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DNA"(으)로 총 2,116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구상 나무는 총 3조 그루, 1인당 422그루 소지2015.09.13
- 유전정보를 RNA로 보내면 RNA가 다시 단백질로 번역하는 일련의 과정을 통해 생성된다. DNA의 유전정보를 받은 직후 상태인 ‘전령RNA 전구체(pre-mRNA)’는 ‘인트론’과 ‘엑손’이라는 부분으로 이뤄져 있다. 유전정보가 없어 단백질을 만드는 과정에 필요 없는 인트론은 잘려나가고, 유전정보를 ... ...
- DNA로 용의자 얼굴 그린다2015.09.11
- “다양한 인종이 섞여 있는 서양에 비해 한국인은 머리카락 색이나 피부색이 비슷해 DNA 표현형 분석이 쉽지 않다”면서도 “범죄 수사뿐만 아니라 6·25전쟁 전사자 유해의 인종이나 신원을 확인하는 등 활용도를 넓히고 있다”고 밝혔다. ... ...
- 영유아 때 영양부족하면 장내 세균에도 문제2015.09.08
- 말라위에서 태어난 쌍둥이 20쌍을 대상으로, 태어나서 3살까지의 대변을 꾸준히 수집해 DNA를 분석했다. 이를 이용하면 장내 세균의 유전체총합(바이롬)을 확인할 수 있다. 그 결과, 한 명은 건강하지만 다른 한 명이 중증 급성영양실조(SAM)를 겪은 쌍둥이 12쌍은 둘 다 건강하게 자란 쌍둥이 8쌍보다 ... ...
- 1989년 버트 보겔스타인 교수의 대장암에서 p53 유전자 결손과 돌연변이 발견과학동아 l2015.09.06
- 달라붙어 그 작용을 억제한다. CDK는 세포분열을 촉진하는 효소다. 따라서 외부 원인으로 DNA가 고장난 세포의 경우 분열이 멈춘 사이 고장난 부분을 고칠 시간을 벌 수 있다. 1993년 저널 ‘셀’에 발표된, p53과 WAF1의 연관성을 밝힌 논문은 지금까지 ‘셀’에서 가장 많이 인용된 논문이라고 한다. 한편 ... ...
- ‘인공 세포핵’ 유전 질환 치료길 연다2015.09.04
- 본뜬 인공 세포핵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3일 밝혔다. 이 시스템은 생체 고분자 물질에 DNA를 연결한 방식으로 표면이 지질막으로 코팅돼 있어 세포 속에 쉽게 넣을 수 있다. 또 유전정보를 전달하는 전령RNA(mRNA)를 생산할 수 있고 단백질을 만들도록 유도하는 등 일반 세포핵의 기능을 그대로 ... ...
- 설악산 산양과 울진 산양, 유전자가 다르다2015.09.02
- 두 집단으로 나눌 수 있었다고 2일 밝혔다. 연구진은 국내 야생에 사는 산양 57마리의 DNA를 수집하고 유전적 특성이 잘 드러나는 특정 염기서열 부위 12군데를 비교했다. 그 결과, 설악산 고성 양구 화천 등 강원 북부에 사는 산양과 삼척 울진 등 강원 남부와 경북 북부에 사는 산양이 별도의 집단을 ... ...
- 효모 정밀화학공장, 말라리아치료제에서 마약성진통제까지 생산2015.08.24
- 공포에서 어느 정도 벗어났다. 외부의 유전자를 들여와 발현시키는 소위 ‘재조합DNA기술’은 이처럼 박테리아인 대장균을 대상으로 집중적으로 연구됐다. 지금도 부탄올 같은 유용한 물질을 생산하는 박테리아를 설계하는 대사공학 연구가 한창이다. ● 대장균과 효모의 차이 그런데 많은 ... ...
- 종양 발생 막는 새로운 메커니즘 찾아냈다2015.08.12
- 한다는 사실 또한 새롭게 밝혀냈다. 백 교수는 이번 연구는 그동안 밝혀내지 못했던 DNA 손상 이 일어났을 때 각각의 단백질이 유기적으로 작동하는 과정을 규명하고, 단백질과 효소 복합체(p53-HAUSP)의 역할과 이를 연결하는 뉴클레오린의 존재를 새롭게 알아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고 밝혔다. 이번 ... ...
- 메르스 진단 기술 PCR, 초소형 기기로 5분 안에 끝낸다2015.08.02
- 진동으로 열이 발생한다. - 손준호 제공 PCR의 원리는 온도조절이다. 열을 가해 두 가닥의 DNA를 한 가닥으로 분리한 뒤 증폭시키고 다시 온도를 내려 두 가닥으로 붙이기를 30회 정도 반복해야 한다. 보통 이 과정에는 수 시간이 걸린다. 연구팀은 짧은 시간 안에 온도를 바꾸기 위해 발광다이오드(LED ... ...
- “반역자가 돼야 과학을 할 수 있다”2015.08.02
- 방정식’ 같은 중요한 발견이 나왔고, 20세기에는 ‘상대성이론’ ‘DNA 이중나선 구조’ ‘빅뱅 이론’ 등이 발견되면서 과학의 전 분야가 급격하게 발전할 수 있었다. 즉 과학의 역사는 반역의 역사라는 것이다. 올해 92세인 다이슨은 과학과 사회에 대한 깊이 있는 성찰로 전 세계인의 존경을 ... ...
이전18018118218318418518618718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