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화재
light
불빛
광
빛
전등
화난
d라이브러리
"
불
"(으)로 총 1,976건 검색되었습니다.
상상을 초월한 첨단의 종이과학
과학동아
l
198802
풀어 떠내는 형식. 장망식이 얇고 평활한 종이를 만들어 낼 수 있는 반면에 환망식은 울퉁
불
퉁한 두꺼운 종이, 즉 판지류를 만들 수 있다. 물론 두가지 방식이 실제로 활용되어 종이를 대량생산한 것은 1850년대 이후이다. 이 두가지 방식이 결합되어, 앞뒤면이 구분되지 않아 양면인쇄가 가능한 ... ...
PART 3 오존층이 파괴되고 있다 구멍뚫린 생명의 보호막
과학동아
l
198802
작년 가을의 대규모 조사의 잠정결과가 몬트리올회의 직후에야 발표된데 대해
불
만을 토로한다. 보다 엄격한 규제안을 채택할 기회를 놓쳤다는 것. 그밖에도 전자회사에서 새로 이용하는 CFC113과 군사무기 등에 널리 쓰이는 할론 등의 생산실태가 비밀로 되어 있음이 협약의 실효성과 관련해 ... ...
수학은 인간이 만든 또 하나의 우주
과학동아
l
198802
그만큼 철이 들어감을 인식하고 있다. 수학에서 출발한 나의 지적 모험은, 세월과 더
불
어 새로운 지적대상을 추구하면서 나날이 삶을 보람있고 알차게 엮어줄 것으로 믿고 있다. 인간의 탐구로 시작된 나의 수학은 이제 나의 존재를 묻는 자리에까지 돌아온 것 같다 ... ...
생물학 표본실 마다가스카르 섬
과학동아
l
198802
섬이 되었다. 오랜동안 문명과 동떨어져 있은 결과 섬 전체가 '생물학교실'이라고
불
려질만큼 생태학상의 귀중한 보고가 되었다. 안타까운 파괴 어떤것은 원시시대의 그대로 전혀 변하지않은 살아있는 화석으로 생존을 계속하였고 또 어떤것은 현재 다른지역에서는 관찰되지않는 대단히 독특한 ... ...
체르노빌·드리마일원전사고의 그후 방사능피해, 갈수록 깊어져
과학동아
l
198802
처음엔 우크라이나 상공을 떠돌다가 북쪽 스칸디나비아로 이동했다. 1주일뒤에는 이
불
길한 방사능장막이 동부유럽을 지나 지중해연안에까지 번졌다(그림참조). 지금까지의 모든 핵실험에 의한 것보다 많은 양의 죽음의 재 체르노빌 사고로 지구상에 뿌려진 방사성 물질의 양은 수억퀴리 ... ...
옛 괴물들
과학동아
l
198802
호모사피엔스이다. 지질학적 시간으로 계산하자면, 우리 인간은 '어제'부터 존재한것에
불
과하다. Last month it was announced that new monster of the past had been discovered. A skull and other bones of a sea bird, distantly related to mo ...
석유는 곧 고갈 「태양-수소」시대가 온다
과학동아
l
198802
가정해 보자. 물론 거대한 수소가스사고도 있을 수 있는 재난이긴 하지만 어디까지나
불
행은 특정한 지역에만 국한될 뿐이다. 즉 하나의 대륙을 오염시키거나 수세대에 걸쳐 감염되는 그런 무시무시한 제2의 체르노빌사고와 같은 종류의 재난이 아니다. "이제는 정말 솔선해서 수소를 사용하지 ... ...
태평양의 열대꽃을 찾아
과학동아
l
198802
섬으로 알려진 발리섬에는 어느 곳에서나 크고 작은 사원을 볼 수 있는데 그곳의 검은 석
불
(石佛)의 귀에는 빨간 무궁화 한송이가 꽂혀 있어 인상적이다. 또 정열적으로 춤을 추는 여인들의 머리에 꽂힌 열대의 꽃들은 잊을 수 없는 강한 열대의 정취를 더해 준다 ... ...
대륙붕 천연가스층 발견의 숨은 주역 강주명 교수
과학동아
l
198801
강한 압력의 가스가 아니라면 사진에서 보는 것처럼 시추선에서 떨어진 지점에서
불
타오를 수는 없는 것이라는 얘기다. 아뭏든 가스층 발견은 사실이라고 하더라도 발표시기가 미묘하다는 느낌은 떨쳐 버리기가 힘들다. 더구나 앞으로 가스생산까지의 성공확률이 70%라는 일부 매스컴의 해설기사 ... ...
제1회 한국과학대상 수상자 김진의 교수
과학동아
l
198801
뜨거운 우주가 식어가면서 천체와 생명체를 출현시키는데 따라 나타난 질량분포의
불
균등성은 이제까지 풀리지 않는 수수께끼로 남아 있다. 이 문제에 대해 김교수는 하나의 가능성을 조심스레 제시하고 있다. "뉴트리노로 이 문제를 해결하려는 시도가 있었지만 별 1조개가 모인 우리 은하와 같은 ... ...
이전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