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화초
플라워
조화
생화
플라우어
flower
d라이브러리
"
꽃
"(으)로 총 1,986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2 한국조선산업의 미래는?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있다. 그러나 그 이후에도 현재의 위치를 고수하면서 새로운 첨단조선공업의 시대를
꽃
피울 수 있느냐는 전적으로 우리의 역량에 달린 일이다. 여기에서는 조선공업의 기술적 측면에서 몇가지 문제점과 그 해결방안을 모색해본다.우선 연구소와 연구인력이 부족하다. 조선선진국과 경쟁할 수 있는 ... ...
디베이스강좌④ 필요한 데이터를 쉽게 찾으려면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디베이스를 쓰는 이유는 원하는 데이터를 언제라도 손쉽게 꺼내보기 위해서이다. 디베이스의 핵심인 소팅과 인덱싱에 대해 알아보자.우리들 ... 대해서 기본적인 사항들은 어느 정도 익힌 셈이므로, 다음 호부터는 '디베이스의
꽃
'이라고 불리우는 프로그래밍 방법에 대해서 다루고자 한다 ... ...
「정보문화의 달」 다양한 행사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정보사회 함께 누릴 정보문화'가 당선됐다. 우수상에는 임진균군(학생)의 '정보는 문화의
꽃
, 통신은 생활의
꽃
'과 홍성필씨(교사·32)의 '크는 기업 밝은 가정 알고보니 정보이용'이 각각 선정됐다 ... ...
「흥수아이」를 통해 살펴본 한반도의 구석기 인류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자기자식의 무덤에 애도하는 뜻으로
꽃
을 갖다 놓았는데, 두루봉의 구석기인들도
꽃
을 통해 미적 감각을 표현했는지는 추측만 할수 있을 뿐이다. 단지 보다 확실한 사실은 당시 구석기인들이 사슴발가락뼈로 사람의 얼굴을 표현한 장신구를 사용하고 있었다는 점이다.두루봉유적을 통한 ... ...
한반도 거의 전역에 구석기인 살아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사냥이나 살림들을 헤아려보는 수준에 이른다 (상원 검은모루, 제원 점말용굴).
꽃
가루와 숯을 활용하게 되면서부터 늘푸른 나무 중 넓은 잎 또는 바늘잎을 가진 나무가 자라는 환경을 추정할 수 있었다. 특히 이를 통해 옛사람의 생활 환경을 따질 수 있게 되었다(용굴 두루봉 상시바위 그늘). 또 ... ...
생물의 갖가지 형태가 갖는 의미
과학동아
l
1989년 05호
최근 새로 발견된 것인데 적잖은 생물학적 의미를 담고 있다. 꿀벌에 있어서는 피어 있는
꽃
만이 중요할 뿐 봉오리는 문제가 되지 않는다는 것이다.천적 옆에서도 여유만만오랫동안 굶긴 두꺼비에게 한마리의 지렁이를 주면 탐욕스럽게 먹어치운다. 바로 뒤에 지렁이와 모양이 비슷한 성냥개비를 ... ...
종(種)의 보존을 위한 의지 발생의 신비
과학동아
l
1989년 04호
이듬 해 봄까지 6개월 정도를 파괴되지 않고 보존될 수 있다.식물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꽃
가루받이가 일어날 때 필요한 단백질의 합성을 위한 리보핵산이 비교적 오랫동안 보존될 수 있음이 밝혀졌다.흥미로운 사실은 또 있다. 알세포에 함유되어 있는 여러가지 물질들이 단순히 에너지원이나 ... ...
미친듯한 집중력, 어느 순간에 영감 일으켜
과학동아
l
1989년 03호
타고난 지적 잠재력을 전적으로 부인할 수는 없다. 그러나 노력 없이는 그런 잠재력을
꽃
피우기는 불가능할 것이다.한가지 역사적 예를 들어보자.1703년 4계(季)로 유명한 작곡가 ‘안토니아 비발디’가 베니스시의 ‘라 피에타’고아원에 바이얼린 교사로 초빙되었다. 이 고아원에는 출신이 별로 ... ...
꽃
이 오래 피게 하려면
과학동아
l
1989년 03호
졸업과 입학의 계절이다. 동시에
꽃
다발의 계절이다. 청초하고 아름다운
꽃
들에 주는 이의 마음을 담아 전해지는 것이다.그러나 이
꽃
들은 아쉽게도 금방 시들어 버 ... 입지 않은
꽃
을 구입해야 한다. 또 과일등과는 가깝지 않은 곳에 놓아두면 오래도록 좋은
꽃
을 감상할 수 있을 것이다 ... ...
국산로봇개발 10년
과학동아
l
1989년 03호
우수한 기술을 가졌음에도 불구하고 정작 로봇산업은 70년대에 일본에 건너와 활짝
꽃
을 피웠다.86년말 현재 일본은 전세계 로봇수의 63%에 달하는 10만4천대의 로봇을 보유하고 있고 생산량도 가장 많다.일본기업들은 두차례의 석유위기를 겪으면서 로봇을 활용한 생산성향상에 주력한 결과, 세계 ... ...
이전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