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동등
동일
매한가지
피차일반
매일반
피장파장
d라이브러리
"
마찬가지
"(으)로 총 4,619건 검색되었습니다.
바닷물 파래질수록 태풍 사라진다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소개했다.식물플랑크톤은 녹색색소(클로로필)를 갖고 있다. 육상식물의 녹색 잎과
마찬가지
로 빛에너지를 이용해 이산화탄소를 유기물(포도당)로 바꾼다.연구팀은 “지난 세기에 비해 지구상에 살고 있는 식물플랑크톤의 개체 수가 급격히 감소했다”고 밝혔다. 식물플랑크톤 수가 줄어들면 ... ...
내 마음 알아채는 빛 반도체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쓰레기가 많이 나오는 단점 때문이다. 형광등은 아직까지 퇴출 위기에 놓이지 않았지만
마찬가지
다. 환경을 오염시키는 물질인 수은이 들었기 때문이다. 수은과 형광물질이 방전할 때 생기는 자외선이 인체에 유해한 점도 문제다.“LED전구는 형광등만큼 밝고, 수명은 4만 시간이나 지속돼 ... ...
내 몸속 유전자 99%는 미생물의 것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모든 동식물과 무생물에게 건강과 생명을 주는 이로운 미생물이기도 하다. 우리 몸도
마찬가지
다. 예를 들어 피부에는 적어도 4종류의 서로 다른 세균과 여러 곰팡이를 포함한 미생물이 풍성하게 싹을 틔운다. 코와 목, 상부 호흡기에는 적어도 6개 종 이상의 세균이 산다. 입에는 5~6개 종의 세균과 ... ...
1994년 제프리 프리드먼 교수의 렙틴 유전자 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전체적으로 봤을 때 렙틴의 효과는 미미했다. 렙틴은 단백질이기 때문에 인슐린과
마찬가지
로 먹을 수는 없고(장에서 소화가 되므로) 주사제로 혈관에 직접 투여해야 한다. 그런데이런 미미한 효과를 얻자고 매일 렙틴 주사를 맞을 사람은 많지 않을 것이다. 암젠의 입장에서는 달콤한 꿈이 악몽으로 ... ...
20세기 수학의 방향을 제시하다
수학동아
l
2010년 08호
삼각형을 육각형으로 만든다고 가정해 볼게. 우선 삼각형을 직사각형으로 만들어.
마찬가지
로 육각형도 직사각형으로 만들지. 만들어진 직사각형의 모양은 다를 수도 있고 같을 수도 있는데, 같다면 문제는 해결된 거고, 다르다면 삼각형으로 만든 직사각형을 다시 조각 내 육각형으로 만든 ... ...
번호에 이렇게 깊은 뜻이
수학동아
l
2010년 08호
가운데 단 한 장이기 때문에 가치가 높다.‘밀리언번호’라고 불리는 1000000, 2000000 등도
마찬가지
다.0123456, 1234567, 2345678 등 번호가 순서대로 나온 ‘스트레이트번호’도 가치가 높다. 1230321처럼 가운데 번호를 기준으로 번호가 대칭을 이루는 ‘레이더번호’나 1230123처럼 번호가 반복되는 ... ...
4 포트폴리오 만들기
수학동아
l
2010년 08호
새롭게 만들어 보는 거야.아참! 보기 좋은 떡이 먹기도 좋다고 하잖아. 포트폴리오도
마찬가지
야. 하지만 예쁘게 꾸미는 것이 힘들다면 정성을 보여 주는 것도 훌륭한 방법이야. 학년이 올라갈수록 책과 가까워지기엔 더욱 힘든 현실! 주어진 시간은 부족하고 읽을 책은 넘쳐나잖아. 이럴 때일수록 ... ...
뱅글뱅글 도는 태풍의 모양
수학동아
l
2010년 08호
수 있다. 물을 빠르게 저으면 가운데 물이 바깥으로 빠지면서 동그란 공간이 생긴다.
마찬가지
로 태풍에서도 중심으로 갈수록 회전 속도가 빨라지고 공기가 상승하면서 공기가 바깥으로 움직인다. 이때 태풍 한가운데 동그란 공간이 생긴다. 따라서 태풍의 눈에서는 구름이 없는 맑은 날씨를 볼 수 ... ...
‘좀비 실험실’ 죽은사람이 어떻게 노예가 됐을까?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나눠줬다.1982년 미국 뉴욕 록클랜드주립연구소의 나단 클라인 박사는 데이비스 박사와
마찬가지
로 좀비를 만드는 방법에 대해 연구하고 있었다. 그는 30년간 연구에 매달렸지만 결국 좀비를 만드는 데 단 한 번도 성공하지 못했다. 이 때문에 클라인 박사는 데이비스 박사의연구를 신랄하게 ... ...
물속으로 얼음이 가라앉네?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밀도는 줄어든다. 온도가 떨어지면 부피는 줄어들고 밀도는 커진다. 4℃ 이상에서는 물도
마찬가지
다. 하지만 온도가 4℃ 이하로 떨어지면 얘기가 달라진다. 4℃ 아래부터는 온도가 떨어지면 부피가 늘어난다. 결국 4℃는 물의 부피는 가장 작고 밀도는 가장 큰 온도다.단지 0∼4℃에서만 해당되는 게 ... ...
이전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다음
공지사항