 중이다.의학기술의 발전에 따라 ... ...
- 무조건 막는다, 면역세포의 방어 전략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일으킨다. 이때는 B림프구가 작용하는 항체 매개 면역반응까지 작동해야 한다. 그런데 만약 우리 몸의 면역시스템이 바이러스 C와 만난 게 처음이라면, B림프구가 이를 무찌를 항체를 생산하기까지 최소 일주일 안팎의 시간이 필요하다. 성인의 경우 골수에서 태어난 B림프구 (사람의 경우 생후 8~ ... ...
이전18018118218318418518618718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