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험실
사무실
서재
lab
연구소
사무소
영업소
d라이브러리
"
연구실
"(으)로 총 2,011건 검색되었습니다.
2 초고속 병렬처리에 적합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홀로그래피와 레이저가 발명된 이후 과학자들은 빛을 통해 정보를 처리하는 광컴퓨터의 개발에 관심을 기울여왔다.인간의 눈으로 감지할 수 있는 빛을 가시광선(보라색에서 빨간색까지)이라고 하는데, 빛에는 이외에도 가시광선보다 파장이 짧은 자외선과 파장이 더 긴 적외선이 있다. 인간은 태 ... ...
PARTⅢ 레이저의 응용 산업 전분야에서 종횡무진 활약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산업 : 하이테크상품의 꽃재료가공레이저를 이용하여 금속 비금속 세라믹 보석 유리 섬유 플라스틱 등 재료를 절단하거나 구멍을 뚫는 작업을 말한다. 레이저를 이용하면 종전에는 불가능했던 금속의 용접도 가능하다.레이저가공의 특징은 가공속도가 빠르며 가공된 재료가 기계적 열적 변형이 거 ... ...
PARTⅣ 국내연구현황 테라와트급 고출력레이저에 도전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연구원창업제도 시범케이스'가 된 원다(元多)레이저의 원종욱씨(42). 표준연구소 레이저
연구실
장이던 그는 지난해 8월 연구소를 그만두고 기업을 설립, 직접 레이저사업에 뛰어들었다. "대기업들은 의사 결정과정이 너무 느리고 중소기업들은 초보적인 인식마저 부족해 연구소에서 개발한 기술을 ... ...
보이지 않는 전선(戦線)에 서서 지금 유학현장에서는…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연구가 진행돼 나가고 있다. 필자는 이 발견후 예일대학의 교수로 와있는 맥긴스의
연구실
에 소속돼 이 분야에 관한 연구를 해오고 있다.이외에도 호르몬, 성장요소(growth factor), 신경전달물질 (neurotransmitter)을 매개로하여 세포간의 대화(cell-to-cell communication)를 연구하는 분야, 인간두뇌의 ... ...
나만 엉뚱하게 이해하고 있는 게 아닐까?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공통된 느낌인 것이다.화학을 하려면, 좀 더 정확히 얘기해서 모든 자연과학을 하려면
연구실
안에서 끙끙거리며 몇가지 데이터를 찾기 위해 하루 종일 매달릴 줄 알아야 한다. 그렇게 애를 쓰면 자연은 우리에게 몇가지 새로운 모습을 보여주곤 한다. 때때로 거기에는 철학이 깃들어 있다.화학의 ... ...
「회전해도 무게 줄지 않는 것」으로 밝혀져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전자천칭으로 측정했지만 무게의 변화를 전혀 발견할 수 없었다.하야사카 박사는 현재
연구실
에서 두문불출. 동료교수인 나카바치 박사는 "추가실험을 위해 연구비를 신청했지만 거절당한 것으로 안다. 하야사카는 이론적인 예상하에 실험을 했고 그 이론을 세계적인 수준으로 끌어올리기 위해 ... ...
PARTⅤ 한국 유전공학의 현주소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두곳 있다. 목암생명공학연구소와 산업과학기술연구소다. 그중 목암연구소는 6개의
연구실
과 50여명의 연구인력으로 구성돼 있다. 금년에는 10개과제에 약 17억원을 투자했는데 인터페론 백신 진단시약 개발 등 의약분야에 치중하고 있다.산업과학기술연구소는 앞으로 생물화공팀을 중심으로 ... ...
PARTⅠ 소립자·생화학·면역학 단골 수상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핵심적인 연구를 했다고 해도 연구의 지속성문제를 놓고 볼 때 후속작업은 비숍과 바머스
연구실
에서 수행한 것이 사실인 것 같다. 그래서 노벨상위원회는 50인 선정위원회의 결정을 지지하기로 했다. 아무튼 이들의 발표이래 연구자들은 인간에게 암을 일으키는 40종이상의 변이유전자를 확인하게 ... ...
이태규 박사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불구하고 아직도 연구와 강의를 거르지않고 있는 이박사를 과학기술원에 있는 그의
연구실
에서 만났다."요즘도 새벽 세시쯤이면 어김없이 눈이 떠집니다. 전날 읽던 책을 다시 보거나 학생들이 진행중인 연구테마를 머리속에서 정리해 보기도 하지요. 강의는 수, 목 이틀간 두시간씩 하는데 6명의 ... ...
PART1 대덕연구단지 92년 완성 앞둔 과학문화도시
과학동아
l
1990년 10호
그 정도의 결과밖에 내지 못하느냐는 지적도 있다. 또 저녁 8시만 되면 대부분의
연구실
에서 불이 꺼져 '깜깜한 연구단지'라는 힐난을 가끔 듣는다.그러나 연구원과 시설을 한곳에 모아 활발한 정보교환과 인적교류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나름대로 괄목할만한 업적도 거뒀다.대표적인 사례를 들면 ... ...
이전
180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