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공학"(으)로 총 8,605건 검색되었습니다.
- 더 얇고, 더 간편하게… '원편광 박막형 소자' 개발동아사이언스 l2023.07.31
- 간편한 형태의 '원편광 박막형 소자'가 개발됐다. 한국연구재단은 전영철 UNIST 신소재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가시광선 영역의 원편광 빛을 발생하는 박막형 소자를 개발해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에 6월 28일 발표했다고 31일 밝혔다. 원편광은 전자기파의 전기장 성분이 원을 그리며 ... ...
- 카메라 렌즈 두께 줄일까…노준석 포스텍 교수, 물에 녹는 몰드 개발동아사이언스 l2023.07.31
- 것으로 기대된다. 포스텍은 노준석 기계공학과·화학공학과 교수와 이헌 고려대 신소재공학부 교수 공동 연구팀이 수용성 몰드를 개발해 결함 없이 고해상도·고종횡비 메타표면을 생산하는 데 성공했다고 31일 밝혔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포토닉스'에 지난달 15일 게재됐다. 메타표면을 ... ...
- 폭염 이겨내는 간단한 방법…"도시에 '그늘' 늘려야" 동아사이언스 l2023.07.30
- 캘리포니아주립대 도시계획부 부교수, 아리앤 미델 미국 애리조나주립대 미술·미디어·공학대 부교수 등은 26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실린 기고문을 통해 "도시에 '그늘 인프라'를 설치하는 건 시민에게 전력과 대중교통을 공급하는 것만큼 중요하다"라고 강조했다. 올 여름 ... ...
- [과기원NOW] 임재환 KAIST 교수팀, 국내 최초 국제로보틱스학회 논문상 수상 外동아사이언스 l2023.07.28
-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장영태 포스텍 화학과·융합대학원 교수, 강남영 IT융합공학과 교수가 과학 분야 전공서적 ‘바이오이미징을 위한 센서와 프로브’를 출간했다. 바이오이미징은 질병 진단이나 신약 개발을 위한 실험에서 사용되는 기술이다. 프로브(가늘고 긴 기구)로 특정 세포를 ... ...
- [인사] 광주과학기술원동아사이언스 l2023.07.28
- ◇광주과학기술원 △신소재공학부 학부장 김봉중 △신소재공학부 부학부장 이주형 ...
- 우주로 제브라피시 보내는 중국…우주탐사 넘어 우주과학 경쟁동아사이언스 l2023.07.28
- 골손실을 연구하기 위해 열대어인 제브라피시를 우주로 보낸다. 장 웨이 중국 유인우주공학 우주응용시스템 총사령관의 보좌관은 지난 10일 베이징에서 열린 우주정거장 과학·응용 프로젝트 세미나에서 이같은 계획을 공개했다. 제브라피시는 중국이 자체 구축한 우주정거장인 톈궁에 보내진다. ... ...
- 체온만으로 충전…웨어러블 전지 충전 시스템 개발 동아사이언스 l2023.07.27
- 다가설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이현욱, 서동화 에너지화학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이성우 싱가포르 난양공대 교수 연구팀과 함께 '열전 이차전지(TREC)' 시스템의 에너지 변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핵심 인자를 밝혀 에너지·재료 분야 국제 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터리얼즈 ... ...
- [과기원NOW] 포스텍, 2차원 소재 상용화 길 열어동아사이언스 l2023.07.27
- 신정우 싱가포르 난양공대 기계공학과 박사, 박건우 서울과기대 MSDE(생산시스템·설계공학)학과 연구원 공동연구팀이 그래픽 전극 표면에 ‘자외선 보조 원자층 증착 공정(UV-ALD)’을 적용해 고품질의 그래핀-유전막 계면을 구현했다.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일렉트로닉 머티리얼즈’ 7월호 표지 ... ...
- 전기차 화재 막을 수 있을까…리튬이온전지 '열폭주' 예측 기술 개발동아사이언스 l2023.07.26
- 리튬이온 배터리의 열폭주 메커니즘을 규명하고 이를 개선할 기술을 찾아내 반응 공학 분야 국제 학술지 '케미컬 엔지니어링 저널'에 발표했다고 26일 밝혔다. 하이 니켈 양극재 기반 리튬이온 배터리는 전기차의 이차전지로 활용된다. 그러나 리튬이온 배터리를 기계적, 전기적으로 남용할 경우 ... ...
- 우주에서 암세포 배양·항암제 효과 분석…국내 첫 시도동아사이언스 l2023.07.26
-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박 교수는 “이번 연구를 계기로 우주 의생명공학 분야를 발전시켜 국내 우주산업 관련 대학과 연구소, 산업체, 공기관과의 인프라를 형성하고 국내 우주산업의 새로운 장을 열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박 교수는 현재 차세대중형위성개발사업 중형위성 3호에 ... ...
이전18018118218318418518618718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