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회견
취재
면접
면담
회담
인터뷰우
면회
d라이브러리
"
인터뷰
"(으)로 총 2,629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5. 어떻게 살 것인가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일부가 손상된 트라우마를 세포가 기억하고 후대로 전달할 수 있다고설명한다.송 :
인터뷰
를 하러 노유선 교수의 사무실에 갔다가 아이가 쓴 붓글씨를 봤다. 꼬깃꼬깃한 한지에 서툴게 아버지의 이름을 적어 선물을 주는 꼬마 아이를 둔 아버지로서, 물론 그 아이는 이미 유전자를 받았지만, ... ...
개미 10마리 중 4마리는 ‘베짱이’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예상했다. 반면 독일 레겐스부르크대 토머 크자츠케 박사는 뉴사이언티스트와의
인터뷰
에서 “게으른 개미들이 몸집이 더 큰 것을 보면 전쟁에 대비하는 군인일 것”이라고 추측했다. 연구결과는 ‘행동생태학 및 사회생물학’ 6월 21일자에 발표됐다 ... ...
“실제 사람 다리로 미라를 만들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섬뜩한 연구를 주도한 자연인류학자 크리스티나 파파지올고풀루박사(사진)를 e메일로
인터뷰
했다. Q 연구 결과가 학술지 ‘해부 기록’에 실렸다. 연구의 성과는?A 시신의 다리 조각이 미라화되는 전 과정을 최초로 관찰했다. 고대 이집트의 방부 기술이 얼마나 과학적이었는지 가장 확실하게 밝힌 ... ...
확산 모형으로 메르스 길목 막는다
수학동아
l
2015년 07호
이번 메르스 확산도 마찬가지다. 고려대 예방의학교실 천병철 교수는 수학동아와의 전화
인터뷰
에서 “질병관리본부에 보건통계를 전문적으로 다루는 부서가 없는 것도 문제지만, 정부와 민간 통계전문가가 협력하는 합동조사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게 더 큰 문제”라고 밝혔다. 신종 ... ...
캘리그래피에 담은 수학자의 명언 판곡중학교 김상미 선생님
수학동아
l
2015년 07호
관심이 많았다. 꿈이 있는데 어떻게 이룰지 모르는 학생들에게 도움이 되고 싶다며
인터뷰
가 끝난 뒤에 기자에게 ‘과학기자가 되는 방법’을 취재해 가기도 했다. 에너지가 넘치는 사람은 주변에 그 힘을 전파한다더니 김상미 선생님이 딱 그런 분이었다. 선생님의 이야기가 수학자의 명언 ... ...
지구사랑탐사대 3기 활동 전 필수 수칙!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7호
아직 가입하지 못한 탐사대원들은 아래 내용을 잘 보고 꼭 가입해 주세요~!특별
인터뷰
‘현근성근탐험’팀지사탐 가족의 특별한 이야기, 그 세 번째 주인공은 2기 최우수탐사대원으로 선발된 이현근, 이성근 대원의 ‘현근성근탐험’ 팀이에요. 3기에도 16조 스태프로 참여해, 신규 탐사대원들을 ... ...
바다 밑에서 만난 동화
수학동아
l
2015년 07호
그 분위기는 사뭇 신비롭기까지 하다. 기발한 아이디어의 주인공인 안드레아스 프랭크를
인터뷰
했다.어떻게 가라앉는 세계를 떠올리게 됐나요? 바다 밑 난파선과 생동감 넘치는 일상, 이 둘은 서로 굉장히 다르잖아요.25살 때부터 저는 다이버로 활동했습니다. 전 세계의 바다에 가라 앉아 있는 ... ...
수학이 불러온 생물학 혁명
수학동아
l
2015년 07호
수학을 활용하고 있다. 수학 덕분에 생물에 대해 한걸음 더 다가서고 있는 셈이다.
인터뷰
수학으로 생명에 귀를 기울이다이언 스튜어트이언 스튜어트는 과학소설부터 수학 칼럼까지 쉽고 재미있는 글을 써온 수학자 겸 작가다. 모든 사람이 수학을 즐기길 꿈꾸는 그는 수학과 과학의 대중화에 기여한 ... ...
인천축구전용경기장 그라운드 위에 수학을 펼쳐라! 2015 수학축구교실
수학동아
l
2015년 07호
찾은 독자기자들이
인터뷰
실에 모였다. 경기가 끝난 뒤 감독과 선수가
인터뷰
를 하는 곳이다. 이곳에서 박제남 인하대 수학교육과 교수가 독자기자를 맞았다. 박 교수는 흥미로운 질문으로 수업의 문을 열었다.“엄마랑 같이 수박 사러 가 본 사람 있나요?”당연하다는 듯 대부분의 독자기자들이 ... ...
PART 2 두 번의 암흑기와 세번째 봄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드러냈다. 대표적인 문제가 ‘지식 추출의 병목 현상’이다. 전문가 시스템은 전문가
인터뷰
나 전문서적을 토대로 설계됐는데, 해결해야 할 문제가 커지고 복잡해지면서 해당 분야에 통달한 전문가를 찾기가 어려워졌다. 지식을 추출하는 데 드는 시간과 비용도 급격히 늘었다. 개인의 경험 자체가 ... ...
이전
180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